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njac glucomannan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Konjac Glucomannan Dispersons)

  • 지수경;김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6-250
    • /
    • 1995
  •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로부터 glucomannan 현탁액을 제조하고 그 유동특성을 구명하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항복응력이 없는 비뉴우톤성유체의 거동을 보여주었으며 다른 다당류 현탁액보다 일정 전단속도에서의 전단응력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n값의 변화로 보아 구약감자분말 현탁액은 팽창유체의 경향을 약간 보인 반면 예비정제 구약감자분말 및 정제 glucomannan 현탁액의 경우는 의가소성유체의 거동을 보여주었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일정 전단속도에서의 전단응력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그 감소정도는 비교적 균일하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 현탁액은 pH 7에서 가장 점성이 높았으며 pH가 이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점성이 약간씩 감소하였다. 또한 1%까지의 식염첨가에 의해서는 점성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10%까지의 설탕첨가에 의해서는 점성이 감소하다 그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구약감자 Glucomannan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njac Glucomannan)

  • 김남수;지수경;목철균;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99-804
    • /
    • 1994
  • 구약감자(Amorphophallus konjac)로부터 glucomannan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예비정제 구약감자분말로부터 ethanol 침전법에 의하여 정제 glucomannan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수율은 67.2%였다. 구약감자 glucomannan에 대하여 일반성분, 총식이섬유, 미네랄 분석을 행하였다. Isopropanol : $H_2O$(4 : 1, v/v)을 전개용매로 하여 TLC 분석을 행하였을 때 mannose와 glucose가 성분당으로 확인되었으며 Protein Pak 300SW column을 사용하여 HPLC 분석시 분자질량은 240에서 370 kDa 범위내에 있었다. 구약감자 glucomannan의 수분결합력은 guarr와 xanthan 검을 제외한 다른 검틀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bovine serum albumin 존재시의 거품생성능은 $8.60{\sim}9.45\;ml$로서 단백질 자체의 경우보다 높았고 다른 검들의 경우보다도 높았다. 구약감자 glucomannan 농도틀 2%까지 중가시켜 가며 팽윤특성을 보았을 때 최대점도는 농도외 중가에 따라 현저하게 중가한반면 최대점도에 이르는 팽윤시간은 점차 감소함을 알수 있었다. 일정농도에서 온도를 높이면 최대점도와 최대점도에 이르는 팽윤시간이 동시에 감소하였다.

  • PDF

Specificity of ${\beta}$-Mannanase from Trichoderma sp. for Amorphophallus konjac Glucomannan

  • Park, Gwi-G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820-823
    • /
    • 2006
  • Five oligo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the hydrolysate of konjac (Amorphophallus konjac) glucomannan by a purified ${\beta}$-mannanase from Trichoderma sp. These oligosaccharides were identified as M-M, G-M, M-G-M, M-G-M-M, and M-G-G-M; where G- and M- represent ${\beta}$-1,4-D-glucopyranosidic and ${\beta}$-1,4-D-mannopyranosidic linkages, respectively. The mode of action of the mannanase on the glucomannan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oligosaccharides.

곤약감자 분말에서 추출한 글루코만난을 원료로 제조된 필름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 유민희;이효구;임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5-260
    • /
    • 1997
  • 이상의 결과에서 글루코만난 필름은 다른 천연 탄수화물고분자들의 필름들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인장 강도와 신장력을 가지며 높은 수분차단력을 보이나, 친수성 필름이 가지는 수분에 대한 민감성 때문에 수분을 직접 접촉할 때 높은 용해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소제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인장강도가 낮아지는 대신에 높은 신장력을 나타내었다. 글루코만난 필름은 적절한 여러 조건에 따라 넓은 범위의 물성변화를 가지는 친수성 필름으로서 식품포장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앞으로 적절한 가소제 및 첨가제의 이용, 수분에 대한 내성의 향상등의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곤약 글루코만난을 첨가한 식빵 급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의 체중 및 혈청지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ite Bread with Konjac Glucomannan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s on Rats with Diet-Induced Obesity)

