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Elders

검색결과 723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및 노인구강위생관리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수준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n oral care and elder oral hygiene care of the nursing home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경민;박영남;이민경;이정화;윤현서;진혜정;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23-730
    • /
    • 2014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riatric care workers' oral care, and the oral care conditions of residents of elder care facilities in relation to workers' knowledge of oral car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1 to February 2012 with geriatric-care workers in elder care facilities located in Busan and other areas of Gyeongsangnam-do. Results : With regard to their oral self-care practices, 52.5% of the geriatric workers "brushed their teeth from top to bottom" and 58.1% brushed their teeth 3 times a day. Further, 52.0% did not use any oral care products, while 36.5% used Mouthrinese. The workers who brushed their teeth in their own ways or from top to bottom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care knowledge scores than those who brushed from left to right (p<.05). Concerning oral hygiene care for residents, 72.6% of the geriatric workers recommended that elders visit dentists for oral care, 96.6% helped elders oral wash their teeth every day, and 54.7% used oral care products for the elders. The workers who did not recommend visits to dental clinic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p<.05). Additionally, those who did not help elders oral wash their teeth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p<.05). Except for oral wash to recuperated old man and recommendation of visiting the dentist, relation between oral care and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oral hygiene care is plus mutual relation. Conclusions : To manage the accuracy and quality of oral care work performed by geriatric care workers in elder care facilities, enhancing standard training and education on oral care is necessary. Providing systematic, regular education on such knowledge and practices would also be essential.

노인시설 종사자의 업무스트레스, 업무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 인식 연구: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의 비교 (A Study on Work Stress, Satisfaction, and Dementia Attitudes of Social Care Work Force of Dependent Elders)

  • 최희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175-19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대구 지역의 노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 502명을 대상으로, 노인보호 관련 종사자들의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 스트레스, 업무 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급여수준이 낮고 근무시간이 길며 업무 부담이 과중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종사자들의 인식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업무 만족 수준이 낮았고 노인에 대한 보호 제공 및 업무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노인에게 사회적 보호를 제공할 전문 인력의 원활한 수급과 전문성 향상, 보호의 질 제고를 위하여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과 인력 확충, 중장년기 인력 활용,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전문적 훈련과 교육 강화, 노인시설에서의 인간중심 보호 방식의 도입과 실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tress and Serum Cortisol of Demented Elders)

  • 윤숙영;최병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91-894
    • /
    • 2010
  •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와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노인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 중에서 약물을 복용하지 않으며 혈액검사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스트레스 감소를 궁극적 목표로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꽃 장식만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스트레스 측정결과 대조군은 12.88점에서 17.88점으로 스트레스 수치가 높아진 반면에 실험군은 원예치료 실시 전 13.88점에서 실시 후 6.38점으로 유의하게(p = 0.007) 낮아졌다. 스트레스의 생리적인 변화로 혈중 코티졸 호르몬을 측정한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 $11.33{\mu}g{\cdot}L^{-1}$에서 실시 후에 $9.85{\mu}g{\cdot}L^{-1}$로 혈중 코티졸 호르몬의 수치가 유의하게(p = 0.037)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원예치료는 혈중 코티졸 호르몬 수치를 낮추어 주어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 영향요인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Vulnerable Elderly Woman by Urinary Incontinence)

  • 박진경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93-90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S시 8개구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 3,251명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요실금 유무별 여성노인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 주관적 건강과 걷기운동, 유연성 운동 및 근력운동에 따른 허약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요실금 유무에 따른 제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요실금이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걷기 운동, 복합적 이동능력, 연령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38.321,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이 36.6% 설명되었다. 요실금이 없는 집단에서 유의한 변인은 연령, 우울, 걷기 운동, 주관적 건강, 복합적 이동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265.666,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 정도가 설명되는 변량은 30.7%였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 특히 요실금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10분 이상, 주 5일 이상의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과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제언한다.

장기요양대상노인의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Service by the Models of Informal-formal Resources Linkages for Long-term Care Elder)

