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t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26초

Delta Moves and Arrow Polynomials of Virtual Knots

  • Jeong, Myeong-Ju;Park, Chan-Young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58권1호
    • /
    • pp.183-202
    • /
    • 2018
  • ${\Delta}-moves$ are closely related with a Vassiliev invariant of degree 2. For classical knots, M. Okada showed that the second coefficients of the Conway polynomials of two knots differ by 1 if the two knots are related by a single ${\Delta}-move$. The first author extended the Okada's result for virtual knots by using a Vassiliev invariant of virtual knots of type 2 which is induced from the Kauffman polynomial of a virtual knot. The arrow polynomial is a generalization of the Kauffman polynomial. We will generalize this result by using Vassiliev invariants of type 2 induced from the arrow polynomial of a virtual knot and give a lower bound for the number of ${\Delta}-moves$ transforming $K_1$ to $K_2$ if two virtual knots $K_1$ and $K_2$ are related by a finite sequence of ${\Delta}-moves$.

Management of Toma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Plant Extracts and Essential Oils

  • Abo-Elyousr, Kamal A.M.;Awad, Magd El-Morsi;Gaid, M.A. Abde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89-192
    • /
    • 2009
  • The effect of plant extracts of eucalyptus (Eucalyptus chamadulonsis), garlic (Allium sativium), marigold (Tagetes erecta) and neem (Azadirachta indica) and essential oils were tested on the suppression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In vitro study, all tested treatments had nematicidal effect on nematode juveniles after 24 and 48 hours from exposures. The highest percentage of nematode mortality was achieved by application of neem extract (65.4%), essential oils (64.4%) and marigold extract (60.5%), followed by garlic and eucalyptus extracts (38.7-39.5%). Under greenhouse and field conditions, neem extract and essential oils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 numbers of the M. incognita in soil and root gall index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field experiments, the maximum protection of tomato plant against root-knot nematode was obtained by application of neem and essential oil treatments, 44.2 and 32.6%, respectively.

The NURBS Human Body Modeling Using Local Knot Removal

  • Jo, Joon-Woo;Han, Sung-Soo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4호
    • /
    • pp.348-354
    • /
    • 2005
  • These days consumers' various demands are accelerating research on apparel manufacturing system including automatic measurement, pattern generation, and clothing simulation. Accordingly, methods of reconstructing human body from point-clouds measured using a three dimensional scanning device are required for apparel CAD system to support these functions. In particular, we present in this study a human body reconstruction method focused on two issues, which are the decision of the number of control point for each sectional curve with error bound and the local knot removal for reducing the unusual concentration of control points. The approximation of sectional curves with error bounds as an approximation criterion leads all sectional curves to their own particular shapes apart from the number of control point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local knot removal to construction of human body sectional curves reduces the unusual concentration of control points effectively. The results may be used to produce an apparel CAD system as an automatic pattern generation system and a clothing simulation system through the low level control of NUBS or NURBS.

Local Moves and Gordian Complexes, II

  • Nakanishi, Yasutaka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7권3호
    • /
    • pp.329-334
    • /
    • 2007
  • By the works of Levine [2] and Rolfsen [5], [6], it is known that a local move called a crossing-change is strongly related to the Alexander invariant. In this note, we will consider to what degree the relationship is strong. Let K be a knot, and $K^{\times}$ the set of knots obtained from a knot K by a single crossing-change. Let MK be the Alexander invariant of a knot K, and MK the set of the Alexander invariants $\{MK\}_{K{\in}\mathcal{K}}$ for a set of knots $\mathcal{K}$. Our main result is the following: If both $K_1$ and $K_2$ are knots with unknotting number one, then $MK_1=MK_2$ implies $MK_1^{\times}=MK_2^{\times}$. On the other hand, there exists a pair of knots $K_1$ and $K_2$ such that $MK_1=MK_2$ and $MK_1^{\times}{\neq}MK_2^{\times}$. In other words, the Gordian complex is not homogeneous with respect to Alexander invariants.

  • PD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ndiana BtTH109의 토마토 뿌리혹선충에 대한 치사효과 (Nematocidal Effect of B. thuringiensis subsp.indiana Strain BtTH109 on Root-Knot Nematode of Tomato)

  • 이광배;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9-684
    • /
    • 1994
  • For a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tomato, efficiency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ndiana strain TH109 (BtTH109) on the nematode control was investigated. After the mixture of strain BtTH109 and wheat bran was treated into rhizosphere of the tomato plants with nematode eggs, the stem height and root growth of plants increased. And the juveniles and eggs of nematode are not found in both roots of tomatoes and pot soil after cultured broth of the strain BtTH109 treated 4 times at 3 day-interval into rhizosphere of the infected tomatoes.

