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124초

아파트조경공사 설계변경의 유형분류와 특성분석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partment Landscape Work)

  • 박춘수;박승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42
    • /
    • 2009
  • 조경공사 중 설계변경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검토사안들을 토대로 설계변경의 유형분류체계를 제시하고 유형별 발생빈도와 규모, 유형간 상관성, 현장별 차이분석을 통하여 아파트단지 조경공사 설계변경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한주택공사 충청권지역에서 2004년부터 2006년 상반기까지의 설계변경 건을 대상으로 설계변경 시 목적 및 사유로서 언급한 사안을 중심으로 유형을 구분한 결과, 단지이미지, 경관요소, 이용자 고려, 하자방지, 시공성, 현장여건, 공종간 불일치, 상위기준, 민원방지, 설계내역, 기타의 11개 유형과 47개 세부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설계변경심사승인 횟수와 시기, 유형별 발생빈도와 변경규모 증감액,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첫째, 단지이미지형 설계변경이 발생빈도 22%, 증감액 54.9%를 차지하는 주된 설계변경이었고, 둘째, 유형간 상관성 분석에서 단지이미지형 설계변경의 증가액이 커질수록 사유가 불명확한 기타 설계변경의 감소액이 커지는 반비례관계가 성립되는 등 공사비 증가를 상쇄하는 절감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셋째, 설계변경심사승인 건수와 최초심사승인일은 각각 2건 이내와 준공 전 90일 이내가 $52{\sim}53%$를 차지하여 설계변경 절차가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도인 설계변경심사승인 자체가 사후 일괄적으로 처리되고 있었는데, 이는 공사비가 감소한 유형수와 비교결과 공사비 절감노력 즉, 예산문제에서 기인하고 있었다.

대구경북지역 퇴적암의 포화 및 균열 유발에 따른 강도 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 in Daegu-Gyungbuk Area Followed by Saturation and Crack Initiation)

  • 박성식;김성헌;배도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2호
    • /
    • pp.29-42
    • /
    • 2018
  • 대구경북지역 셰일 및 이암은 다른 암석에 비해 강도가 낮고 풍화에 약하므로 이러한 암석의 포화상태나 균열 발달 정도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 토목공사 현장에서 셰일 및 이암을 채취한 다음 흡수율, SEM, 화학성분, 내구성시험과 같은 기본 물성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셰일에 비해 이암의 공극률(흡수율)은 31%(25%) 정도로 6(8)배 정도 높은 값을 보였다. 물에 쉽게 풀리는 이암의 경우 활성도가 높은 스멕타이트 군의 점토광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취한 암석을 소형 정육면체로 가공한 다음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암석의 건조 및 포화 상태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암석 공극 내 물을 가열시켜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작동시간을 달리하여 내부 균열의 발생 정도에 따른 강도를 비교하였다. 건조된 셰일과 이암의 일축압축강도는 평균 62MPa, 11MPa이며, 이를 포화시키면 일축압축강도는 셰일은 평균 33MPa, 이암은 4MPa로 47% 및 64% 정도 감소하였다. 전자레인지로 15초 작동시켜 균열을 유발할 경우 포화 상태보다 셰일은 49%, 이암은 52% 정도 강도가 감소하였다. 20초 정도 작동 시 대부분의 암석이 여러 조각으로 파쇄되었으며, 이때 소형 암석 내부의 온도는 200도 정도였다.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assessment system for utility tunnel by urban patterns)

  • 이성원;심영종;나귀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27
    • /
    • 2017
  • 서울시 등의 국내 주요 도심은 지역적 팽창에 따라 도로망 체계가 급격하게 발전하였고 도시민이 안락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전력, 통신, 상수도, 하수도, 냉 난방관로, 가스관 등이 무분별하게 개별 매설되었으며 비효율적으로 개별 관리되고 있다. 국토계획법에서는 Life-Line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로의 반복 굴착을 줄이고 도시 미관의 개선, 포장 내구성 향상에 따른 주행성능 향상 그리고 원활한 교통소통 등을 기대하는 도시계획 시설물로 공동구를 정의하고 있다. 최근 기존 도심지의 재정비 측면에서 쾌적한 도시공간 조성, 지하공간 이용 효율과 도로관리 효율 향상, 지진 및 도로함몰에 대한 재난안전성, 스마트 그리드와 전기자동차 보급과 같은 미래 생활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기존 도심지의 공동구 설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 설치된 모든 공동구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계획된 Life-Line을 모두 수용하도록 설치한 개착식 공동구 형태이다. 기존 도심지에서는 현재 가동중인 모든 Life-line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도심지 유형별 공동구 설치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활용한 설계용량 최적화 등의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도시 공동구를 탈피하고 기존 도심지를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의한 정량적 평가모델을 제시 하는 등 유형별 타당성 평가시스템을 세분화하며 정량적 평가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궁극적으로 도심지 공동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지하공동구 활성화를 위한 관련규정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lated Regulation System for The Utility Tunnel Activation)

