Type of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Fear Message - Q-methodological analysis on the latest Report of Korean Peninsula Situation -

위협적 메시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 최근 한반도 정세 관련 보도의 Q방법론적 분석 -

  • 이순모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Related to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by North Korea's threat of war the tension escalates and serious crisis contin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which the residents of South Korea feel about North Korea's threat of war through a Q methodological analysis framework. In the result of the study, for the North Korea's threat of war the South Korean's recognition type is analyzed into four type such as 'non-reactive', 'fearreactive', 'psychological anxiety' and 'cynical ignorance type'. First, the No. 1 type 'non-reactive' does not empathize with North Korea's threat of war itself, and second type 'fear-reactive' have uneasy feeling like that 'What would happen as things go' and feel a sense of crisis about the North Korea's threat of war. The third type 'psychological anxiety' is type which feels that due to North Korea's threat of war inter-Korean relations is in the crisis. Finally the fourth type 'cynical ignorance' think that North Korea's threat of war is bluffing and also North Korea is like a shepherd boy. The reason to apply Q-methodology in this study is to make it possible to a more in-depth approach to subjective perception and threat of psychological meaning for the threatening message of study participants.

최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하여 북한의 전쟁위협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심각한 위기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남한의 주민들(수용자)이 느끼는 주관적 인식에 대해 Q방법론적 분석틀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남한 주민들의 인식 유형은 '무반응형', '공포 반응형', '심리적 불안형', '냉소적 무시형' 등 네 가지로 분석되고 있다. 먼저, 제1유형인 무반응형은 북한의 전쟁위협 자체에 큰 공감을 하지 못하는 유형이며, 제2유형인 공포 반응형은 '혹시 이러다 무슨 일이 생기는 것 아닌가'하는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 북한의 전쟁위협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는 유형이다. 제3유형인 심리적 불안형은 북한의 전쟁위협으로 인해서 남북관계가 위기라고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인 냉소적 무시형은 북한의 위협이 허풍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북한이 양치기 소년 같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Q방법론을 적용한 것은 연구참가자의 위협적 메시지에 대해 주관적 인식과 위협이라는 심리적 의미에 보다 심층적인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아카데미아리서치, 2002.
  2.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
  3. Hovland, C., Janis, I., and Kelly, H., Communication and persuation, Yale University, 1953.
  4.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개론(상), 세영사, p.461, 1990.
  5. 이시훈, 홍창선, "위협의 강도와 불안수준에 따른 위협소구 광고의 효과연구-위협의 발생가능성과 대처방안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62호, pp. 103-131, 2004.
  6. Janis, I. L. and Feshbach, S., "Effect of fear arousing communicatio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48, No. 1, pp. 78-92, 1953. https://doi.org/10.1037/h0060732
  7. 차동필, "공포소구 메시지에서 위협과 효능감의 역할: 승수적 관계, 혹은 합산적 관계?,"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2호, pp. 340-360, 2006.
  8. 이진희, 도선재,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9권 6호, pp. 243-265, 2008.
  9. Latour, M. S. and Pittes, R. F., Using fear appeals im advertising for AIDS prevention in the collegeage population,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Vol. 9, No. 3, pp. 5-14, 1989.
  10. Vincent, A. M. and Dubinsky, A. J., Impact of Fear appeals in a cross-cultural context, The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Vol. 15, No. 1, pp.17-32, 2005.
  11. Becker, T. E., Rogers, E. M., and Sopory, P., Designing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What works Newbury Park, CA: Sage, 1992.
  12. Jones, S. C. and Owen, N., Using fear appeals to promote cancer screening: Are we screening the wro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Nonprofit & Voluntary Sector Marketing, Vol. 11, No. 2, pp. 93-103, 2006. https://doi.org/10.1002/nvsm.48
  13. Janis, I., Effects arousal on attitude change: Recent development in theory and research,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 berkowitz L(ed), Academic press: New York, pp. 166-224, 1967.
  14. Ray, M. L. and Wilkie, W. L., Fear: The potential of an appeal neglected by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34(january), pp. 54-62, 1970. https://doi.org/10.2307/1250296
  15. 강진숙, 이제영, "청소년 TV중독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미디어교육 전문가와 교사의 주관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pp. 79-108, 2011.
  16.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Q 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17.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언론학논선, 46,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990.
  18. Mckeown, R. and Thomas, D., "Q methodology," Newbury Park, CA:SAGE, 1988.
  19.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8.
  20. 김병철, "인터넷 신문광고의 수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16호, p. 355, 2005.
  21. 길병옥, 김창남, "새터민들의 주관성과 남북한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 주관성 연구, 통권 제19호, pp. 18-40, 2009.
  22. 김기도, "정치선전과 심리전략," 나남, 1989.
  23. 김상훈, "광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 제7권, 제1호, pp. 83-126, 1996.
  24. 김영성, 이용학, "공익광고에 있어서 위협소구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993.
  25. 김영욱,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헙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2권, 제2호, pp. 192-231, 2006.
  26. 김웅진, "불확정성의 공포, 교조와 과학적 자유," 주관성연구, 통권 제19호, 5-15, pp. 5-13, 2009.
  27. 송해룡, 김원제, "위험 커뮤니케이션과 위험 수용,"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5.
  28. 이민진, 양윤, "공포수준, 공포유형, 및 자기 감시가 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여름호, pp. 187-212, 2007.
  29. 이호배, 김혜원, "위협 소구 광고의 프레이밍 효과: 인지욕구와 관여도의 조절 역할," 광고학 연구, 제11권, 제4호, pp. 109-133, 2000.
  30. 조형오, "금연광고 메시지 유형의 효과분석: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소구방향의 매개역할," 광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133-157, 2000.
  31. 차동필, "공포소구 메시지의 위협과 효능감 수준에 따른 설득효과: 공포소구 모델 EPPM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Vol. 50, No. 4, pp. 411-436 ,2006.
  32. Janis, I. L. and Feshbach, S., "Personality differences associated with responsivenes to fear-arousing communications," Jounal of Personality, Vol. 23, No. 2, pp. 154-166, 1954. https://doi.org/10.1111/j.1467-6494.1954.tb01145.x
  33. Leventhal, H., "Finding and theory in the study of fear communication," Advanced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5, pp. 119-186, 1970.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091-X
  34. Leventhal, H., "Fear appeals and persuations: The differentiation of a motivational construc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61, pp. 1208-1224, 1971. https://doi.org/10.2105/AJPH.61.6.1208
  35. Miller, G. R. and Hewgill, M. A., "Some recent research on fear-arousing message appeals," Speech Monographs, Vol. 33, pp. 377-391, 1966. https://doi.org/10.1080/03637756609375505
  36. Rogers, R. W., "A Protection of an appeal and attitude change," Jounal of Psychology, Vol. 91, pp. 93-114, 1975. https://doi.org/10.1080/00223980.1975.9915803
  37. Witte, K., Meyer, G., and Martell, D., "Effective Health risk message: A step-by-step guide," Thousand Oaks, Sage, 2001.
  38. http://www.mofa.go.kr/news/pressinformation/index.jsp?menu=m_20_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