  • PDF

COR-KNOT-Induced Leaflet Perforation: How It Happens and How to Prevent It: A Case Report

  • Michael Salna;Jack Shanewise;Alex D'Angelo;Isaac Georg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96-98
    • /
    • 2024
  • The COR-KNOT suture fastening device has dramatically improved the efficiency of valve suture fixation. Despite its relative ease of use, there are important considerations in deployment to limit the risk of prosthetic valve injury. Herein, we report a case of iatrogenic aortic bioprosthetic insufficiency caused by poorly positioned COR-KNOTs and outline technical strategies to ensure success.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의 개발(I) -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모형어구의 전개성능 - (Development for Fishing Gear and Method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Net(I) - Opening Efficiency of Model N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Lower Warp -)

  • 이주희;유제범;이춘우;권병국;김정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1호
    • /
    • pp.33-43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속예망에서 망고의 제어가 어렵다는 점, 망목에 뜸이 걸려서 파망이 자주 일어나는 점, 네트드럼에 감기는 어구부피가 너무 크다는 점 등의 해결방법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우리 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850ps급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선에서 현재 사용되는 실물망을 1/100로 축소 제작한 모형망에서 뜸을 모두 제거하고 끌줄을 양쪽으로 각각 두가닥으로 분리한 후 추를 부착하여 아래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제어할 수 있는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속에 대한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어구의 전개성능 등을 규명하고 기준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약 10∼20%정도 작았으며, 무부자망의 유체저항은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약 1ton씩 증가하였다. 또, 동일유속에서 dL이 10m씩 증가함에 따라 아래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은 약 5%씩 감소하고, 그 반면에 윗 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이 증가하였다. 2. 망고는 직선에 가까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망고감소율은 무부자망의 경우가 기준형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져 dL이 30m인 무부자망을 기준으로 3.0knot일 때 12%, 4.0knot일 때 25%로 나타났다. 3. 망폭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약 2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4. 망구면적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망구면적의 감소율은 기준형보다 무부자망이 더 작게 나타났다. 여과량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기준형이 3.0knot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무부자망은 4.0knot까지 증가하였다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dL의 최대적정길이는 망구면적 및 여과량이 최대인 30m일 때이며, 추의 최적위치는 4개의 그물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이었다.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의 뿌리혹선충 감염현황 및 종 동정 (Incidence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 in Plastic-House Fields of Central Area of Korea)

  • 고형래;김은화;김세종;이재국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48-354
    • /
    • 2017
  •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중부지방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지역별,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의 감염 현황을 조사하였다. 총 132개 시설재배지 중에서 65개 포장(49%)에 뿌리혹선충이 감염되어 있었으며, 평균밀도는 토양 $100cm^3$ 당 뿌리혹선충 2기 유충 178마리로 나타났다(최저 1-최고 3,947마리). 시군별 감염률은 춘천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천안, 논산, 부여와 예산은 각각 68%, 36%, 33%와 30%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작물별 뿌리혹선충 감염률은 토마토가 83%로 가장 높았으며, 오이(61%), 딸기(41%), 고추(30%), 수박(26%) 순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 시설재배지에서 검출된 뿌리혹선충 대표집단 15개체군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3종이 각각 47%, 20%와 33%의 비율로 나타났다. 작물별로는 토마토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 총 3종, 오이와 수박은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 총 2종, 딸기와 상추에서는 당근뿌리혹선충 총 1종이 각각 검출되었다. 따라서, 뿌리혹선충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작물별로 검출된 종을 고려한 방제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을 이용한 호박의 고구마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Coffee Ground Compost and Velvet bean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Pumpkin)

  • 김민정;심창기;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허창석;류영현;지형진;김석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5
    • /
    • 2016
  • 본 연구는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에 따른 고구마뿌리혹선충 살충효과를 평가하였다.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중, 1%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가 뿌리혹선충의 살충율이 8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내에서 호피무늬 벨벳콩 추출물 농도별로 처리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뿌리혹선충 유충의 치사율이 증가하였다. 호피무늬 벨벳콩 추출물 처리 24시간 후, 1.2%와 2.4% 농도에서 뿌리혹선충 유충의 치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커피박 퇴비와 벨벳콩 식물체 분말 처리가 호박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더니 20% 커피박 퇴비 처리구는 호박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호피무늬 벨벳콩 분말 처리구가 호박 유묘의 생육촉진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하지만 유기성 자원인 벨벳콩과 커피박 퇴비를 이용하여 유기농 호박 재배토양에서 발생하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리농도와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오이 뿌리혹선충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Plants to Meloidogyne incognita)

  • 황성민;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14
  • 연작 재배로 인하여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같은 식물 기생 선충에 의한 피해는 오이 재배 면적이 늘어나면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의 감소 피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으로 경종적 방제의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재배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저항성 육종 소재를 찾기 위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뿌리혹선충 M. incognita를 이용한 오이의 선충병 발생 정도를 접종원 농도, 오이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 등의 다양한 발병 조건에 따라 오이 4개 품종('드레곤삼척', 아시아스트라이크', '네박자', '하늘백다다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접종원의 접종 농도가 증가 할수록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지만, 오이의 생육 시기 및 이식 시기에 따른 오이의 뿌리혹선충병 발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오이 품종의 뿌리혹선충병 저항성 검정 조건으로 온실($25{\pm}5^{\circ}C$)에서 파종 후 21일간 재배하고, 이식한지 7일 후에 5,000개의 뿌리혹선충 알 접종으로 45일 이후에 병 조사를 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적정한 발병 조건에 따라 시판 중인 오이 45개 품종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목 6개 품종에서 난낭수 100개 이하의 뿌리혹선충병 발생 정도를 보였고, 특히 '유니온' 대목 품종은 중간 저항성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 실험한 모든 품종들은 유사한 정도의 높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이들 결과들을 바탕으로 M. incognita에 대한 오이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