  • 오원준;조중연;이민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63-571
    • /
    • 2020
  • 공동구의 설치 목적은 반복굴착 방지, 재해·재난 예방 등이나 국내 공동구는 신도시 개발 계획에 포함되어 건설되었으며, 현재 기관별 의견 충돌 및 재원 조달의 문제로 공동구 설치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도시 및 기존 시가지의 공동구 활성화 개선방안 제시를 위하여 단계별 절차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공동구 관련법 및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황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기반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관련법과 문제점을 기반으로 공동구 설치의무규모 선정을 위하여 최근 개발사업(도시개발, 택지개발, 도시재생)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공동구 설치의무규모 200만㎡ 이하에서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통하여 적정 규모를 검토하였다. 신도시 및 기존시가지를 고려하여 공동구 추가설치지역 및 점용기관의 부담 경감을 위한 관리비 지원사항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동구 설치지역 검토를 위해 기본계획 등에 관한 세부 사항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지역의 공동구 계획 및 설치 시 이해관계자의 원활한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래티스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구조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보강 공법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ttice Shear Reinforcement for Flat Plate Slab-column Connection)

  • 강수민;박성우;방중석;이도범;권철환;박홍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2-490
    • /
    • 2013
  • 무량판 슬래브 구조는 시공의 단순함과 낮은 층고, 그리고 다양한 평면구성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효과적이나 슬래브-기둥 접합부가 중력하중에 의한 펀칭전단파괴와 횡하중의 불균형모멘트에 의한 편심전단파괴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무량판 슬래브의 취약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보강공법들이 개발되었으나, 보강공법들은 구조적 성능과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을 모두 만족시키기지는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래티스를 이용한 무량판 구조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보강공법을 제시하였다. 주기하중 실험을 통하여 래티스 보강공법의 구조적 성능을 증명하였으며 같은 구조설계 조건에 대하여 스터럽과 스터드레일, 그리고 래티스를 이용한 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경제성을 입증하였다.

도시정비사업(재건축·재개발)에서 전문가 의식조사를 통한 책임형 CM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to Activate Responsible CM through Expert Consciousness Survey in Urban Improvement Projects (Reconstruction·Redevelopment))

  • 이윤홍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6-65
    • /
    • 2020
  • 도시정비사업(재건축·재개발)은 일반 주택사업에 비해 인허가 기간이 길고, 인허관청과 협의내용이 많아 전문성이 요구된다. 조합원의 대부분은 정비사업에 대한 기초지식도 없어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많은 권한을 조합장에게 위임하고 있다. 하지만 조합원이 위임한 본래취지와 달리 조합장의 사적이익을 위해 비리에 노출되고 있고, 조합원의 분쟁을 해결하지 못해 사업이 중단된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실무전문가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정비사업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KCSI 평가모델을 통한 해결방안을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합장의 업무보조에 국한된 관리형CM이 아닌 조합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사업판단을 할 수 있는 책임형CM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건설산업 진흥의 국가적 역할을 위해 책임형CM 활성화가 필요하여 6가지 실질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통일분류(統一分類)에 의한 우리나라 토질(土質) 공학적(工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확률론적(確率論的) 연구(硏究) (A Probabilistic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 in Korea by the Unified Soil Classification)

