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flow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8초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충청권 연구마을 특성화 연계 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ased the Link Strategy of Localization Project: Focusing on Chungcheong-Provincial Research Town Characterization Linkage Strategy)

  • 홍은영;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5-115
    • /
    • 2017
  • 혁신클러스터 이론에서는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해 암묵적 지식과 노하우 접근이 수월할수록 클러스터의 성장이 촉진된다. 산학협력이란 산학연간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혁신네트워크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의 정부 정책의 흐름은 산학연협력 생태계가 자발적으로 조성되도록 대학 및 연구기관의 지원 전담조직을 활성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소기업청은 2013년도에 우수한 연구기반을 갖춘 대학 또는 연구기관 내에 중소기업의 연구 기능을 집적화하여 산학연협력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마을 지원사업'을 첫 시행하였다. 이러한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사업의 생태계가 잘 조성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화산업을 반영한 산학협력기술개발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특화발굴 전략이 잘 반영된 연구마을의 경우, 유사 기술분야 기업들의 집적화로 자연스럽게 클러스터가 조성되어 연구의 시너지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사업에 참여한 충청권의 연구마을 특화분야 발굴사례를 통해 지역 특화사업 연계 전략을 조사 정리하여 향후 연구마을뿐만 아니라 지역특화 전략에 기반한 산학협력을 추구하는 기관에 발굴전략을 제시하고 정부의 클러스터정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달운석 Mount DeWitt 12007의 마스컬리나이트 충격 변성 특성 연구 (Shock Metamorphism of Plagioclase-maskelynite in the Lunar Meteorite Mount DeWitt 12007)

  • 김현나;박창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31-139
    • /
    • 2016
  • 마스컬리나이트(maskelynite)는 강한 충격에 의해 운석이나 크레이터(crater)에서 형성된 장석 조성의 비정질 상으로서, 마스컬리나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운석의 충격 변성 압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마스컬리나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달운석 Mount DeWitt (DEW) 12007에서 관찰되는 사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충격 압력의 불균일성을 연구하였다. 달운석 DEW 12007에서 대부분의 사장석 입자 일부가 마스컬리나이트로 전이하여, 하나의 입자 내에서 사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가 방향성을 가지고 혼재하는 양상이 관찰된다. 주사 전자 현미경의 후방 산란 이미지 관찰 결과, 마스컬리나이트 내부에 평면 변형 구조가 남아 있는 것은 다이어플렉틱 글래스일 가능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입자 경계를 따라 사장석이 용융 후 재결정된 흔적도 나타난다. 라만 분광분석 결과는 사장석이 약 5-32 GPa, 마스컬리나이트가 26-45 GPa의 충격 변성 압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한 입자 내에서 서로 다른 충격 변성 압력은 충격파의 불균일한 분포와 같은 운석 외부에 의한 원인 또는 사장석 입자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같은 운석 자체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라만 분광분석은 비정질 상(phase)인 마스컬리나이트의 원자 구조를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고압 환경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배위수 원자 환경의 관찰이 힘들다. 따라서 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충격 압력 및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화학 조성 및 원자 단위 구조의 규명이 필요하다.

고려 의서 『향약구급방』의 임상 의학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n the Medical book of Koryŏ Dynasty, Hyang'yak Kugŭppang (鄕藥救急方, Medical Recipes of Local Botanicals for Emergency Use))

