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hought

검색결과 8,488건 처리시간 0.042초

보건소 방문 고혈압환자의 약물복용 실태와 관련요인 (Status of Hypertensive Patients' Drug-taking in Health Center and Its related Factors)

  • 서성희;박재용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4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before registration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enforcing management system in health centers,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could achieved comprehensively and continuously by knowing the realities of drug-taking and its related factors those who are being cared for in health centers. For one year, a questionnaire about drug-taking realities of hypertensive patient was distributed at 8 health centers in Taegu from March 24. 1997 to April 24. 1997. The questionnaires were then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691 patients, 77.4% of patient were taking medicine regularly every day. The reasons why patients weren't taking medicine every day was as follows: the blood pressure became normal(34%, the highest of the group), patients forgot(28.2%), it was difficult to buy the medicine(15.4%), there was no effect even though the patient took medicine continuously. The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outside of health centers was 28.9%. The types and percentages of alternative medicine are herbs (50.5%), health food(24.5%), folk remedy(13.7%). Among them, 44.6% of patients didn't know if the medicine was effective. Medical treatment places excluding health centers was pharmacies(63.5%-the highest rate). In simple analysis, the older one was the more regularly one took the medicin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relations. Of health activities, patients eating low-salt diet showed that they took the medicine regularly. Nonsmoking patients and those who experienced drug side-effect and those who doubted doctor's prescriptions and instructions showed that they took alternative, excluding modem medicine. Anti-hypertensive drug medication status according to recognition, attitude, experiences of hypertension showed that pati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take anti-hypertensive drug during the whole life time took the medicine regularly(82.3%). The reasons for patients turning to alternatives varied. In case of having subjective symptom(34.1%), those who thought they knew the hypertension well(36.6%), they decided to use alternative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key statistics were as follows: The older patients, patients who ate low-salt diet, pati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take anti-hypertensive drug during the whole life time, all showed that they took medicines regularly. And also patients who experienced drug side-effect, doubted prescriptions and instructions, and patients who had subjective symptoms, patients who thought that he knew the hypertension very well, all showed higher rate of using alternative medicine. In the future, at the health centers, to register and manage hypertension patients effectively, we must educate patients about regular drug-taking, and alternatives without doctor's prescriptions.

  • PDF

액체 혼합물의 끓음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의 이해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Boiling Process of a Liquid Mixture)

  • 박기라;윤희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5호
    • /
    • pp.454-46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액체 혼합물의 끓음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화학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에탄올 수용액의 끓는점과 가열 곡선 유형, 용액이 끓을 때의 기포 속 입자 모형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9명을 면담하였다. 그 결과, 50% 몰분율의 에탄올 수용액의 끓는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78-100 ℃ 구간에서 끓기 시작한다’는 과학적인 응답이 52.3%이었고, ‘에탄올 끓는점인 78 ℃에서 끓기 시작한다’고 생각하는 응답이 35.4%이었다. 전자의 경우, 물과 에탄올의 부분 증기압력의 합이 순수한 에탄올의 증기압력보다 작고, 물의 증기압력보다 커진다는 과학적인 설명에 비해 ‘끓을 때 에탄올 분자가 물 분자와의 인력이나 진로 방해 등을 통해 순수한 끓는점보다 높아진다’고 생각하는 설명이 많았다. 후자의 경우, 에탄올이 먼저 끓는데, 끓는점은 물질의 고유성질이므로 혼합물이 되어도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액체 혼합물의 가열 시 온도변화에 대해서는 끓기 시작하면서 온도가 증가하다가 일정한 온도가 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69.2%이었으나 이들은 에탄올이 끓으면서 기화되어, 액체상에 물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점점 끓는점이 증가하게 된다는 설명을 하거나, 에탄올은 상태 변화하지만 액체로 남아있는 물이 열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에 혼합액체의 온도가 증가한다는 설명을 제시하였다. 상당수의 예비교사는 두 개의 일정한 온도 구간이 나타난다는 응답을 하였는데 이들은 액체 혼합물의 각 성분이 자신의 고유한 끓는점에서 상태변화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액체 혼합물의 증발과 끓음 상황에서 기체상에서의 입자 모형을 분석한 결과, 증발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가 기체상에 물과 에탄올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형을 그렸으나, 끓음 상황에서는 기체상에 에탄올만 존재하는 모형을 그리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혼합액체의 끓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대체적 개념과 이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일정성분비의 법칙에 관련된 앙금생성실험과 모형실험수업의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Instruct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Experiment of Precipitation and the Experiment with Ball and Stick Model Related to 'Law of Definite Proportions')