  • 정철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5-123
    • /
    • 1989
  • 본(本) 논문(論文)은 과거(過去) 13년간(年間)(1974~1986) 주택공사(住宅公社)가 전국(全國) 74개(個) 도시(都市), 176개(個) 주택단지(住宅團地)에서 실시(實施)한 제반토질시험결과(諸般土質試驗結果)를 통일분류법(統一分類法)에 의(依)한 흙의 종류별(種類別), 토질정수(土質定數)의 분산(分散)의 정도(程度)를 확률적(確率的)으로 분석(分析)한 것이다. 이 논문(論文)에서 분석(分析)한 토질정수(土質定數)는 자연함수비(自然含水比), 토립자(土粒子)의 비중(比重), 아터버그 한계(限界), 표준매입시험치(標準買入試驗値),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 압축지수(壓縮指數) 그리고 강도정수(强度定數) 등(等)이다. 연구분석(硏究分析)한 결과(結果), 물리적(物理的) 저성질(藷性質)은 통계변수(統計變數)인 변동계수(變動係數)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比較)할때 변동(變動)의 범위(範圍)가 비교적(比較的) 적은 반면(反面)에, 강도정수(强度定數)는 40%, 압축지수(壓縮指數)는 32% 정도(程度)의 변동계수(變動係數)를 가지며, 비중(比重)은 사질도(砂質土)에서 0.87-2.49%, 점성토(粘性土)에서 0.91-5.03%로 분산(分散)의 정도(程度)가 매우 작음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실적공사비 분석을 통한 공공주택 공사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umption of Construction Cost of Public Apartment by Analyzing Actual Construction Cost)

  • 윤우성;이현철;이한민;고성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2-14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 준공된 국내 공공주택의 실적공사비 분석을 토대로 공공주택 공사비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주택공사(이하 주공)에서 발주하여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준공된 각 지역별 23개의 공공주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제 투입 및 정산된 실적공사비를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주요 직접비 항목인 공통가설, 건축, 토목, 기계설비 4개의 공종을 대상공종으로 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경상가 기준의 투입 공사비를 준공연도, 지역, 연면적, 분양방식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3.3m^2$당 실적공사비를 각 공종별로 비교 분석하여 평균 실적공사비를 토대로 한 공사비의 유추와 산정식을 분석 제시하였다.

SWMM 모델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도시 소하천 관리를 위한 LID 기법의 적용 방안 연구 (Application of LID Method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Small Urban Stream Using SWMM)

  • 한양희;서동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691-697
    • /
    • 2014
  • 도시 하천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유역 관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대전 관평천의 상류 유역은 그린벨트지역으로 보호되어 있으나 해당 유역의 농경활동이나 도로공사 등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관평천은 지속적인 환경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관평천의 적절한 종합 수자원 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수질문제 뿐만 아니라 유량 문제도 의미있게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평천 유역에 대해 대표적인 도시형 강우 유출 모형인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을 구축하고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고 향후 임의의 강우 조건에 대해 하천 주요지점의 유량 및 수질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량 보정은 상관계수($R^2$)가 0.9 이상의 양호한 수준으로 수행되었으나 수질 보정은 상대적으로 오차가 큰($0.67{\leq}R^2{\leq}0.87$) 것으로 나타났다. SWMM 모델을 이용하여 상류 유역이 개발되었을 경우 환경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을 적용하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관평천 상류지역을 개발하거나 환경관련 관리 계획을 수립할 경우, LID기법을 포함한 합리적인 수자원 기법 선택에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폭시 수지 용출물질에서의 내분비계장애물질 Bisphenol-A의 정량과 용출특성 파악 (A Study on the Quantification and Chracterization of Endocrine Disruptor Bisphenoi-A Leaching from Epoxy Resin)

  • 배범한;최명수;임남웅;정재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9-477
    • /
    • 2000
  • Bisphenol-A (BPA), a known endocrine disruptor, is a main building block of epoxy resin which is widely used as a coating agent in residential water storage tanks. Therefore, BPA leaching from the epoxy resin may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The possibility of BPA leaching from three epoxy resins were tested with a modified KS D 8502 method at 20, 50, 75 and $100^{\circ}C$ in deionized water and the specified test water, respectively. BPA leached to the test water was identified using GC-MS and quantified with GC-FID after a sequential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PA leaching has occurred in all three samples tested. The quantify of BPA leaching from unit area of epoxy resin coating was in the range of $10.677{\sim}273.120{\mu}g/m^2$ for sample A, 29.737~1734.045 for sample B and 52.857~548.778 for sample C depending on the test temperature, respectively. In general, the amount of BPA leaching increased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This result implies a higher risk of BPA leaching to drinking water during a hot summer season. In addition, microbial growth, measured by colony forming units, in epoxy coated water tanks was higher than that in a stainless steel tank suggesting that compounds leaching from epoxy resin may suppor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a residential water holding tan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