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ea

검색결과 2,951건 처리시간 0.032초

감잎차, 녹차, 우롱차 추출물이 돌연변이 물질로 유발된 Sister Chromatid Exchanges 빈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 Green Tea Extract and Oolong Tea Extract on the Frequencies of Mutagen-Induced Sister Chromatid Exchange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송현순;이현걸;최언호;강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23-830
    • /
    • 1999
  • 배양 CHO cell에 SCE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음용하는 조건에서 추출한 시판 감잎차, 녹차, 우롱차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돌연변이 물질로 사용한 MMC에 의하여 유발된 SCE 빈도에 미치는 각 차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본 결과, 감잎차는 MMC 처리 후 S9 mix와 함께 고농도$(1000\;{\mu}g/mL)$로 세포에 처리되었을 때 SCE 빈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S9 mix 없이 감잎차 추출물만을 후처리한 경우는 저농도$(20{\sim}80\;{\mu}g/mL)$에서 SCE 유발빈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우롱차는 MMC처리 후 S9 mix와 함께 저농도$(10{\sim}20\;{\mu}g/mL)$로 처리 시 SCE 유발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녹차는 MMC 처리 후 S9 mix와 함께 추출물 농도 $160\;{\mu}g/mL$로 처리 시 SCE 유발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감잎차, 녹차, 우롱차 모두 농도는 다르나 각 추출물을 S9 mix와 함께 세포분열 주기 중 G1기에 후 처리 되었을 때에 SCE 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감잎차는 S9 mix 없이 단독으로 후처리 되었을 때에도 용량 상관성은 없지만 SCE 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판 감잎차, 녹차, 우롱차 추출물에는 MMC로 유발된 돌연변이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잎차의 경우 S9 mix 없이도 SCE 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다른 두 차와는 다른 기전의 돌연변이 억제 작용을 하는 성분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류의 유형별 항산화 성분함량 및 항산화 활성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by the Types of Tea)

  • 김명길;오문석;전종섭;김한택;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2-139
    • /
    • 2016
  • 본 연구는 다류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대한 조사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 99건의 다류에 대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자유라디칼소거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차 시료 100 g당 아스코르빈산 당량의 mg(L-아스코르빈산 동등한 항산화 능력, AEAC)과 1회 제공량 당 mg(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SC_{50}$)으로 나타냈고 시료추출액에서의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Davis변법으로 측정하였고 Vitamin C는 HPLC법으로 분석하였다. AEAC 값은 마테차, 녹차, 홍차, 헛개차, 국화차, 우엉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물질은 차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중요한 항산화 물질로 홍차, 녹차 그리고 마테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는 마테차, 홍차 그리고 마차에서, Vitamin C는 유자차와 녹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침출차가 고형차나 액상차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연구결과, 다류에는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즉, 다류의 항산화 활성은 폴리페놀에 의한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Tea bag 포장한 멸치 복합 분말의 가공 및 그 추출물의 정미성분 (Processing of anchovy based powder for instant soup packed in tea bag and the taste compound of its extractives)

  • 이호연;정부길;이정석;김풍호;김진수;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71-276
    • /
    • 1993
  •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식용화하기 위하여 멸치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우리나라 사람의 기호에 맞으면서 엑스분의 함량이 많아 즉석수우프의 원료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표고버섯, 다시마, 가쓰오부시 등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복합 분말을 가공하여, 간편성 및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tea bag으로 낱포장을 시도하였다. 아울러 본 시제품 추출물의 정미성분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멸치를 주원료로 한 복합 분말은 혼합물에 대하여 30mesh 정도로 분쇄한 마른멸치, 다시마, 표고버섯, 가쓰오부시를 각각 72%, 14%, 7% 및 7%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복합 분말은 공기투과도가 $65\;m^3/m^2/min$ 또는$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하여 간편성을 도모하였다. 추출물의 총질소함량을 통한 추출속도, 색조 및 관능검사의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최적 추출시간은 tea bag을 하지 않은 대조시료의 경우 3분,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으로 포장한 제품의 경우 5분, 공기투과도 $65\;m^3/m^2/min$인 tea bag으로 포장한 제품의 경우 20분 이상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멸치를 주원료로 하는 복합 분말은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한 것의 경우 대조제품에 비하여는 간편성이 있었고, 추출율로 볼 때 공기투과도 $65\;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한 것에 비하여는 경제성이 있어 공기투과도 $100\;m^3/m^2/min$인 tea bag에 포장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멸치를 주원료로 하는 복합 분말추출물의 맛에는 멸치의 맛성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쳐 histidine, proline, lysine 및 taurine 등의 유리아미노산과 IMP 등의 핵산관련물질이 주체를 이루었고, 총 creatinine, betaine, TMAO 등이 보조적으로 관여한다고 판단되었다.

