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Housing Cooperation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7초

영구임대주택 단지 내 사회복지관과 관리사무소의 업무 및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서비스체게 개선방안 (A Study to Improve Service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Needs and Problem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Management Offic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

  • 김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5호
    • /
    • pp.185-197
    • /
    • 2007
  • Permanent rental housing which is entirely financed by the Government is welfare housing for those who fall within the lowest income bracket. This type of housing is intended for use as rental housing on a long-term basis. At present, there are about 190,000 permanent rental housing uni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and welfare service system of permanent rental housing. For thi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with staff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management office of five permanent rental housing complexes and two times of advisory committee meeting with housing and social welfare experts.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in this study,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data analysis was used. Conflicts between the management office and social welfare center of permanent rental housing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aspects; personal and operational. Main reasons for the conflicts between two institutions were identified such as attitude of management office staffs, lack of cooperation,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lack of management resources such as space and operation cost, and so 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including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complementary cooperation were suggested for improvement of management and welfare service system for the residents of permanent rental housing.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Industrial Housing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 황은경;이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71-177
    • /
    • 2021
  • 최근 우리나라 건설업계는 건설기술 인력 부족, 건설노동인력 고령화, 주 52시간 근무 등 다양한 건설환경 대응 방안으로 공업화공법 활성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공업화주택 인정제도는 공업화주택의 품질인정과 품질 향상 유도를 위하여 1992년에 도입되었으나 현재 6개 업체만 인정을 받았고, 인정 받은 공업화주택이 건설된 실적도 전무한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 공업화주택 인정제도는 크게 인정 및 인정 취소기준, 공업화주택 건설촉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업화주택인정제도의 관련 규정을 심층분석하여, 각 규정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공업화인정제도 방안으로는 현행 공업화 주택 인정 범위를 준주택까지 확대하는 방안, 공업화 주택의 성능 및 생산기준 개정, 공업화주택 활성화 지원을 위한 건축기준 완화 및 금융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향후 공업화주택 인정제도와 별도로 국내 공업화 건축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경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업화공법의 사회·경제·환경·기술적 파급효과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가시화를 통해 건설시장 패러다임을 전환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공공 주거실태조사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Public Housing Survey)

  • 이윤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7-33
    • /
    • 2017
  •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화와 주택보급과정을 거쳐 주택 정책에 필요한 지표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다. 이에 따라 주거실태조사의 항목과 분류체계 또한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며, 계속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주거실태조사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하여 조사 자체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와 공공에서 실시한 유사한 성격의 조사를 대상으로, 조사항목의 내용과 양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증가하고 있다. 둘째, 주택의 지역별 수요와 밀접한 주거이동과 관련된 항목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셋째, 시기별로 당시의 주택정책과 관련한 질문이 포함되었다가 제외됨을 반복해왔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주택정책과 관련된 항목들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나.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관심이 부족했던 주거실태조사를 대상으로 하여 과거로부터 변화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n Empirical Study on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Multi-Family Dwellers

  • Jin, Mee-Youn;Yoon, Bok-Cha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21-22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ing affordability of multi-family dwelling in Seoul and to systemize the housing expenditure patterns and housing affordability according to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Housing expenditures are basically composed of the payments of four major items. including utilities. home alteration and interior furnishing. home mortgage debt. and monthly rent. Housing affordability index as operationally defined in this study is Housing Expenditure-to-Income Ratio (HEIR). The ratios were computed for each of the four housing expenditure items. Data for 465 multi-family dwellers were gather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household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n housing expenditure levels and HEIR. In addition. this differences had influence on future housing choice behavior. The analysis on the variables of housing choice behavior showed the result that user cost considering capital gains were less important. comparing those of early 1990's.

  • PDF

충북지역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 분석 -물리적·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Chungbuk -Focusing on Physical and Social Factors-)

  • 설영훈;채성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552-4559
    • /
    • 2013
  • 본 연구는 물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충북지역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분석을 통해 공공임대주택의 주거만족도를 유형별로 비교해보고, 주택유형별 만족도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공공임대주택 정책방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임대주택의 이론적 고찰 및 공공임대주택 공급과 관리 현황을 파악한 후, 물리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공공임대주택 주거실태 만족도조사를 유형별로 실시하였다. 물리적 요인에 대한 주거만족도 조사결과, 주택 및 아파트단지의 내부 및 외부와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요인에 대한 주거만족도 조사 결과, 이웃관계에 대한 주거만족도와 단지에 대한 이미지는 주택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반면, 지역공동체 활동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주택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획일화와 극복방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Uniformity of Apartment Dwelling and Handling Measure)