  • 백성혜;김형삼;한유화;김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38-34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에 가르치는 일정성분비의 법칙과 관련된 앙금생성실험수업과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3학년 250명이었으며, 각각 앙금생성 실험반과 모형반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앙금생성 실험반은 수용액 안에 각각의 원소들이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두 용액을 섞으면 새로운 화합물이 만들어진다고 인식하는 비율도 모형반보다 높았다. 앙금생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두 집단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오답의 비율이 높아 교수전략이 학생들의 인식을 교정하는데 효율적이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비록 실험 결과로부터 규칙성을 찾는 비율은 모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높았지만, 실험 결과로부터 반응물 사이의 일정비 결합을 추론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두 집단이 유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실험과 모형을 통해 일정성분비를 추론하는 것은 중학생의 수준에서 쉽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학급상담 전략이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unseling Strategy in Classroom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Reje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강하영;안이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51-66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배척아동을 대상으로 교사가 학급상담 전략을 실시하여 대인문제 해결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시 소재 H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130명을 대상으로 또래지명법(peer nomination)을 이용한 안이환(2007)의 사회성측정 검사를 실시하여 배척아동 21명을 선발하였다 이들 중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자기훈육, 협동, 상호존중, 책임분담, 사회적 평등으로 구성된 Dreikurs(1971)의 학급상담전략(the counseling strategy in classroom)을 참고하여, 학급의 구조적 환경 설정, 학급활동, 상담활동, 협동학습의 네 가지 측면에서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안적 해결사고, 원인적 해결사고를 제외한, 결과 예측사고, 수단-목적 사고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교사가 학급상담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급 내 사회적지위(social status) 및 사회적지위에 따른 5가지 아동유형별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프레게 의미이론 비판 (Early Wittgenstein's Criticism of Frege's Theory of Meaning)

  • 박정일
    • 논리연구
    • /
    • 제16권3호
    • /
    • pp.347-380
    • /
    • 2013
  • 나는 이 글에서 비트겐슈타인이 프레게의 의미 이론을 어떻게 비판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프레게의 의미 이론은 뜻-지시체 이론으로 요약된다. 프레게는 모든 언어적 표현에 대해 뜻과 지시체를 구분한다. 특히 그는 문장도 뜻과 지시체를 지닌다고 간주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분은 소위 동일성 문장 문제로부터 제기된 것이다. "논고"의 "근본 사상"은 프레게의 뜻-지시체 이론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의 단초이다. 즉 한 문장의 지시체는 진리치이며 진리치는 (프레게의 의미에서) "대상 자체"라는 생각에 대한 공격이다. 비트겐슈타인에 따르면 그러한 대상은 실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림 이론에 따르면 이름과 명제의 기능은 근원적으로 상이하다. 그런데 프레게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비판이 불충분하다고 정당하게 응수할 수 있다. 요컨대 프레게의 "뜻", "지시체" 등은 모두 전문 용어인 것이다. 그리하여 비트겐슈타인의 결정적인 비판은 프레게의 이론 체계의 논리적 허점을 추궁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프레게가 한 문장의 뜻과 지시체를 도입하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 그는 "개념 표기법"에서는 판단선과 내용선에 대한 논의에서, 그리고 "함수와 개념" 이후에는 판 단선과 수평선에 대한 논의에서 한 문장의 뜻과 지시체를 다룬다. 비트겐슈타인은 바로 이러한 프레게의 규정에 의해서는 복합 문장의 뜻은 결코 해명될 수 없다고 비판한다.