  • PDF

감 (Diospyros kaki, Thumb) 잎차의 화학 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 성낙주;정선영;이수정;조종수;강신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0-726
    • /
    • 1995
  • 녹차와 더불어 시판되고 있는 감잎차의 제조방법을 기존 제차공정과 달리할 경우 차의 성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 성분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감잎차의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핵산관련 물질, 유리당 및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 비교하였다. 차엽의 수분은 6.9~7.0%, 회분은 8.3~9.0%, 조지방은 6.1~6.9%였다. 전질소의 함량은 3.4~4.8%, 차엽의 카페인 함량은 $178.4~209.8{\mu}mol/g$, 탄닌 함량은 29.1~38.5%, 비타민 C는 325.3~2084.7mg%로서 RHT가 2084.7mg%로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찻물의 경우 카페인의 함량이 $101.5~130.1{\mu}mol/g$, 탄닌의 함량이 15.4~25.9mg%였으며, 비타민 C는 111.0~1274.3mg%로 차엽과 마찬가지로 RHT에서 1274.3mg%으로 다른 차에 비해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찻물의 용출율은 51.1%였다. 차엽의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이들 4종이 아미노산이 총 아미노산에 대하여 SHT는 39.8%, DHT는 38.8%, RHT는 39.1%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함량이 높은 것은 glutamic acid(10.9~12.9 mg%)였다. 찻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엽과 마찬가지로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proline, histidine 및 arginine 순이었다. 핵산관련 물질(CMP, IMP, AMP, UMP, GMP, hypox-anthine)의 함량은 생엽 $119.2{\mu}mol/100g$, 차엽 및 찻물 모두에서 CMP의 함량이 많았다. 차엽 중에서 CMP 다음으로 함량이 높은 것을 보면 SHT에서는 GMP, DHT는 AMP, RHT는 UMP였으며, 찻물의 경우도 역시 차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엽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85.2{\mu}mol/100g$으로 가장 높았고, SHT, DHT 및 RHT에서 모두 fruct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찻물 역시 차엽과 마찬가지로 sucros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볶은 보리에 의한 수돗물 중 염소소독부산물의 흡착 제거 여부 및 보리차.옥수수차.결명차 중의 Maillard 반응 생성물 동정 (Does Roasted Barley Eliminate the Tap Water Chlorination By-products by Adsorption Process\ulcorner; Identification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Extracted in Barley Tea, Corn Tea, and Cassia tora Seed Tea)

  • 김희갑;이수형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62-62
    • /
    • 1999
  • PDF

막투과법에 의한 녹차음료의 카드뮴 및 납 제거효과 (Effect of Green Tea Beverage on the Removal of Cadmium and Lead by Membrane Filtration)

  • 최성인;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40-744
    • /
    • 1994
  • 본 연구는 녹차음료가 음용수나 식품에 오염된 중금속 (Pb, Cd)의 장내 흡수 억제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기위해 장내 흡수 조건을 고려한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다. 납과 카드뮴이 수질기준의 10배 또는 100배로 오염된 음료수애서 단독오염의 경우 납은 녹차, 홍차에서 $50{\sim}70%$, 보리차에서 $30{\sim}40%$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카드뮴은 녹차, 홍차에서 $30{\sim}40%$, 보리차에서 $10{\sim}20%$의 제거율을 나타냈다. 납과 카드뮴이 혼합오염된 경우는 단독오염보다 제거효과가 낮았는데 이는 다엽성분 및 여과막에 대한 두 금속원소의 흡착경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류 원료에서 음료틀 침출하는$70^{\circ}C$, 2분과 $95^{\circ}C$, 10분외 두 조건은 비슷한 중금속 제거율을 보였다. 녹차의 페놀성 물질인 tannic acid 와 gallicd acid도 비슷한 중금속 제거효과를 보였다.