  • 김금열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027-1044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으로 공식적 보호가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장기요양대상노인의 케어에는 비공식적 보호 욕구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현상에 대해 효과적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 고찰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대상노인의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모델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은 장기요양대상노인에게 15가지 케어관련과업을 제공하는 비공식적 보호제공자와 공식적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정도를 군집분석으로 구분하였고 각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은 가족수발 중심형, 상호 보완형, 과업 분리형, 공식적 수발 중심형으로 구분되었고 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유형은 상호 보완형 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비공식적 보호와 공식적 서비스가 상호 보완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공식적 서비스 제공체계에 비공식적 보호제공자의 역할을 결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15가지 케어관련과업 중 개인적 및 일상생활지원 과업과 건강보호 과업은 서비스 제공자가 분리되어 있어 의료 및 장기요양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통합적 케어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공식적 서비스 제공자가 거의 모든 케어를 제공하는 공식적 수발 중심형은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의 효과성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양(量)과 질(質)적 차원에서 비공식적·공식적 자원연계 유형을 파악하고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박창제;이성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831-84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유형별 부양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경로를 분석하여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비확률표집을 통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와 노인요양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1부, 노인요양시설 107부 총 258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은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성비율과 고연령, 사별의 비율이 높고, 자녀수는 많았다. 둘째, 시설이용 노인은 평균적으로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에 비하여 ADL제한이 심하고 주요 질병으로 치매나 중풍의 비율이 높고 요양등급의 수준이 높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는 시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에 비하여 여성, 고연령, 저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관계는 배우자와 며느리의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나쁘고 소득이 낮은 편이었다. 넷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경로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로 1차 스트레스 요인이 2차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경로방향이 다르고, 2차 스트레스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도 다르다. 특히 방문요양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보여주지만 노인요양시설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다섯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인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들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방문요양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모두가 직접 영향을 미친 반면,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중 근로갈등과 가족갈등이라는 두 개의 요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아상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경로를 반영하여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요인: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는 한족을 준거집단으로 비교 (Factors of Depression in Korean-Chinese Elders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With Reference to Han-Chinese Living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 송미령;박경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1-16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pression in Korean-Chinese elder living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Methods: A cross-sectional community-based survey was conducted using face to face private interviews for elders aged over 59, who have been dwelling in the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The samples consisted of 183 Korean-Chinese and 182 Han-Chinese with the latter as a reference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September 20, 2011 and analyzed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GDS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used to measure elderly depression in the subjects. Results: In Korean-Chinese, the rat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those who had lower educational levels, and were economic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those who had depression showed lower scores in Chinese language proficiency,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s, and had more chronic diseases. Factors having effects on Korean-Chinese elderly depression include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support.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preventing the depression of Korean-Chine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management programs and social support networks, which were easy to approach.

Thrown in a Different World: The Later Lives of Korean Elderly in an American Nursing Home

  • Suh, Eunyoung E.;Park, Yeon Hwan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9-337
    • /
    • 2007
  • Purpose: Increasing numbers of Koreans have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since the late 1960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or their parents become old and institutionalized in American nursing home setting. Although the Korean elders would experience many cultural differences in the nursing home, no study to date has investigated their everyday lives on how they live through their later lives within a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 from their own. Methods: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llustrate Korean residents' experiences and daily lives in a nursing home located in an east coastal city in the U.S. Participant observation, filed not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tilized by means of data collection. Eighteen Korean residents were observed, and five of them and two nurses participated in informal qualitative interviews. Results: The overriding theme from the findings is "thrown in a different world." Three sub-themes include "constant struggles in making themselves understood", "dealing with culturally inappropriate nursing care," and "maintaining their own ways of life". Conclusions: The discovered themes reflect culturally isolated lives of the participants and open a venue for designing a culturally congruent nursing care for Korean elders living in the U.S. nursing homes.

  • PDF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본 노부모부양과 재산상속의식: 한국과 미국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aregiving and Inheritance patterns; Korea vs. U.S.A)

  • 조병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125-136
    • /
    • 1997
  • The present study compares motives for caregiving, actual caregiving provision, care expectation from children in old age, and the connections between caregiving and inheritance distribution patterns as perceived by caregiving daughters/daughters-in-law and their care-receiving mothers/mothers-in-law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egiving motiv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while American mothers/mothers-in-law perceived significantly lower obligatory caregiving motives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Also, both Korean children and their mothers/mothers-in-law reported higher level of care provis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level of caregiving expectation from their children in old age among Korean eld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American elders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Finally, both Korean children and their mothers/mothers-in-law were more likely to endorse distributing larger shares of inheritance to the child who cared for his/her mothers/mothers-in-law than American counterparts. On the other hand, American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accept the notion of equal distribution of inheritance. Overall, this cross-cultural study showe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caregiving and inheritance pattern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ubjects exhibiting salient difference among the older generation.

  • PDF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 이선혜;문명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21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59 elders living in one city. Data on life satisfaction (Choi's Life Satisfaction Scale for Korean elderly, 1984), health behaviors (Choi & Kim's Health Behaviors Scale for Korean elderly, 1997), and successful aging (Kim & Shin's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2005) were collected by trained interviewers.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PASW 18.0 program was used, which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explained 60.8%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help improve health behavior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f elders. We should also understand life satisfaction over their life span and establish a program that encourages healthy behavio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these efforts will allow for achievement of a more successful aging process for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