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oybean

검색결과 5,913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과 일본 된장의 맛성분 비교 (Comparison of Taste Component of Korean and Japanese Soybean Paste(Doenjang & Miso) -Free Amino Acids Comparison-)

  • 김천호;다께시 스미노;구니꼬 아이다;사끼꼬 스미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4
    • /
    • 1998
  •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 된장은 극히 보편화된 전통식품이다. 최근에 양국에서는 된장의 가공과정에서 영양상 문제가 되고 있는 감염과 맛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 중의 일환으로 저자는 앞서 김치중의 Na과 K에 관한 보고를 했으며 금번 보고에서는 된장중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서 양국의 된장의 차이를 비교 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유리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한국의 시판 된장과 가정에서의 재래식 재료된장이 유사했고 한편 일본도 시판 된장과 가정 제조 된장에서 길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는 glutamic acid의 수치가 가장 높은 점에서도 한국과 일본 된장에서 유사하여 한국시판 된장 22.7%. 한국가정 제조된장 17.5%, 한국시판청국장 11.5%, 일본 시판 10.4, 일본 가정 1% 등으로 분석 되었다. 즉, 이들의 글루타민산의 높은 함량이 양국의 된장의 맛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LM콩과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Soybean Hybrid Seeds Resulted from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LM Soybean and Wild Soybean)

  • 박해림;육민정;김도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96-202
    • /
    • 2016
  • 국내에는 야생콩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LM콩으로부터의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한 교잡후대종에 관한 연구는 국내 콩 다양성 보전과 LMO 안전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과 일년생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형태적 및 발아 휴면특성을 평가하여 교잡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잡 1세대의 경우 형태적으로 돌콩과 매우 유사하며, 발아휴면특성 또한 모본인 돌콩과 유사하여 휴면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교잡 2세대 종자는 형태적 특성과 발아휴면특성이 부모종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니며 모본인 돌콩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F2의 휴면율은 65.5%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아 잡초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농업환경에서 교잡후대종이 잡초화 되려면 11월 이후에 탈립된 종자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여 종자 활력을 유지하고, 휴면이 타파된 후 발아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다른 재배종 및 야생종들과 경합하여 생존 및 세대진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Diosgenin을 함유한 마(Dioscorea spp.) 첨가 전통된장의 발효과정 중 품질변화 및 DHEA의 생성 (The Quality and Potential of DHEA Formation after the Addition of Diosgenin of Yam(Dioscorea spp.)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 장상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9-455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and potential of DHEA formation after the addition of diosgenin of yam(Dioscorea spp.)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All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variety of yam. In sample A, the soy source was not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and in sample B, the soybean source was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The range in salt concentration in the samples was as follows : sample A: 10.5~11.8%, samples B: 7.9~8.8%. However, no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ples, in terms of salt content, were observed.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were found to decrease with the fermentation time of soybean paste(passage of 30 days: 26.4~32.3% and 4.45~5.90%, passage of 60 days: 24.5~28.5% and 3.95~4.90%, respectively). As the fermentation time of soybean paste increased, the nitrogen from amino compounds increased(passage of 30 days: 531.9~687.7 mg%, passage of 60 days: 551.3~706.8 mg%). In regards to color and preference, sample B, where the soy source was separated from soybean paste, was better than sample A, where the two components were not separated. After a soybean paste fermentation time of 60 days, the diosgenin of yam, which was added to the soybean paste, was not detected in tested samples, and the contents of DHEA formation in soybean paste were as follows: sample A: $488.0\pm42.5{\sim}719.3\pm44.8{\mu}g/g$, sample B: $287.3\pm20.6{\sim}482.7{\pm}36.5{\mu}g/g$.

두부제조시(豆腐製造時) 대두(大豆)의 수침시간(水浸時間)에 따른 수용성당류(水溶性糖類) 및 두부수율(豆腐收率)의 변화(變化) (Changes in Soluble Sugars and Soybean Curd Yield with Increased Steeping Time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최광수;김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1-406
    • /
    • 1983
  • 두부 제조시 대두 내에 함유된 장내 가스 생성성분인 raffinose등의 수용성 소당류가 두부로 적게 이행되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두의 수침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켜서 제조된 두유, 두부 및 순물 내의 이들 당류의 함량 및 두부수율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두의 수침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두유내의 포도당 총량은 대두에 함유되었던 포도량 총량에 비하여 225, 425 및 431%씩 각각 현저히 증가하여 나타났고 그 양의 1/3량들이 각각 두부로 이행하였다. 2. 총 sucrose 량은 수침 시간을 연장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여 두유로 이행되었으나 그 대부분은 순물로 이행되었고 두부로는 1/10량만이 이동되었다. 3. maltose는 수침 시간 연장에 별 관계없이 대부분이 두유로 이행되었다가 거의 전량 순물로 이행되었다. 4. raffinose는 수침 시간이 5, 10, 24시간으로 연장됨에 따라 대두 내의 총량에 비하여 55.6, 52.5 및 46.3%씩 각각 점차 감소하여 두유로 이행되었고 두유 내에 함유된 양의 약 20%가 두부로 이행되고 대부분 순물로 이동되었다. 5. 두부수율은 침지 시간을 5, 10, 24시간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차츰 증가하여 각각 37.6, 44 및 47.4% 이었다.

