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Management Promotion System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Strategies for MSMEs to Achie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SWOT Analysis Method

  • JATMIKO, Bambang;UDIN, Udin;RAHARTI, Rini;LARAS, Titi;ARDHI, Kholifah Fi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505-515
    • /
    • 2021
  • The essenti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es for developing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to realiz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by applying the SWOT analysis method. Thus, the main problem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a) around 60-70% of MSMEs in Kulonprogo regency do not yet have access or financing from banks; b) lack of knowledge of production technology; c) in general, MSMEs business actors are still incorporated legal entities; d) MSMEs do not have a good financial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 e) coordination between MSMEs stakeholders has not been integrated; f) limited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of MSMEs, primarily related to technological tools; and g) limited access to raw materials so that MSMEs often get low-quality raw materials.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method wit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By using the Slovin tools sampling technique, the number of samples was 39 MSMEs in Kulonprogo Regency, Yogyakarta, Indones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ulonprogo MSMEs should pay attention to seven aspects of business management to achie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e seven aspects are: 1) business strategy; 2) human resources; 3) information technology; 4) products; 5) promotion; 6) cooperation; and 7)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사용자 중심의 웹 기반 제품 사용경험 인증·평가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User Experience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User-centered System Design Approach)

  • 나주연;김지희;정성욱;이동현;이철;반상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48
    • /
    • 2019
  • 최근 기업 간 기술격차 해소로 사용경험 개선을 위한 제품 디자인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나 국내 중소 중견 기업들의 사용경험 평가 지원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중소 중견 제조기업의 차별적인 제품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관점의 웹 기반 제품 사용경험 인증 평가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 중심의 웹기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해 사용자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워크플로우 분석, 사용자별 태스크 정의, 사용자 니즈를 고려한 기능 정의를 수행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주요 메뉴를 구성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용경험 인증 평가 시스템은 사용자별 인터랙션을 고려해 설계되었으며, 특히 평가 효율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경험 평가 프로세스 수행을 지원하고,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평가 설계 및 제품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경험 평가를 수행하는 컨설팅업체와 사용경험 평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중견기업을 연결함으로써 기업의 실질적 사용경험 평가를 지원하고 자체적인 제품 개발 역량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Unified Policy of the Public Library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5-47
    • /
    • 2016
  • 21세기는 지식정보화의 시대이자 교육과 문화의 세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의 중심에 있는 공공도서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공공도서관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위한 베이스캠프로서 학문과 문화의 저수지이다. 최근 이러한 공공도서관이 도서관 관련 법규도 준수하지 못하는 열악한 상태에서 행정체계 일원화 추진과 함께 도서관계의 큰 이슈로 대두되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행정체계 일원화 추진에 대한 제반 주장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공공도서관 일원화 논의의 전개과정을 고찰하였고, 둘째, 공공도서관 일원화의 쟁점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공공도서관 일원화 관련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on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 Seon-Hui Kwak;Bo-Mi Shin;Soo-Myoung B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6-40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support policies among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Methods: We surveyed 200 dental hygienists. Twenty-two who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leaving 178 participants for analysis. The self-administered 48-item questionnaire gather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workplace details, policy awareness, government knowledge,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sults: Awareness of maternity and family support programs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ge,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clinical experience.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 reported greater ease of utilizing these policies compared to those in dental clinics. Among the participants, 27.7% took pre- and post-maternity leave, 26.6% took parental leave, 16.9%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pregnancy, 15.8% had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childhood,and 8.5% during family leave. To promote program uptake, participants suggested mandatory implementation across workplaces (68.4%), expanded support for substitute workers (48.6%), and increased education and promotion of government support (42.4%). Conclusion: While most dental hygienists were aware of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utilizing it proved challenging due to several factors. Organizational policies or practices may not fully implement this policy, while workplace culture could discourage its use. Unfair treatment and the lack of available substitutes further hindered access. To prevent career interruptions for dental hygienists due to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family care, and to maintain career continuity, the dental community and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multifaceted social support system. This system should prioritize several key areas: strengthening policy promotion, fostering a family-friendly atmosphere, improving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developing a robust support system for substitute personnel.

고혈압 발생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Hypertension Predictive Model)

  • 용왕식;박일수;강성홍;김원중;김공현;김광기;박노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3-28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u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algorithms to develop hypertension predictive model for hypertension management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atabase(the insureds' screening and health care benefit data). Methods: This study validated the predictive power of data mining algorithms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and ensemble technique. On the basis of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l performance of logistic regression method was the best among the above three techniques. Results: Major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probability of hypertension was: - lower for the female(compared with the male)(OR=0.834) - higher for the persons whose ages were 60 or above(compared with below 40)(OR=4.628) - higher for obese persons(compared with normal persons)(OR= 2.103) - higher for the persons with high level of glucose(compared with normal persons)(OR=1.086) - higher for the persons who had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compared with the persons who had not)(OR=1.512) - higher for the persons who periodically drank alcohol(compared with the persons who did not)$(OR=1.037{\sim}1.291)$ Conclusions: This study produced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outbreak of hypertension using screening. It is considered to be a contributing factor towards the nation's building of a Hypertension Management System in the near future by bringing forth representative results on the rise and care of hypertension.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자원의 네트워크 분석 (A Data-Driven Approach and Network Analy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Resources in SMEs)