  • PDF

출토 면직물 습식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의 세척성 연구 (Detergency of Natural Surfactant for the Cleaning of Excavated Cotton Fabrics)

  • 백영미;이영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6
    • /
    • 2017
  • 본 연구는 출토직물의 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 선정을 위하여 그 특성과 세척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조군으로 합성계면활성제인 SDS (Sodium dodecyl sulfate)와 천연계면활성제 중 LES (Disodium laurethsulfosuccinate), apple wash (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tea saponin (Saponin), cornacopa (Decyl glucoside), coco betain (Cocamidopropyl betaine) 등 5종을 선별하여 계면활성제의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분석으로 구조를 확인하고, pH와 표면장력 측정으로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공오염포 4종과 출토직물편에 대한 세척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인공오염포에 대해서는 apple wash, tea saponin, cornacopa가 세척성에 있어서 SDS만큼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토직물편에 대해서는 tea ssponin과 coco betain의 세척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제의 안전성과 세척성을 감안할 때 천연계면활성제 중 tea saponin이 출토복식 세척을 위한 천연계면활성제로써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용성 절삭유(Water-Soluble Metalworking Fluids)에서 분석한 MEA, DEA, TEA의 농도 분포 특성 및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대한 정확성 평가 (Assessment of the Accuracy on MSDS of Water-soluble Metalworking Fluids with Respect to Concentration of MEA, DEA and TEA)

  • 이권섭;선옥남;윤경섭;박동욱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2-60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to assess the accuracy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for some water-soluble metalworking fluid (MWF) with respect to mono- ethanolamine(MEA), di-ethanolamine(DEA) and tri-ethanolamine (TEA). 39 fresh and 52 used MWFs for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workplace. The quant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MEA, DEA and TEA were done using ion-chromatography. Thre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EA that was not addressed in material safety & data sheets (MSDS) was found to be enough higher than 1%, 2) 33.3% of 39 fresh MWF showed ingredient and concentration of MEA, DEA and TEA in MSDS and 3) the concentrations of MEA(20.5%), DEA(41.3%) and TEA(15.4%)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dicated in MSDS.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the accuracy on ingredients and concentrations of MEA, DEA and TEA provided in MWF was very low. Our study recommends that the limit concentration of chemical except for carcinogen that employer has to indicate in MSDS should be lowered from 1% to 0.1% .

녹차가루 첨가 두부의 저장 특성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levels on Storage Chracteristics of Tofu)

  • 정지영;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35
    • /
    • 2002
  • 한국산 대두(장엽콩)에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저장 특성을 검토하였다. 녹차가루 첨가 두부의 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수율을 보였다. 녹차가루 첨가두부와 두부 침지액의 pH는 저장기간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감소폭은 녹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서 가장 컸고, 녹차가루 1.0% 첨가시료에서 가장 적었다. 녹차가루 첨가두부 색도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L값과 b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녹차가루 첨가두부의 조직 특성치는 저장기간에 따라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차가루 첨가두부 침지액의 총 미생물 수와 흡광도는 증가하였으며, 녹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치가 낮아져 저장 8일째의 녹차가루 1.0% 첨가시료의 미생물은 3.0x$10^{6}$ CFU/ml이었으며 흡광도는 0.175로 가장 낮았다.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한 녹차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reen Tea Prepared with Alkaline Ionized Water)

  • 이정민;박순례;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43-1047
    • /
    • 2007
  • 시판되고 있는 녹차잎을 $75^{\circ}C$에서 알칼리 이온수로 10분간 추출하여 녹차를 제조한 뒤,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알칼리 이온수로 제조한 녹차의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과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unter 색도 L, a, b값은 pH 증가에 따라 각각 감소, 감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녹차의 주된 성분인 epicatechin류의 함량은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카페인은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도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tyrosinase 억제능은 pH 8.85의 알칼리 이온수 녹차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