  • PDF

국산 한약재 추출물로 재배한 콩나물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with Extract of Korean Herb Medicines)

  • 최상도;김윤희;남상해;손미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8-173
    • /
    • 2002
  • 한약재 추출물로 재배한 콩나물의 무게와 길이변화 및 조단백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한약재중에서 콩나물 무게와 길이의 증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감초가 효과적이었다. 당귀와 천궁 추출물 은 대조구와 비슷하였고, 황련 추출물은 오히려 억제되었다. 인삼과 감초의 추출물 농도는 각각 200 ppm 및 100 ppm에서 콩나물 무게와 길이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인삼 추출물에서 콩나물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재배일수별로는 균 7.2%로 증가하였고, 길이는 200 ppm에서 평균 32% 신장 증가를 촉진시켰으며, 3일째에 길이가 50%로 가장 빨리 성장됨을 알 수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당귀 및 인삼 처리구의 경우, 재배기간에 따른 그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천궁 처리구는 고농도(300∼400 ppm)에서 4일째가 대조구에 비하여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감초 추출물로 재배한 콩나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Cultivated with Extract of Korean Glycyrrhiza glabra)

  • 최상도;김윤희;남상해;손미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4-178
    • /
    • 2002
  • 감초추출물의 농도를 100 ppm, 200 ppm, 300 ppm and 400 ppm로 조절하여 콩을 발아시켜 재배한 콩나물의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을 재배 2일, 3일 및 4일째에 분석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0 ppm에서 3일간 재배하였을 때가 가장 높았고, 또한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aspartic acid 함량은 증가하지만, glutamic acid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GGE 콩나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러나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그 함량은 많아졌다 Sucrose함량은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다른 유리당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총 유기산은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200 ppm으로 재배한 콩나물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감초추출물은 콩나물의 품질증진을 위한 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발아 및 재배수로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전통된장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A Plan for Improving Quality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 최동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8-223
    • /
    • 2003
  • This study is proceeded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method for making soybean paste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Fermentation condition of Meju was 1) Pre-fermentation : 30 days in about 20$^{\circ}C$ room, 2) Main fermentation : 5 days in 30$^{\circ}C$ or upper temperature, 3) Post fermentation and drying : 30 days in well sunlightened room in January. Meju was soaked in 18% salt solution(Meju 7kg/salt solution 20L) for 35~40 days (from late February to early April) and after soaking Meju was filtered as unsoluble solute and crushed and put into traditional Korean receptacle(named 'Dok'). Crushed Meju was stored from early April to mid September and Meju was changed into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amino acid nitrogen in Doen-jang was slightly increased in early period and decreased lately. It has been proved that by panel test soybean paste made by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as more excellent than commercially fermented soybean paste.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production of soybean paste made by traditional method.

조선시대 전반기의 두장류(豆醬類)에 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Jang (Fermented Soybean Sauce)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 한복려;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3
    • /
    • 2020
  • This study categorized and made considerations of the fermented soybean pastes into Meju, Chungjang, Si, mixed Jang, and other Jang in accordance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s described in the fermented soybean paste section of Sangayorok (1450's), Suunjapbang (1540's) and Gyemiseo (1554). These are ancient cook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tent on the fermented soybean pastes recorded in these books included 24 items in Sangayorok, 11 items in Suunjapbang, and 14 items in Gyemiseo.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fermented soybean past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ere those used to produce soy sauce-like seasoning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 salty taste with Meju made of soybeans as the main ingredient.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such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history to the present era.

Effect of Different Herbicides on For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in Corn-soybean Mixture Cropping

  • Kim, Dong Woo;Song, Yowook;Kim, Jeongtae;Fiaz, Muhamad;Kwon, Chan 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8-11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herbicides in corn-soybean intercropping for optimum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under Korean environment conditions. Herbicidal treatments were randomly applied over five plots, viz. (1) Control treatment: no herbicide; (2) Alachlor; (3) Simazine; (4) Pendimethalin and (5) Mixture of alachlor and simazine herbicides in RCBD have three replications. Results depicted that treated herbicide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 over control of weeds. Simazine herbicide alone or mixed with alachlor had adverse effects on soybean but enhanced (p<0.05) corn production in terms of survivability, dry matter and digestible nutrients yield. Corn-soybean coupling and total dry matter yield were greater (p<0.05) in pendimethalin. Simazine-alachlor mixture reduced (p<0.05) soybean height. Conclusively, simazine could not be suitable for corn soybean intercropping because of having an adverse effect on soybean component. Pendimethalin could maintain growth and yield of corn and soybean both components. Effect of alachlor was comparable to that of pendimethalin.

함초를 첨가한 두부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Curd Add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 신미경;김명희;홍금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3-127
    • /
    • 2013
  • In this study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curd were prepared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The moisture and protein of the saltwort soybean curd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Ash and lipid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soybean curd to which 20% saltwort was added. The contents of mineral(Fe, K, Mg, Zn) were highest in the soybean curd to which 20% saltwort was added, and Ca content was high in the soybean curd to which 16% and 20% saltwort was added. DPPH (1,1-dipheny1-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a method of measuring the antioxidant power of food; this was high in the soybean curd to which 20% saltwort was added. Adding more saltwort led to higher scavenging activity. From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the soybean curd, which is made by adding saltwort,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functionality of antioxidant activation and product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