  • 박진수;이상일;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8-194
    • /
    • 2013
  • 곤약 글루코만난(liquid konjac)을 동결건조한 식빵에 첨가한 사료를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6주간 급여하였을 때의 체중, 혈청지질, 비만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고지방식이 비만 대조군(HF), 고지방식이 비만+곤약 글루코만난을 10% 되게 혼합하여 동결건조 한 식빵을 사료에 10% 혼합한 식이군(KGM1) 및 비만+곤약 글루코만난을 20%되게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식빵을 사료에 20% 혼합한 식이군(KGM2)으로 구분(군당 7마리)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KGM1군과 KGM2군은 HF군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질,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 및 atherogenic index(AI)는 감소하였으나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하였다. KGM1군과 KGM2군은 HF군의 체중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곤약 글루코만난 첨가 식빵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체중감소율이 높았다. 체지방 함량은 NC군 및 HF군에서는 실험식이 6주후에 크게 증가하였으나 KGM1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고, KGM2군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곤약 글루코만난 첨가 식빵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흰쥐에서 체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Xylogone sphaerospora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이희정;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9-163
    • /
    • 2008
  •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합도 3과 4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3과 4의 예상되는 구조는 본 연구실에서 확보하고 있는 standard glucomannooligosaccharides에 의한 TLC에서 나타나는 Rf value 상으로 1차적으로 확인하고, Aspergillus niger 5-16 유래 정제 ${\beta}$-mannanase를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 pattern을 TLC로 해석한 결과 D.P. 3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G-M)로,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3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M-G-M)로 예상하고 있다. B. longum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3과4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3과 4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4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3.9배의, D.P. 3을 처리한 경우에도 2.7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4에서 2.47배, D.P 3에서 2.0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있어서는 D.P. 4의 경우 2.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4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3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대사활성 (Metabolism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D.Ps of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최준영;박귀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86-1191
    • /
    • 2004
  • DEAE-sephadex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Bacillus sp. 유래 h-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은 21.57 units/mg, 정제배율은 93.78배를 나타내었다. 최적 온도는 5$0^{\circ}C$, 최적 pH는 6.0이며, 온도 안정성에서는 30∼5$0^{\circ}C$에서는 90%이상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고,70∼8$0^{\circ}C$에서는 30%이하의 잔존활성을 나타내었다. pH 안정성에서는 pH 5.5∼7.0에서 100%의 잔존활성을 나타낸 반면 pH 2.0∼4.0에서는 40%이하로 감소되 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와 2차 sephadex G-25 gel filtration 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및 FACE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5와 7로 확인되었다. B. iongum, B. btfidum, B. infantis, E. adolescentis, B. animalis,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5와7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배지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5와 7을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의 경우 특징적으로 각각 4.67, 5.33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B. breve에 대해서는 중합도 5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처리시 2.42배의 생육활성을 나타내었으나 B. infantis와 B. adolescentis에 대해서는 중합도 5와 7의 올리고당을 탄소원으로 대체시 오히려 생육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Glucomannan 의 유변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Glucomannan)

