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Vulnerable Elderly Woman by Urinary Incontinence

지역사회 거주 여성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 영향요인

  • 박진경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17.08.07
  • Accepted : 2017.11.24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frailty by urinary incontinence groups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woman in Korea. In this secondary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records for 3,251 elders registered in the Visiting Health Management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in 2012.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timed up & go, depression, self rated helath, walking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strengh exercise and frailty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x^2$-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to determine the associated factors of frailty by urinary incontinenc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timed up & go and age were found to b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ailty among the elders with incontinence(F=38.321, p<.001). Ag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self rated health and tined up & go were found to be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in the elders without incontinence(F=265.666 p<.001). The findings show that frailty of elders and associated factors were different by urinary incontinence, and common factors affecting frailty were depression, walking exercise, timed up & go, age. Thu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care and prevention of frailty and program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urinary incontinence.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의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정도와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S시 8개구의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65세 이상 여성노인 3,251명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였다. 요실금 유무별 여성노인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 주관적 건강과 걷기운동, 유연성 운동 및 근력운동에 따른 허약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x^2$-test, t-test,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요실금 유무에 따른 제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요실금 유무에 따른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요실금이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걷기 운동, 복합적 이동능력, 연령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38.321,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이 36.6% 설명되었다. 요실금이 없는 집단에서 유의한 변인은 연령, 우울, 걷기 운동, 주관적 건강, 복합적 이동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F=265.666, p<.001), 이들 변수에 의해 허약 정도가 설명되는 변량은 30.7%였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 특히 요실금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의 허약을 예방하기 위하여, 하루 10분 이상, 주 5일 이상의 규칙적인 걷기 운동 프로그램과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제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