  • PDF

일본의 자연환경보전사조 및 관련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rrent Ideas and Institution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Japan -Policy and Institution of Open Space and Forest -)

  • 김승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
    • /
    • 1989
  • ^x As mentioned above, I consider the change of role that is related with Japanese thought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 divide each part of periods into forest, farmland, open space,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etc. To summary the content of each period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ought is as follows. 1) Previous period before formation(before 1919) In the previous period of Meiji, it could be said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 coming to existence. In this, so called,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e thought of Forest Preservation was the main current and it was the thought of territorial integrity for the security of resource, the forestry conservancy and flood control in the forestry farmland. Since the age of Meiji, the theory of Natural Conservation appears from the theory of Japanese landscap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about public parks was enforced, but the regular theory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did not attain full growth. 2) The period of formation(1919~ 1954) In the period of formation, the base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d been established. Parks and Open spaces were admitted as a public facilities in each city, and legislations which supported it had been continuously enacted and so on. In this period, the afforestation counter plan was emphasized on the side of territorial integrity. In the mountainous district. tree planting was emphasized to recover the forest which had been destroied by war. 3) The period of development(1955~ 1974) In the period of development, varied policies was institutionalized for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owever, all sorts of development policy had performed simultaneously, thus development had complicated relation with preservation. But after 1970's the framework of system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improvement was constituted to control the many kinds of development, and the spontaneous campaign of nature preservation by private lead was being taken root. This is the more progressive period. 4) The pried of root(after 1975) After the latter of 1970's, the role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began to take root not in the direction of control but inducement, and, getting out of development - oriented policy, aimed at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ide of amenity of human environment. Besides, the current of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had been seperately progressed in the cities and forests. Since this period, it was the character that cities and forests began to be unified as 'amenity'space of man.

  • PDF

학부모와 함께 하는 흥미로운 수학지도 방안 (On the Attractiv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with Parents of Students)

  • 박형빈;이헌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55-469
    • /
    • 2007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연구 개발된 교재와 결과물 중에서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내용으로 교육 과정을 편성하여 교육함으로써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교육 환경이 학부모라 생각하고 학부모에게 사전 교육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자기 주변의 생활에서 문제를 찾고 흥미를 유발시켜 개방적 탐구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연구한 실험 연구라 할 수 있다.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생활 속에 포함된 문제를 스스로 찾고 분석하여 해결하는 학부모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활용 능력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 진행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실행하였는데 학부모 교육과 학생 교육을 통하여 사고력, 논리력, 추리력을 배양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학습 의욕을 진작시켜 생활 친화적인 수학지식을 습득시키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 PDF

"유문사친(儒門事親)"의 '한법(汗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aphoretic Therapy[汗法] in "Yumunsachin(儒門事親)")

  • 김기욱;박현국;정경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
    • /
    • 2008
  • Jangjahwa(張子和) was influenced by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Yuhagan(劉河間)'s theory, and other classics. Also, his clinical experience was helpful to theorize his thought. Thus, he improved medical theory by combining previous medical theory and his own experience. The essence of his thought is the importance of pathogenic Gi[邪氣] as the cause of disease and is Sambeop(三法) of Hantoha(汗吐下) as the methodology for removing pathogenic Gi[邪氣] away. He regarded pathogenic Gi as the cause of disease, and eliminated pathogenic Gi for the remedy. Namely, Sambeop(三法) of Hantoha(汗吐下) was selected as the best efficient method for driving pathogenic Gi away. Sambeop of Jangjahwa(張子和) have different meaning from previous one. Traditionally, Diaphoretic Therapy[汗法] was regarded as therapy for exogenous disease[外感病], and its effect was regarded as Balhanhaepyo(發汗解表). Emetic therapy[吐法] was throwing up Dameumsuksik(痰飮宿食) of stomach and above diaphragm. Purgation therapy[下法] means Tongbyeon(通便), Hajeok(下積), Sasil(瀉實), Chuksu(逐水) were regarded as therapy for Yangmyeongsiljeung(陽明實證) of Sanghan(傷寒). He submitted a new extensive concept of Sambeop adding traditional one, and expanded the application range of Sambeop. All methods, can cause circulation of Gihyeol(氣血) by opening the 'Hyeonbu(玄府)', like Moxibution therapy[灸薰], Steaming[蒸], Washing[洗],Heat therapy[慰], Cauterization[烙], Acupuncture therapy[鍼刺], Stone needling, Physical and breathing exercise[導引], Massage[按摩] were regarded as Diaphoretic Therapy[汗法]. Especially, he thought that Diaphoretic Therapy and venesection[瀉血] have same medical implication. If we examine the process of pushing out pathogenic Gi[邪氣] by means of Sambeop(三法), we can find the intermediation, that is circulation of Gihyeol(氣血). Its meaning is implied in the word of 'opening Hyeonbu(玄府)'. He thought that the circulation of Gihyeol(氣血) is the key to control health. Gihyeol(氣血) was circulated well under the physiological balance, but it was not circulated well under the invasion of pathogenic Gi[邪氣]. In other words, pathogenic Gi is the immediate cause of bad circulation of Gihyeol(氣血) and disease. Naturally, the doctor must remove pathogenic Gi that cause bad circulation for healing by means of Sambeop(三法). In my opinion,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Jangjahwa(張子和) was circulation of Gihyeol(氣血) by removing pathogenic Gi[邪氣], the concept of Sarnbeop(三法) could be expanded.

