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ttoral Environment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여름철 얕은 저수지의 중앙과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서식지 선택 (Habitats Selection of Zooplankton between Pelagic and Littoral Zone in Shallow Reservoirs in Summer)

  • 정현기;서정관;이혜진;이원철;이재관
    • 환경생물
    • /
    • 제28권4호
    • /
    • pp.188-1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수심이 낮은 4개 저수지의 중앙과 연안에서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4개 지역의 조사기간 동안 평균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저수지 중앙에서 $477.5{\pm}312.4$ ind. $L^{-1}$로 높게 조사되었고, 저수지 중앙과 연안을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ig. 3, t=2.337, p<0.05). 대부분 우점한 분류군은 소형 윤충류로 지역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수지 내 이화학요인 결과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연안에서 수생식물의 밀도가 증가하면 동물플랑크톤도 연안에서 높은 밀도를 보인다. 하지만 4개 저수지의 여름철 수생식물 분포는 지역간 차이를 보이며 얕은 저수지의 전 수면을 Trapa japonica, Spirodela polyrhiza 등 부유식물이나 부엽식물 등으로 뒤덮는 경우 동물플랑크톤 밀도는 저수지 연안(littoral)과 비교 시 중앙(pelagic)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저수지 중앙과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서식지 선택에 있어 수생식물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그리고 수생식물의 높은 밀도로 인해서 항상 연안의 동물플랑크톤밀도가 증가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전 수면을 수생식물이 덮을 경우 저수지 중앙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크게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저수지 내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포식압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수생식물 분포에 영향을 받으며 요각류나 지각류 보다 윤충류에서 크게 차이를 보인다.

Diel Pattern of Littoral Swarming in Moina macrocopa and Impact of Juvenile Fish Density

  • Jeong, Hyun-Gi;La, Geung-Hwan;Kim, Hyun-Woo;Jang, Min-Ho;Jeong, Kwang-Seuk;Yoon, Ju-Duk;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3권4호
    • /
    • pp.513-517
    • /
    • 2010
  • The diel swarming of Moina macrocop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were evaluated in a shallow reservoir. The littoral density of Moina macrocopa maintained low from night to noon, reached maximum density at the afternoon with compact swarms at the waters' edge, and dispersed after sunset. The recruitment of Moina macrocopa and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r=0.709, p<0.001) and juvenile fish density (r=0.511, p=0.002) in the littoral zon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fter the induction of diel horizontal migration toward littoral zone, therefore, direct juvenile fish predation pressure should be induced Moina macrocopa swarming.

부산일원(釜山一圓) 연안해빈사(沿岸海賓砂)의 퇴적학적(堆積學的) 연구(硏究) (Sedimentological Study of Littoral Beach Sand in Busan Area, South Korea)

  • 이유대;최광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2호
    • /
    • pp.65-78
    • /
    • 1983
  • This report deals with the sedimentological study of the littoral sand of beaches in the Busan area.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know the grain size, mineralogical composition, heavy mineral and clay mineral of the beach sands, and gravity measurements of the Nagdong River Deltas. 1) As a whole, the littoral sand of the beaches are composed of uniformly medium grained, moderately sorted and nearly symmetrical. The barrier sand of the Nagdong Estuary is composed of fine grained, well sorted and nearly symmetrical. 2) The littoral sand of the beaches is transported by saltation and rolling. The barrier sand of the Nagdong Estuary is transported by suspension and saltation. 3) In the littoral sand of the beaches, the ratio of feldspar to quartz is 1 :2.31 and in the barrier sand of the Nagdong Estuary 1:1.40. 4) The content of heavy mineral of samples ranges from 0.54 to 3.87 %. The principal heavy minerals are hornblende, pyroxene, epidote, garnet, leucoxene, zircon, apatite, magnetite, hematite and ilmenite with minor accessories of rutile and olivine. 5)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the clay mineral informs the existence of quartz, feldspar, kaolinite and montmorillonite. The montmorillonite is considered to have been derived from the alteration of acidic volcanic rocks. 6) To determine the depositional structure of the Nagdong Estuary, Gravity measurements were made. Free air anomaly ranges from 14.5 mgal to 33.5 mgal and Bouguer anomaly ranges from 14.3 to 23.5 mgal and both are closely related to the topography. According to the interpreted layer structure, the upper layer composing sand, silt and clay, the intermediate layer composing sand with gravel, the lower layer composing weathered and soft rock, and bed rock composing hornfels or andesite. 7)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study, the littoral area is dominated by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Nagdong Estuary by the mixed environment.