  • 오재근;김상현;이기복;전종욱;신동원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9-300
    • /
    • 2020
  • Objectives : In this paper, We pointed out medico-historical meaning of Hyang'yak Kugŭppang (鄕藥救急方, Medical Recipes of Local Botanicals for Emergency Use), a medical book of Koryŏ Dynasty, breaking from the existing analysis view based on Hyang'yak (鄕藥), local herbs produced in Korean Peninsula. Methods : For that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s and symptoms, strategies of treatment, therapeutic tools, drug formulations, composition of herbal formulas in Hyang'yak Kugŭppang. Results :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in Hyang'yak Kugŭppang. First, it contained a way to cope with the diseases and symptoms that do not have to check the exterior, interior, cold, and heat. Also, it introduced basic strategies such as reducing, facilitating flow, draining downward, warming, or tonifying, etc. It mainly included herbal medicine as the therapeutic tools, and introduced formulas composed by single herb than complex recipes. It suggested external applications more than internal use, and proposed formulations in the form of decoctions or powders, etc. The herbs of formulas were used by experience without explanations of nature & taste, efficacy of each herbs. Conclusions : Hyang'yak Kugŭppang is a book of medical recipes for emergency use that has been distributed to help gentries, even if they do not have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to instantly cope with diseases and symptoms with medicines that are easy to obtain. Previous researches has analyzed the value of Hyang'yak Kugŭppang as a collection of information of hyang'yak, and used it as a historical basis of the uniqueness of Korean medicine. Since Hyang'yak Kugŭppang is not a book specialized for herbs, but rather a clinical medical book that introduces recipes for specific symptoms of diseases, if we pay attention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Kugŭppang,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describe Koryŏ or Korean medicine in a new way.

농촌문화마을 조성 및 활성화 방안연구(1) - 김제시 대산마을(현황분석 및 기본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Program of Cultural Rural Village - Focused on the Case in Dae -San Village, Kimje-si, Chonbuk Province -)

  • 최만봉
    • 농촌계획
    • /
    • 제6권1호
    • /
    • pp.19-28
    • /
    • 2000
  • Now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est points of the rural areas of the city of Kimje and, transform them into rural cultural villages which have local governing systems suitable to new localization age and activate this plan, we selected Daesan Village as a model village which had shown a lot of potentials in the basic research and studied it dividing it into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We studied Daesan village in the former part focusing on state analysis and basic ideas and in the latter part focusing on master plan and detail planning. We can summarize the conclusion like the followings. 1. Daesan Village located 8 kilometer away from the downtown Kimje and the city of Iksan respectably has comparatively good environment of good sunny place as an open field whose surrounding configuration of the ground consists of farming lands and low hills in front and rear. It has 38 farming households in all. 2. Human environment(인문환경); the village road whose width is about 4 meters is forming a flow system forking off into three. There is a route bus which operates three times a day even into the inside of the village. The main sources of revenue are vegetables in facilities, fruits and floriculture. Their average revenue is about 10.5 million won. 3. Here in DaeSan Village a legend dealing with Teasan literally meaning a big mountain consist of th village's tradition and you can see the tombs of a very faithful son and Anwi an army general in the ag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of 1592 to 1598 inside the village. 4. 85 out of the eitire population 141 whose age are over 20 showed very positive attitudes in a questionnaire about, making the village a cultural one and its development. 5. The basic of planned ideas is to increase the revenue of the farming household by making the village a professional farming one which has a state-of the-art production facility and agricultural technique. It is to make the village the one where people can enjoy the sense of the rural life and the farmer can enjoy their lives through consumptive and consistant leisure and resting activities. 6. We are planning to make entrance space, life space, rest and sport space, and cultural spa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and the demand of the resident. We are also planning to make tile entire city of Kimj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base in short and long term perspectives. 7. DaeSan Village was planned as a place where tradition and the future exist together. On the basis of this concept we planned future programs for Daesan Village and in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master plans and detail plans will be continued.the regional agricultural condition. The development permissions were only during the period of restricted to use ($1979.12{\sim}1993.11$). We propose that the authority of development permission should be given to the local autonomy government,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has the knowledge of its individual agricultural conditions.

  • PDF

지식정보와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가압경수로 증기발생기 수위제어 (Water Level Control of PWR Steam Generator us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Neural Networks)

  • 배현;우영광;김성신;정기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22-327
    • /
    • 2003
  • 가압경수로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수위는 유량의 변동에 상반되는 수축(shrink)과 팽창(swell) 효과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가 어려운 대상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을 이용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두 개의 PI 제어기 중 부적절한 게인으로 조정된 제어기를 먼저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기의 게인을 퍼지 논리를 적용하여 조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게인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본 정보는 수위, 급수량, 그리고 증기량이다. 이 세 가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신경망을 통해 수위 제어기 또는 급수량 제어기 둘 중 하나의 제어기가 선택한 후 퍼지 자기동조기(self-tuner)를 이용하여 PI 제어기의 게인을 알맞게 조정하게 된다. 퍼지 자기동조기의 규칙은 증기발생기의 상태를 표현하는 입ㆍ출력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이상의 두 과정을 통해 적절한 제어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어기의 게인을 알맞게 조정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복합운송주선업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ssessment of Competency Requirements for Logistics Managers of Freight Forwarding Companies)

