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IS curriculu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2초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관련 인식·현황 조사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tatus survey and Development about Bibliotherapy in Korea's LIS Fields)

  • 백재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1-395
    • /
    • 2022
  • 전통적으로 책과 독서에 강한 분야인 문헌정보학은 도서와 독서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정·상황·병리 증상 등을 치유하는 독서치료에 있어 주도적이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와 매우 밀접한 상호 관계를 가진 문헌정보학 분야에 학문적·실전적 관점을 적용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인식조사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서 문헌정보학 관련 수업을 듣는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활용하여 5개의 주제(도서, 독서치료, 교과과정, 도서관, 기타)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현황은 교육적·실전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독서치료 관련 교과과정과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독서치료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국내 4년제 대학 가운데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32개의 대학을 바탕으로 독서치료 관련 키워드를 통해 탐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동 현황은 국내 1,104개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독서목록을 각각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독서치료 참여자와 운영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Science Curriculum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ts Direction)

  • 강지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43-363
    • /
    • 2016
  • 본 연구는 69개의 iSchool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국내 교과와 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한다. iSchool은 건강, 기술, 바이오 분야를 비롯한 관련 분야로 그 교과 영역을 확장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국내 교과에서는 인접학문과 융합하려는 현상은 활발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영역 역시 iSchool이 집중하는 분야인데, 일반적인 데이터 사이언스, 데이터 관리, 데이터 보안 등에 중점을 둔 교과가 제공되고 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 대한 교과 분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과의 비중이 높았으며, 비슷한 비중으로 통계와 분석법이 제공되고 있었다. iSchool의 교과를 분석하고 국내 사례와 비교해 본 결과 본 논문은 국내 문헌정보학이 데이터 사이언스 관련 교과를 확대하고, 병진 데이터 사이언스로의 역할을 강화하며, 수리적 분석 능력을 키우는 교과를 개발하되, 특성화된 교과를 발굴하여 실험적인 수업을 제공하고,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지식을 제공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문헌정보학 교육의 변화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한국.미국.호주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es in LIS Education in Korea, U.S.A. and Australia)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4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호주의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북미 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 33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Information School) 운동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교육의 주요 현안 및 과제 그리고 미래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변화 및 본질 그리고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둘째, 한국, 미국 및 호주 대학교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가 간 교육과정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전 세계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iSchool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미래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on Trend on the Disability Issues in LIS Department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5-312
    • /
    • 2010
  • 최근 들어 도서관의 관종에 상관없이 사서는 장애인에게 정상인과 동등한 서비스와 효율적인 시설을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의 사서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서도 장애 이슈의 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요구와 그들의 정보입수행위를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이용자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경험과 입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환경을 장애 관련 교과목, 교수의 교과목 개설에 대한 인식도 그리고 그들의 강의 내용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 문헌정보학과에서 앞으로 추구하여야 할 장애 이슈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iSchool 대학의 발전, 교육 및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Trends of iSchool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9-3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iSchool Caucus(iCaucus) 결성 이후 현재 전 세계 16개국 52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 운동의 발전과 이로 인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육 및 연구 변화를 조사하고 미래의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 동향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iSchool 대학 중 ALA 인증을 받은 21개 대학을 King(2006)이 제시한 iSchool 대학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의 시대별 발전형태 및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아울러 2012년부터 북미를 중심으로 급속히 전파되고 있는 오픈공개강좌교육(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의 iSchool 교육과정에의 적용사례를 통해 향후 문헌정보학 교육에 MOOCs의 파급 가능성에 대해 진단해보고자 하였다.

일본의 도서관인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과 그 해답 (Worries and Solution to Japanese Librarians' Professionalism)

  • 윤유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1-393
    • /
    • 2014
  • 사서직의 전문성에 대한 고민은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교육과정 및 자격제도의 개선을 통해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서직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전문성 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사례에 주목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으려하였다. 첫째, 일본의 사서관련 자격제도와 교육제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일본의 도서관정보학 분야의 연구결과와 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정리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결과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최근에 변화된 사서교육과정과 전문성 평가 제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장 단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의 발전 동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Development in Korea)

  • 오경묵;장윤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5-206
    • /
    • 2006
  •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문헌정보학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의 활동과 실적을 조사 및 정리해 보고, 이 분야 발전을 위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주요 이슈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국내 문헌정보학과들은 교과과정을 꾸준히 재구성 중에 있다. 2) IT 교육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3) (주제) 전문직 사서를 배출하기 위하여 학부과정에서 복수전공 과정을 도입하고 있다. 4) 연구영역에서 활발한 분야는 도서관경영, 정보조직, 정보학 등으로 나타났다. 5) 최근 들어 연구 분야가 다양화되고 있는데 정보검색, 기록관리, 출판 분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권선영;백지원;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1-169
    • /
    • 2015
  •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 내외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 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