  • 최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5-36
    • /
    • 2006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he reasons of the uniformity of housing type and planning, and to find ways of coping with the related problems, focusing on the uniformity of apartment housing and it's excessive typical planning. In this process, I try to take suggestive hints from the case of Japan which already made an issue of uniformity of housing type and promoted the handling measure for the problem in a national level. The result includes that supplied apartment housing in Korea occupies about 80% of total housing supply each year, and the reasons for the increased apartment housing supply are attributed to many interactive influence factors. One of the influence factors is ascribed to mass housing system where many academic theories have supported the system under the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In the case of Japan too many supplied condominium housing provoked the uniformity problem,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HOPE plan and a special association board oriented to the study of regional housing planning under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have considerably relaxed the uniformity problem.

콜롬비아 도시계획 제도와 도시개발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도시개발 협력 역할과 과제 (The Role and Directions of Korean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A Review of Colombian Planning Systems and Case Studi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 최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15-30
    • /
    • 2021
  • 중남미 및 카리브해(LAC) 지역에서 한국의 도시개발협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국내의 시장 참여 전략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콜롬비아의 도시계획체계, 도시개발사업, 한국의 협력사업을 분석하고 중남미 도시개발사업 협력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콜롬비아의 주요 도시인 보고타(Bogotá)와 메데진(Medellín)의 국가 및 지역 도시 계획 시스템을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콜롬비아의 토지구획정리사업, 대규모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마크로프로젝트, 한국과 콜롬비아의 도시개발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도시개발 협력사업시 과제로는 첫째, ODA를 통한 원조사업은 투자형 개발사업과 같이 사업화로 연결시키기 보다는 향후 본사업을 위한 콜롬비아의 도시 네트워크 형성에 주력하는 것이다. 둘째, 인프라사업과는 다른 도시개발 협력사업의 재원조달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해외의 개발사업인 만큼 개발 기간 및 규모를 단지급 규모이하의 적정 규모로 설계하여 성공사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10년대 주거담론의 성격 (Modern Housing Discourse of Korea in 1910s)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28-633
    • /
    • 2010
  • 191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론 일반을 다루는 글, 여성의 주택청결 관리를 계몽하는 글 그리고 일본인이 한국전통주택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글에서 등장한다. 1900년대의 그것과 비교하면 위생에 초점을 두는 점은 같지만 깊이와 양에서 매우 위축되어 있다. 담론의 주체와 맥락도 달라졌다. 1900년대 주거담론은 위생을 국가의 문명화와 부국강병을 위한 방법론으로 인식한 개화론자들이 주도했고 국가의 공중위생 책무를 강조하는 담론과 함께 전개되었다면, 1910년대는 여름철이나 환절기 전염병을 예방 차원에서 개인위생을 계몽하는 의사나 의료관료들을 통해 주로 개진되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환경위생사업에서 식민지 조선인의 거주지와 주택은 제외되어 불결했고, 공중위생정책에서 차별받는 그들에게 주거의 청결은 개인의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문제였다. 주택의 불결은 민족적 미개함 열등함의 표상이 되었고 식민지지배의 당위성을 공고히 하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1920년대 주거개량 문제가 조선인의 인종적 개량과 문명화의 과제로서 논의되는 데 심리적 배경이 되었다.

컨테이너 하우스 외벽 구성 시스템 기술개발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Development for the Exterior Wall System of Container House)

  • 김환식;백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57-63
    • /
    • 2001
  • 본 연구는 기존 조적조 주택의 주요 구조부에 컨테이너를 활용한 개발 방식 즉, 컨테이너 하우스의 계획, 설계, 시공 가능한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틸하우스의 구조 및 시공 방법 등을 분석하였으며 컨테이너 하우스의 외벽 구성 시스템에 대한 견본품 제작을 완성하였다. 이 컨테이너 하우스 견본품을 토대로 두 개의 컨테이너 하우스 케이스 스터디에 적용하였고, 기존 조적조 주택 공법에 비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기단축에 있어 현격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컨테이너하우스의 제작기술 개발 성공을 통해 스틸하우스 시장의 틈새 공략으로 기업체의 기술개발 및 투자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전원주택단지 수요자의 입주선호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Garden-Housing Consumers)

  • 김진섭;이찬호;최길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14-562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원주택단지 수요자들의 입주선호요인을 파악하여 부산지역에 적절한 전원주택단지의 수요촉진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전원주택단지는 시장수요에 근거한 커뮤니티에 초점이 두어져야 하고, 도시근교에 편의시설과 인접한곳에 위치해야하며, 공동체시설이 적용되어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