  • PDF

묵자의 「천지(天志)」, 「명귀(明鬼)」 및 「비명(非命)」 편 분석을 통한 천인(天人)관계 고찰 (Consideration about 'Heaven and Man' from review and analysis of 'Heaven's Will', 'Verification of Ghost' and 'Indeterminism' of Mozi)

  • 황성규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165-190
    • /
    • 2017
  • 이 글은 묵자가 기술한 "천지(天志)", "명귀(明鬼)" 그리고 "비명(非命)" 세 편에 내재된 주안점이나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묵자의 '천(天)'과 '인(人)'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천지"와 "명귀"는 '천'이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묵가 학설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개진된 것이며, 묵자의 유신론적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비명"편은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인식 방법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묵자의 무신론적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글이 보기에, "천지"편은 통치자나 일반 백성이 어떤 점에 입각해서 통치하며 생활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원리적 성격의 행위 준칙을 담고 있으며, 이러한 원리에 부응하거나 위배되었을 때 직접 나서서 상을 주거나 응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가 바로 귀신이다. 따라서 인간은 '하늘의 뜻'에 입각하여 현실 사회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늘에 의해 나의 명(命)이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나의 명이 결정되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노력을 하는 인간에 대해 하늘이 도움을 준다는 것이 "비명"편의 주된 논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천지", "명귀"와 "비명"은 모순되는 것이 아니며, 유신에서 무신으로의 전회도 아닌 것이다. 묵자는 하늘과 귀신이 하는 일과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명확히 구분하려고 하였으며, 이는 "천지", "명귀" 그리고 "비명"에서 명확히 표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박세당의 주희 이해 (Park, Se-dang's understanding of Zhuxi)

  • 허종은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55-80
    • /
    • 2014
  • 박세당의 경학사상에 대한 평가는 '반주자학' 혹은 '탈성리학'적인 요소라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그렇지 않다는 경우에는 박세당이 주자의 성리학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다는 주장, 박세당의 경학사상은 경학사적인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박세당의 학문을 주자학 혹은 성리학이라는 틀을 통한 이해보다는 박세당 자신의 관점이 무엇이었으며, 그 관점에서 주자가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박세당은 경문의 새로운 이해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주희의 주석을 비판 또는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박세당이 "사변록"을 저술하게 된 동기와 그 속에 나타나 있는 그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을 통하여 그의 주희 이해 방식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박세당은 학문에서 멀고 깊은 것은 가깝고 얕은 것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인간이 도달하기 쉽고, 헤아리거나 얻거나 알기 쉬운 것으로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버려두고 멀고 깊은 것을 탐구하게 되면 본령에서 어긋난 공부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것이 박세당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인 '하학상달'의 방법이다. 박세당은 한당대(漢唐代)의 잘못된 학문 경향을 바로잡은 공로는 바로 정주학(程朱學)이며, 정자(程子) 주자(朱子) 두 선생에 의해 육경(六經)의 뜻이 다시 세상에 밝혀지게 되었다고 극찬하였다. 그리고 박세당은 육경의 이치는 하나지만 그것을 이해하는 길은 여러 가지이므로 주자학(朱子學)도 그 중에 하나라고 인정하였다. 물론 자신의 방법도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변록"을 짓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견해와 하학상달의 방법론이 박세당 경학의 기본 입장이며, 이 관점에서 박세당은 주희의 경전 주석을 이해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박세당은 경전에 대한 기본 입장과 하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유교 경전을 새롭게 해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주희의 주석을 비판 혹은 수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