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iability Management -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y Management Engineer Test

신뢰성관리 - 품질경영기사 시험의 측면에서

  • Jaiwook Baik (Department of Statistics.Data Scienc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백재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계.데이터과학과)
  • Received : 2023.04.11
  • Accepted : 2023.04.20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Sampl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blems and their improvement plans associated with the reliability management sector in quality management engineer test conducted in Korea. First of all, there seems to be a problem in that the terminology is not unified and some techniques essential for reliability analysis are not included. We also looked at quality and reliability tests performed in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USA) that Koreans often acquire.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CRE test almost overlaps with the contents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engineer test in Korea. However, while the USA is an open book test, Korea is not, so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too many formulas to memorize on the part of the test taker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data is done manually without using computer software. If the test were an open book test like the CRE test in USA, it will be a test that can go beyond fragmentary knowledge and check whether test takers have the essential elements in reliability management. Lastly, if we adopt re-certification system through education and work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s in USA, it will be a qualification test suitable for modern people living in a flood of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관리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품질경영기사 시험에서 신뢰성관리 부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용어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신뢰성분석에 꼭 필요한 일부 기법들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이 종종 취득하는 외국(특히 미국)의 품질 및 신뢰성과 관련된 자격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CRE 시험은 우리나라의 품질경영기사 시험 내 신뢰성관리 부문의 내용과 거의 중첩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은 오픈북 시험인 반면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으므로 수험자 편에서는 외워야 할 식이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우리나라 시험도 CRE 시험에서와 같이 오픈북 시험을 본다면 단편적인 지식을 뛰어넘어 신뢰성관리에서 꼭 필요한 요소를 갖췄는지 점검할 수 있는 시험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미국에서와 같이 자격시험을 통과한 경우 일정 기간 내 교육, 업무 등을 통해 재인증을 받도록 한다면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 걸맞은 자격증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재욱(2023). 품질경영기사. 구민사.
  2. http://www.rako.or.kr/
  3. 박동호.박정원(2023). 신뢰성공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 박동호 외 7인(2005). 신뢰성용어편찬. 신뢰성응용연구 2-5권 제4호, 397-404.
  5. https://www.kss.or.kr/bbs/board.php?bo_table=psd_sec
  6. 백재욱(2012). 우리나라 품질경영기사시험에 대한 고찰과 발전방안. KNOU(방송대)논총 제54집, 43-52.
  7. Nelson, Wayne(1980). Applied Life Data Analysis. Wiley. New York.
  8. http://certi.ksa.or.kr/qualification/5315/subview.do
  9. https://asq.org/cert/reliability-engineer
  10. https://www.juse.or.jp/src/seminar/detail/page/qualify-02
  11. 유춘번 외 7인(2021). 최신 ISO.KS 기반 통계적 품질관리. 민영사.
  12. 양희정(2023). 양샘의 품질경영기사. 이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