  • 안경민;이영찬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4호
    • /
    • pp.103-129
    • /
    • 2023
  • 본 연구는 중소기업, 특히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자원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고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 간의 차이점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연결 중심성, 유동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CONCOR 분석을 통해 구조적 등위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성과 창출 유무에 따라 구분된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의 네트워크 형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기업의 기술혁신자원 분석에서 기업가정신과 기업혁신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ONCOR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혁신자원은 7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본원적 제품혁신 자원, 경쟁우위 추진 자원, 협력활동 자원, 정보시스템 자원, 혁신 보호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의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혁신기업이 경쟁력 강화와 품질 향상에 집중하는 반면, 비혁신기업은 기존 제품과 고객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혁신기업은 8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있었고, 비혁신기업은 6개의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기업이 자원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구조적 변화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추구하는 반면, 비혁신기업은 보다 안정적인 형태로 기술혁신자원을 운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있어서 기업가정신과 기업혁신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혁신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적 차원에서의 강력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발견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전략 수립과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New Trends and Challenges of Internet Marketing

  • Nosshi, Anthony;Saad, Aziza;Senousy, M. Badr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5권2호
    • /
    • pp.337-355
    • /
    • 2015
  • The Interne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nels for people to communicate and for companies to implement their sales promotion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Marketing and advertising attempt to influence customers' attitude to persuade them to choose to buy the advertisers' products instead of the competitors'. With the different forms of online marketing, such as search engine marketing, email marketing, and mobile marketing, advertisers can find more effective strategie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more targeted audiences. With the emergence of the social web (web 2.0), a new platform was introduced called social networks. This paper presents the current work in internet marketing activities until web 2.0, and conducts a social network analysis to aid in data extraction. Marketing and advertising companies have understood the power of information for a very long time. The more knowledge these companies have on the demographics, consumer habits, and preferences of particular customer types, the more they can tailor their product offerings, and the more sales they can mak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internet marketing concepts as well as present challenges and work directions in internet marketing.

신뢰성관리 - 품질경영기사 시험의 측면에서 (Reliability Management -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 Test)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37-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관리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품질경영기사 시험에서 신뢰성관리 부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용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신뢰성분석에 꼭 필요한 일부 기법들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이 종종 취득하는 외국(특히 미국)의 품질 및 신뢰성과 관련된 자격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CRE 시험은 우리나라의 품질경영기사 시험 내 신뢰성관리 부문의 내용과 거의 중첩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은 오픈북 시험인 반면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으므로 수험자 편에서는 외워야 할 식이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우리나라 시험도 CRE 시험에서와 같이 오픈북 시험을 본다면 단편적인 지식을 뛰어넘어 신뢰성관리에서 꼭 필요한 요소를 갖췄는지 점검할 수 있는 시험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미국에서와 같이 자격시험을 통과한 경우 일정 기간 내 교육, 업무 등을 통해 재인증을 받도록 한다면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 걸맞은 자격증이 될 것이다.

Trade Facilitation for the Products of the Industry 4.0: The case of Customs Classification of Drone

  • Yi, Ji-Soo;Moon, So-You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8호
    • /
    • pp.110-131
    • /
    • 2019
  • Purpose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To identify the issues caused by the conflicts of policy objectives such as applying the tariff concession under the ITA and imposing the export control, by exploring the case of classification of drones. Design/methodology - We adopted a single case study metho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issues of Customs classification in the context of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This study employs the case of drones to explore how these issues of Customs classification affect trade facilitation. We ensured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study by confirming the pattern of the results with the existing theories. Findings -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ducts that converge several technologies causes issues in the classification. The inconsistency in product classification delays customs clearance by hindering the Customs risk-management system that pinpoints products subject to controls. To address the issues, therefore, we proposed fundamental reforms of Customs to empower themselves with management roles.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requires more enhanced Customs capability. Therefore, the reforms should include comprehensive capacity-building activities, such as changes in staff-trainings, promotion system, organisation and culture. Customs also need roles in robust designing of cooperative systems to compensate for the lacks of controls and to ensure concrete risk management for expedited Customs procedures. As well, by equipping the Single Window of Customs with crucial control functions of other ministries, Customs need to support the cooperation. The role of harmonising various preaudits of other ministries with its own is another essential role that ensures predictability of clearance procedure. Originality/value - There are scanty studies in the field of knowledge about what obstacles exist and what solution is available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to 'Industry 4.0'. In filling out the gap of knowledge, this paper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pplies the research theory on trade facilitation for the specific cases of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of Industry 4.0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to extend the subject of the studies to the scope of Industry 4.0. It also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results have provided implications for reforms of Customs procedures to facilitate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전문적 체계정립을 위한 디자인비즈니스 유형구조화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ing of Professional System for Design Business)

  • 김보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7-26
    • /
    • 2004
  • E-business 경제사회가 성장하고 문화, 창조산업은 물론 컨텐츠와 지식산업의 성장이 가시화되면서 기존 기업경영 환경에서 논의되어오던 비즈니스 유형은 더욱 다양하게 확장되고,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인경영의 확산과 그 동안 영세하고, 비전문적으로 이루어졌던 디자인비즈니스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까지 디자인비즈니스는 디자인산업, 디자인서비스의 개념과 동일시되어 독립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개념이 아니었다. 특히 디자인비즈니스는 암묵적인 프로세스 내에서 이루어져 왔고, 이는 다시 개념적 불확실성과 체계적인 시스템 부족으로 이어졌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독립적인 사업을 통한 자본적, 사회적 성공과 발전기반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인 전문 회사들이나 디자인경영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시대적 변화에 적합한 디자인비즈니스 모델개발이나 발전전략 마련에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비즈니스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을 이루고, 디자인비즈니스의 유형을 그 활동 형태에 따라 맞춤형, 기성형, 제공형, 계약형로 정립하고, 비즈니스 대상을 제품, 보조서비스, 지식, 프로모션으로 확대하여 활동형태와 대상에 따른 디자인비즈니스 유형의 구조 틀을 구축하였다. 이는 디자인 비즈니스 유형에 대한 보다 확장된 개념을 제공함으로써 디자인비즈니스 활동의 확산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도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