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r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ior

팔당호 연안생태계의 수생식물상과 생태적 특성

  • 임용석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부) ;
  • 마선미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부) ;
  • 나성태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부) ;
  • 최홍근 (아주대학교 기초과학부) ;
  • 신현철 (순천향대학교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vascular plants in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oir,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nine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Along the Paldang Reservoir, 128 taxa, consisted of 51 families and 96 genera, were identified, among them, hydrophytes were confirmed as 38 taxa, which was comprised 29.7% to total taxa, whereas hygrophytes were 44 taxa and terrestrial plants were 46 taxa. Emergent hydrophytes consists of 21 taxa, including Phragmites australis and Typha angustifolia, and next, submerged hydrophytes were 8 taxa. However, the kinds and vegetation area of submerged hydorphytes were reduce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oir, the aquatic vegetation was widely developed near Dumulmori, Yangsuri, and Kwangdong Bridge, downstream of Kyungancheon. The average number of hydrophyte per sampling sites were 2.7 taxa, whereas hygrophytes were 2.5, and land plants were 1.8. In addition, the hyd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oir showed the typical vertical zonation pattern like a natural swamp. These results mean that the littoral zone of Paldang Reservoir h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aquatic plant ecosystem.

팔당호 연안대의 수생식물상과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9곳의 조사 지점을 선정하여 선방형구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팔당호 연안대에는 128종류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중 수생식물은 38종류였다. 수생식물의 경우 정수식물이 21종류로 가장 많았고, 침수식물은 8종류였고, 침수식물 증류수는 이전 조사보다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팔당호 주요 식생은 애기부들, 줄, 갈대가 우점하는 정수식물대로 파악되었고, 특히 두물머리, 광동교근처에 넓게 정수식물대가 넓게 발달하였다. 귀화식물은 11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출현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팔당호 연안대에 분포하는 식물의 출현 빈도를 조사 지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조사 지점당 수생식물은 2.7종류, 습생식물은 2.5종류, 육지식물은 1.8종류로 파악되었고, 수직대상분포 식생이 팔당호 연안대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팔당호 연안대가 수생태계의 전형적인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길봉섭, 윤경원, 노진범, 김창환. 1989. 전라남북도 수역의 관속 식물상과 그 분포. 육수학회지 22: 111-126
  2. 김종홍, 이도진 (역). 2002. 호소 생물의 생태학. (주)북스힐, 서울
  3. 김좌관. 1993. 수질오염 개론. 도서출판 동화기술, 서울
  4. 김준호, 조강현. 1996.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상수원 수질의 개선 : 팔당호의 연구 사례. 한일지방간 생태공학적 수질 개 선 공법에 관한 Symposium 초록집, pp.3-17.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5. 김호준. 2002. 가래속(Potamogeton L.)의 분류학적 연구. 이학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6. 민병문. 1999. 미호천의 수생식물상.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7.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 물의 분포. 국립수목원, 서울
  8.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지사. 서울
  9. 양남호, 길봉성. 1985. 전라북도지방의 수생식물상 조사. 육수학회지 8: 95-109
  10. 이우철, 백원기. 1988. 강원 지역 수초의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18: 191-199
  11. 이효혜미. 2000. 한국의 습지 분류. 이학석사 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2. 임용석. 1999. 금강의 수생식물상. 이학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13. 정영호, 최홍근. 1981. 한강의 수생식물구계와 분포. 식물분류학회지 11: 43-52
  14. 정영호, 최홍근. 1987. 함안지역 자연늪의 수생관속식물상. 환경생물학회지 5: 17-28
  15. 조강현, 박상규, 김준호. 1994. 팔당호 연안대에서 저토와 수체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반작용. 한국육수학회지 27: 59- 67
  16. 조강현, 신현철, 최홍근. 1996. 한강에서 침수식물의 분포에 대한 기초 연구. 인하대하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17: 97- 105
  17. 조강현. 1992.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생산과 질 소와 인의 순환. 이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 조영호, 김 원. 1998. 낙동강의 수생식물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12: 43-48
  19. 최홍근, 김호준, 신현철. 1996. 한강 유역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아주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 375-381
  20. 최홍근. 1985.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이학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Anonymous. 2001. 호소환경 조사지침. 환경부, 서울
  22. Capers, R.S. 2003. Macrophyte colonization in a freshwater tidal wetland (Lyme, CT, USA). Aquat. Bot. 77: 325- 338 https://doi.org/10.1016/j.aquabot.2003.08.001
  23. Cho, K.H. and J.H. Kim. 1994. Distribution of aquatic macrophytes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Paldangho, Korea. Kor. J. Ecol. 17: 435-442
  24. Cirujano, S., C. Casado, M. Bernues and J.A. Camargo. 1996. Ecological study of Las Tablas de Deimiel National Park (Ciudad Real, Central Spain): Differences in water physico-chemistry and vegetation between 1974 and 1989. Biol. Conserv. 75: 211-215 https://doi.org/10.1016/0006-3207(95)00079-8
  25. DeKeyser, E.S., D.R. Kirby and M.J. Ell. 2003. An index of plant community integrity: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prairie wetland plant communities. Ecol. Indicat. 3: 119-133 https://doi.org/10.1016/S1470-160X(03)00015-3
  26. Dobson, M. and C. Fird. 1998. Ecology of Aquatic System. Addison Wesley Longman Limited, Harlow
  27. Kadono, Y. 1996. Aquatic Plant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Tokyo
  28. Rio, J.N.R. and D.F. Lozano-Garcia. 2000. Spatial Filtering of Radar Data (RADARSAT) for Wetlands (Brackish Marshes) Classfication. Remote Sens. Environ. 73: 143-151 https://doi.org/10.1016/S0034-4257(00)00089-4
  29. Runhaar, J., C.R. van Gool and C.L.G. Groen. 1996. Impact of hydrological changes on nature conservation areas in the Netherlands. Biol. Conserv. 76: 269-276 https://doi.org/10.1016/0006-3207(95)00119-0
  30. Sader, S.A., D. Ahl and W-S Liou. 1995. Accuracy of Landsat- TM and GIS Rule-Based Methods for Forest Wetland Classification in Maine. Remote Sens. Environ. 53: 133-144 https://doi.org/10.1016/0034-4257(95)00085-F
  31. Schmieder, K. 1997. Littoral zone-GIS of Lake Constance: a useful tool in lake monitoring and autecological studies with submerged macrophytes. Aquat. Bot. 58: 333- 346 https://doi.org/10.1016/S0304-3770(97)00044-2
  32. Titus, J.E., D. Grise, G. Sullivan and M.D. Stephens. 2004. Monitoring submerged vegetation in a mesotrophic lake : correlation of two spatio-temporal scales of change. Aquat. Bot. 79: 33-50 https://doi.org/10.1016/j.aquabot.2003.1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