  • PDF

복합해수유동 수치모형에 의한 조간대 연안류의 해석 (Analysis of Littoral Currents by the Coupled Hydrodynamic Model)

  • 이종섭;권경환;박일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7-2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가 발달한 우리나라 전북 서해안의 구시포 해안에서 연안류에 미치는 외력성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석 조류 및 파에 의한 해빈류를 고려한 복합해수유동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에서 조석 조류는 EFDC 모형, 파랑은 SWAN 모형, 그리고 해빈류는 SHORECIRC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지에서 조석 조류와 입사파를 현장관측하였고 인근 기상관측소의 바람자료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지의 조간대에서 GPS를 장착한 경량 Drogue의 추적실험을 수행하고 연안류 성분을 추출하였다. 또한 현장관측조건에 맞추어 수치모형에 의한 수치 Drogue 추적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측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치 Drogue의 이동속도는 현장자료에 대해 68.0~105.2 %의 범위로서 재현되었으며, 주류성분의 오차는 - 16.7~ +10.0 %로서 양호하였다. 그리고 연안류 성분은 주로 바람과 조류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저경사가 아주 완만하여 쇄파대폭이 넓은 조간대에서 입사파고가 작은 파가 내습하는 경우의 해빈류는 연안류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Use of the cast net for monitor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 Yoon, Ju-Duk;Kim, Jeong-Hui;Lee, Hae-Jin;Jang, Mi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83-388
    • /
    • 2015
  • Reservoirs consist of two different environments, the littoral and the pelagic zone, and different fishing gear is commonly used in each zone-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and electrofishing in the littoral zone. However, an active fishing gear, the cast net, is normally used instead of electrofishing for scientific stu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stimate cast net effectiveness for determin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the study was conducted at 15 reservoirs with two different fishing gears: a cast net in the littoral zone and 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When combining catches of both gears, species richness increased substantially compared to using one gear only. There was a size difference in fish caught by each net, and small fish were predominantly caught with the cast net due to its small mesh size (7 mm). The combined length of six species, used for length-weight relationship analysis, collected with the cast net was smaller than that collected with gill nets (independent t-test, P < 0.05). In this study, cast net sampling provided sufficient data for the littoral zone, but not enough to identify the overall fish assemblage in studied reservoirs. Utilization of only one gear can therefore lead to substantial underestimation of fish status, and a combination of both gears is recommended for determining more reliable estimates of fish status in reservoirs.

The Field Observations on the Littoral Swarming of Cladocera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and th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 La, Geung-Hwan;Jeong, Hyun-Gi;Kim, Myoung-Chul;Kim, Hyun-Woo;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07
  • Swarm formation of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was observed in a shallow reservoir on 27 May 2007 (Dongpan Reservoir) for the first time. Dense swarms composed of asexual females, only occurred during daytime (13:00-17:00, local time) at the littoral zone. Correlation between density of S. ki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density of juvenile fis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warming of S. kingi seems to be induced for predator avoidance than increase of mating chance, and water temperature may affect their swarming behavior.

한국 근해에서의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합성 어퍼쳐 소나 실험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ynthetic Aperture Sonar under Korean Littoral Environment)

  • 박희영;도경철;강현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28-436
    • /
    • 2004
  • 물리적으로 제한된 길이의 어레이를 확장함으로써 소나 시스템의 표적 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합성 어퍼쳐 소나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어퍼쳐 영역이나 빔 영역에서 어레이를 합성하는 기존의 실험에서는 어레이의 형상을 선형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 상황과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왜곡된 어레이의 형상을 추정하여 왜곡을 보상한 후에 어퍼쳐 영역에서 어레이를 합성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 데이터로는 한국 근해에서 견인 어레이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실측된 데이터만으로 중첩되는 부어레이 간의 시ㆍ공간적인 위상 차이를 보상함으로써 어레이 길이를 확장하였다. 실험 결과 합성에 의해서 방향 탐지 분해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5번 합성으로 3dB 빔폭이 약 70%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인공 수초재배섬에서 세균의 활성과 세균 군집 구조 (The Activity and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ithi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 전남희;박혜경;변명섭;최명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76-682
    • /
    • 2007
  • The bacterial numbe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and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hich are major constituent of aquatic ecosystem within the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nearby pelagic lake wa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AVI as a eco-technological meas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littoral zone in man-made reservoir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but the number of active (viable) bacteria within the AVI was about 0.7 to 4.1 times higher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active bacteria versus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was also higher in the AVI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The activities of ${\beta}$-glucosidase and phosphatase were 1.0 to 13.1 and 0.8 to 7.3 times higher respectively in the AVI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showing that microorganisms were more active within the AVI.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the two waters, examined by FISH method, did not indicate a clear difference in the springtime when the growth of macrophytes was immature, but during summer and fall it showed a clear difference indicating the formation of distinct bacterial community within the AVI compared to nearby lake wat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AVI can contribute to make up the littoral ecosystem which show rapid cycling of matters through active detritus food chain in the dam reservoirs which have unstable aquatic ecosystem due to short hydraulic residence time and to strengthen the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the lake.

팔당호 연안생태계의 수생식물상과 생태적 특성 (Flor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ior)

  • 임용석;마선미;나성태;최홍근;신현철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30-44
    • /
    • 2005
  • 팔당호 연안대의 수생식물상과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9곳의 조사 지점을 선정하여 선방형구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팔당호 연안대에는 128종류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수생식물은 38종류였다. 수생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이 21종류로 가장 많았고, 침수식물은 8종류였고, 침수식물 증류수는 이전 조사보다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팔당호 주요 식생은 애기부들, 줄, 갈대가 우점하는 정수식물대로 파악되었고, 특히 두물머리, 광동교근처에 넓게 정수식물대가 넓게 발달하였다. 귀화식물은 11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출현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팔당호 연안대에 분포하는 식물의 출현 빈도를 조사 지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조사 지점당 수생식물은 2.7종류, 습생식물은 2.5종류, 육지식물은 1.8종류로 파악되었고, 수직대상분포 식생이 팔당호 연안대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팔당호 연안대가 수생태계의 전형적인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