  • 김진수;홍의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147-172
    • /
    • 2012
  • 본 연구는 복합운송주선업에 종사하는 물류관리자들이 갖추어야 할 기술 및 자격요건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기업 내 각 자격요건들의 관리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복합운송업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집단과의 토의를 거쳐 자격요건 항목들을 추출하여 4개 그룹(물류공통, 물류전략, 물류운영, 물류기술)로 분류하였고, 추출된 항목들을 평가하기 위해 신뢰성, 요인분석,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복합운송주선업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들 중, 고객지향성, 책임감, 의사결정능력, 의사소통능력, 물류전체프로세스 이해 등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항목별 관리수준은 복장, 성실성, 외국어구사능력, 성취지향성, 고객 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격요건들의 중요도와 관리수준을 비교한 결과, 복장, 성실성, 외국어구사능력, 성취지향성, 학력수준, 문서작성 능력 등이 중요도에 비해 비중 있게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의사소통능력, 물류원가 수익성분석, 물류컨설팅, 프레젠테이션, 다양한 업무파악능력 등은 그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관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이 항목들을 배양할 수 있도록 물류관리자들을 독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운송주선업에 근무하는 물류관리자 뿐 아니라 향후 복합운송주선업계로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미래의 물류인, 물류를 전공하는 학생들, 이들을 지도하는 학자들 그리고 복합운송주선업에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중국진출 한국기업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ssessment of Competency Requirements for Logistics Managers in China)

  • 홍의;김진수
    • 통상정보연구
    • /
    • 제13권4호
    • /
    • pp.251-274
    • /
    • 2011
  • 본 연구는 물류관리자들이 갖추어야할 기술 및 자격요건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중국에 진출해 있는 국내기업의 물류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할 총 43개의 항목을 문헌연구 및 전문가집단과의 토의를 거쳐 추출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이 항목들을 특성별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공급체인에 관한 인식정도, 의사결정능력, 분석능력, 의사소통스킬, 공급체인의 비용에 관한 지식, 대인관계기술, 정보흐름의 통합능력 등을 포함하는 물류계획그룹의 항목들이 가장 중요한 물류관리자의 자격요건인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회수물류의 기술이나 환경관련 법규의 파악정도 등이 포함된 환경인식그룹의 항목들은 그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요인분석 결과 선택된 총 23개 항목 중 물류관리자들의 업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것은 14개로 전체의 61% 정도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류업계로 진출하기 희망하는 미래의 물류인, 물류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 이들을 지도하는 학자들 그리고 중국시장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들에게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상위에 랭크된 요건들을 갖추고 있는 관리자들을 중국으로 파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 내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혹은 잠재적 물류관리자들이 자신들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부분에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 관련 지식흐름과 교육효과 분석 (Analysis of knowledge flow and education effect on the Saemangeum)