  • 김경이
    • 유변학
    • /
    • 제5권2호
    • /
    • pp.161-169
    • /
    • 1993
  • Glucomannan(G.M.)은 Amorphophallus Konjac C. Koch의 tuber로부터 분리되었고. 이 G.M.은 다시 침전제로 메탄올을 사용하여 4단계로 분별되었다.(F.1, F.2, F.3, F.4,). 각분 별물에 비하여 직선으로부터 벗어남을 보였다. Low shear viscometer로 G.M. 용액의 viscosity를 측정하였고 농도와 zero shear specific viscosity의 logarithm을 도시한 결과 inflection point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G.M. 분자들의 coil overlap의 시작에서 기인한 것이 고 묽은 용액에서 진한 용액으로의 전이행동은 임계농도. C*=4/[η]에서 일어났고 이때의 zero shear specific viscosity는 10을 나타내었다. 또한 specific viscosity는 묽은 용액에대해 서는 C14로써 변화하였고 진한 요액에서는 C3.0으로변화하였다. G.M.의 고체상태에 대한 유 전성($\varepsilon$',$\varepsilon$")과 점탄성(C',C")계수들을 액체질소 온도에서부터 15$0^{\circ}C$ 온도범위에 걸쳐 4단계로 film을 건조시키면서 10Hz에서 측정하였다. G.M. film의 유전성과 점탄성의 허수부 분은 ($\varepsilon$", C"), -10$0^{\circ}C$에서 peak를 나타내었고 이 peak는 hydroxy methyl 기들의 회전 운동에서 생겨난 것이다.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의 G.M. film의 유전성과 점탄성의 허수부분 의 값들은 -5$0^{\circ}C$에서 물 분자의 운동에 의하여 생긴 peak를 보였다.

  • PDF

Glucomannan의 유변학적 성질에 관한연구 (II) (A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glucomannan(II))

  • 김경이
    • 유변학
    • /
    • 제9권1호
    • /
    • pp.27-32
    • /
    • 1997
  • GM 은 Amorphopallus Konjac K. Koch의 tuber의 주성분으로알카리 응고제를 첨가 함에 따라 열적으로 안정한 gel을 형성한다. GM에 침전제로 메탄올을 사용하여 4단계로 분 별하였고 각 분별물(F.1, F.2, F.3, F.4)들은 Mark-Houwink 식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산출하 였다. Ubbelohde를 이용한 농도에 따른 환산점도로부터 고유 점성도값을 구한 결과 분자량 이 높은 분별물이 분자량이 낮은 분별물에 비하여 직선으로부터 벗어남을 알수 있었다. 또 한 고유점성도는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분자량 분포 범위가 broad하게 나타났다. GM용액의 frequency와 shear rate에 따른 viscosity를 측정한결과 낮은 frequency에서는 loss modulus(G")가 storage modulus(G")보다 큰 값을 가졌으나 높은 frequency에서는 G '가 G"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 현상은 분자들의 얽힘에 관한 시간 의존도로써 설명할수 있다. 즉높은 frequency에서는 탄소 사슬간의 얽힘들이 진동기간내에 분자결합이 끊어지기 에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여 그 조직이 교차 결합을 한 gel처럼 행동하게 되고 한편 낮은 frequency에서는 탄소사슬들의 얽힘이 풀리고 흐르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게된다. Shear rate에 따른 viscosity값과 frequency에 대한 dynamic viscosity값은 거의 유사한 변화를 나 타내었다.

  • PDF

Konjac Glucomannan Derived Carbon Aerogels for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 Lian, Jie;Li, Jiwei;Wang, Liang;Cheng, Ru;Tian, Xiuquan;Li, Xue;Zhou, Jian;Duan, Tao;Zhu, Wenkun
    • Nano
    • /
    • 제13권10호
    • /
    • pp.1850113.1-1850113.11
    • /
    • 2018
  • Environmental and energy issues have always been a hot topic of global research. Oil leakage has caused great damage to the environment, affecting a wide area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up. In most cases, carbon-based adsorbents are typically utilized to remove oil spills because of their economic benefits and high adsorbent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s excellent material properties can also be used for the preparation of supercapacitors. In this paper, the carbon aerogels were prepared by the one-step method. The prepared materials endowed a 3D network structure with a huge number of micropores and mesoporous, and the material is light-weight, stable, hydrophobic and has affinity for oil (17.02 g/g) to the KGM carbon aerogel. Through the physicchemical characterization, the KGM carbon aerogel shows specific surface area is $689m^2/g$, high water contact angle ($136.64^{\circ}$) and excellent reusability (more than 15 cycle times). In addition, we also discuss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and obtained the specific electrical capacity of 139 F/g under the condition of 1 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