  • 장정렬;김미선;김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3-113
    • /
    • 2015
  • 공공수역 수질오염 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새만금호 유역은 농경지비율이 40%로서 넓기 때문에 농업비점오염 관리가 중요하다.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기법 연구는 국내에서 그 간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지만, 그 기법을 실행할 주체인 농업인이나 지역주민의 역량이나 농업비점오염의 인지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정보의 소통과 흐름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또한 농업오염 교육 전후에 있어서 지역주민과 농업인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지식흐름은 매크로레벨 즉, 정책입안자, 전문가 레벨에서 관련정보가 정체되어 있었고, 실제 농업비점오염 관련 저감 기법이나 정책을 실행하는 주체인 마이크로레벨의 농업인과 지역주민, 이를 지원하는 시군 공무원, 지역전문가 등 매소레벨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로 가공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농업부서와 환경부서 사이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한 소통이 있는 반면, 정보의 의도적 차단, 자기조직의 대응을 위한 형식적, 임시적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귀농인과 친환경농업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는 교육 전 38.1%에서 교육 후 100%로, 교육 후 농업비점이 오염원이라는 인식도도 친환경농업인 91%, 귀농귀촌인 78%로 응답하였다.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수질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는 친환경농업인은 5점 만점에 3.67점, 귀농귀촌인은 4.05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친환경농업인은 4.05점, 귀농귀촌인은 4.09점으로 두 집단 모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친환경 농업은 저감기법의 오염 저감 효과는 높게 인식하였지만, 직접 실행해 볼 의사는 3.4점, 저감 기법을 주위에 소개나 권고할 의사는 3.5점이었다. 또한, 실행 가능한 저감 기법으로는 퇴액비 사용, 완효성 비료사용, 녹비작물재배 등의 순이었다. 저감기법이 어렵다고 응답한 이유는 복잡할거 같다, 귀잖을 것 같다, 추가비용으로 손해, 저감효과 신뢰성 부족, 농업은 오염원이 아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주체들 간의 정보와 지식흐름을 이어줄 중간조직의 필요성과 농업인의 인식의 변화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홍보 기법과 농업인의 수용성이 높은 저감기법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외 장소성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zing the Study Trends of 'Sense of Plac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이인아;김혜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9-209
    • /
    • 2019
  • 주경로 분석(Main Path Analysis, MPA)은 문헌의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지식이 전달되는데 기여한 핵심 문헌을 추출하는 텍스트마이닝 기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행된 장소성 관련 논문의 인용정보와 초록을 토대로 주경로 분석과 단어동시출현빈도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1990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된 문헌을 5년씩 기간 구분하여 (마지막 기간은 3년) 각 기간 별로 국내외에서 장소성 관련 연구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주경로 분석 결과, 1990년부터 해외의 장소성 관련 연구는 개인 정체성, 공공 토지 관리, 환경 교육, 도시 개발 분야 순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동시출현을 기반으로 한 연관어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국내의 경우 도시 개발, 문화, 문학, 역사 등 다양한 차원에서 장소성이 논의되는 격변기를 겪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반면 국외에서는 건강, 정체성, 경관, 도시 개발 관련 논의가 90년대부터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장소성 연구동향을 기존의 특정 영역에 장소성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미시적 관점의 분석이 아닌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장소성을 주제로 삼고 있는 논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통시적 접근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성류굴(천연기념물 제155호)의 과학적 중요성 (Scientific Significances of the Seongryu Cave (Natural Monument No. 155))

  • 김련;우경식;김봉현;박재석;박헌영;정혜정;이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236-259
    • /
    • 2010
  • 성류굴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암류를 조사한 결과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바와 다르게 조선누층군에 대비되는 암석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선누층군 중 태백층군과 대비되는 대기층, 화절층 그리고 동점층이 나타난다. 하지만 동점층 상위에 두무골층과 막골층이 나타나는 태백지역과는 달리 이 지역의 암석은 두 층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근남층으로 명명하였다. 성류굴은 이 근남층 내에 발달하고 있다. 성류굴은 전체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수평동굴로서 동굴 내 3개 구간에 규모가 큰 호수가 분포하고 있다. 성류굴의 주굴의 길이는 약 330m, 가지굴의 길이는 약 540m로 총 연장은 약 870m이다. 이 중에서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구간이 약 270m이며, 수중조사를 통해 총 약 85m의 수중구간이 발견되었다. 성류굴 내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유석, 휴석, 동굴방패, 동굴산호, 베이컨시트, 커튼과 일부구간에 동굴진주, 석화, 곡석, 부유방해석 등이 분포한다. 동굴 내로 동굴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구간도 있으나, 대부분의 구간에는 천장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가 성류굴 내 동굴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국내 최초로 성류굴 내부의 수중통로 구간을 발견하였다. 이 구간에는 종유석, 석순, 유석, 석주 등의 동굴생성물이 분포하며 동굴수에 의해 침식되거나 용식된 흔적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