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jellmaniella crassifoli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개다시마를 이용한 Pb 및 Cu 흡착 (Biosorption of Pb and Cu by Kjellmaniella crassifolia)

  • 안갑환;서근학;오창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53-658
    • /
    • 1998
  • Marine algaes are capable of binding a large quantity of heavy metals. We have investigated the uptake capacity of Pb and Cu by using 22 species of marine algae. collected from Korean coast. Among a variety of different marine algae types for biosorbent potential. Kjellmaniella crassifolia showed the highest uptake capacity of Pb. Metal uptake of Pb and Cu by Kjellmaniella crassifolia increase as the initial concentration rises, as long as binding sites are remained. The metal uptake parameters for Pb and Cu had been determined according to Langmuir and Freundlich model. By increasing pH, Pb uptake was increased and Cu uptake was constant. The maximum uptake capacity of Pb and Cu by Kjellmaniella crassifolia was 437 mg/g and 129 mg/g, respectively.

  • PDF

Laminaria japonica와 Kjellmaniella crassifolia를 이용한 Pb의 생체흡착 : 흡착속도 및 흡착평형 모델링 (Biosorption of Lead ions onto Laminaria japonica and Kjellmaniella crassifolia : Equilibrium and Kinetic Modelling)

  • 이창한;안갑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38-12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해안가에서 자생하는 두 종의 해조류(Laminaria japonica와 Kjellmaniella crassifolia)를 생체흡착제로 사용하여 용액중의 중금속(납) 제거 실험을 통해 생체흡착제의 납의 흡착속도와 흡착평형 특성을 연구하였다. 두 종의 해조류을 사용한 납의 생체흡착은 흡착초기 2시간 이내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흡착속도는 유사 2차 흡착속도식에 의해 거의 정확한 모사가 가능하였으며, 여기에서 산출된 속도상수, $k_{2,ad.}$는 각각 $0.883{\times}10^{-3}$$0.628{\times}10^{-3}\;g/mg/min$이었다. 흡착평형은 Langmuir, Redlich-Peterson 및 Koble-Corrigan (Langmuir-Freundlich) 모델식에 의해 잘 모사되었다. 또한, L. japonica와 K. crassifolia의 4가지 중금속에 대한 선택성은 Pb>Cd>Cr>Cu와 Pb>Cu>Cd>Cr순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사용된 L. japonica는 pH의 증가에 따라 납의 흡착량도 증가되었다.

Kjellmaniella crassifolia와 Mytilus coruscus 조미액을 첨가한 해조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weed Kimchi Containing Kjellmaniella crassifolia and Mytilus coruscus Seasoning)

  • 김기웅;배태진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63
    • /
    • 2017
  • 해조류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개다시마와 홍합을 주원료로 한 혼합조미액 2종(KMS, MKS)을 제조하여 해조김치를 담아 $4^{\circ}C$, 70일간 발효실험을 한 결과 SK-A군이 무기질 함량이 높고 수소이온농도 저하 및 산도 상승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염도는 70일째 이후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환원당 함량은 혼합조미액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 Leuconostoc sp. 균수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았고, 적숙기를 지나면서 증가하는 Lactobacillus sp.는 대조군이 저장 20일 째부터 증가하였다. 명도는 담근 초기에서 30일까지는 대조군이 높고, 황색도는 SK-B군이 20일부터 높아져 갈변 가능성이 높았다. 경도는 SK-A군이 담금 초기와 10일째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유리 아미노산 SK-A군이 Glutamic acid 함량이 전 기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단맛계 아미노산의 함량은 SK-A군이 발효 0일, 10일, 30일째 함량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수준을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는 SK-A가 가장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개다시마를 주원료 하고 홍합을 부원료로 하여 만든 조미액 KMS를 100g 첨가하여 담근 SK-A군이 해조류를 활용한 새로운 식품으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안 개다시마 Kjellmaniella crassifolia Miyabe (Phaeophyta)의 초기배양과 생장특성 연구 (Study of the Early Life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and Its Growth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영대;송홍인;김진희;홍정표;전창영;한형균;김수경;김동삼;김명래;진형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15-322
    • /
    • 2007
  • Kjellmaniella crassifalia Miyabe is one of the valuable seaweed crops cultured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Unfortunately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have adversely influenced its growth, prompting the need to develop techniques for species restoration. To obtatin biological information, the growth of the species was monitored for one year. The maximum blade length, $110{\pm}45cm$, was attained in July, and zoospores were released in Novemb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allowing juvenile sporophytes to grow to young blades consisted of $20{\mu}mol/m^2s\;at\;10^{\circ}C$ under which the blade length grew to $1,732.5{\pm}143.3{\mu}m$ in 42 days. Sporangial sori started to form in September, reaching 85% maturity in November and 89% maturity in December. Examining the growth of the species according to depth, the individuals growing at 5 meters grew the most, reaching a blade length of $75.9{\pm}18.9cm$ in August.

개다시마 Kiellmaniella crassifolia Miyabe (Phaeophyta)의 암.수배우체 분리 및 보존 (Separ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Miyabe (Phaeophyta))

  • 김진희;김영대;송홍인;공용근;이상범;진형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7-393
    • /
    • 2007
  • We examined the conditions for separating and preserving the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The highest percentage of zygote germination (85%) was on semi-solid medium composed of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20\;{\mu}mol/m^2/s$ after a 4-week culture. Zygote germination in PESI liquid medium was 93.5% at $20\;^{\circ}C$ and $20\;{\mu}mol/m^2/s$. The maximum zygote growth was $252{\pm}19.7\;{\mu}m$ on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40\;{\mu}mol/m^2/s$ after 5-week culture, and was $76.7{\pm}2.8\;{\mu}m$ in PESI liquid medium at $20\;^{\circ}C$ and $40\;{\mu}mol/m^2/s$. The respective numbers of separated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from germinated zygotes were 157 and 93 on 1.0% transfer gel agar and 14 and 28 in PESI liquid medium. The maximum growth of separated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was $575{\pm}28.3\;{\mu}m$ at $5\;^{\circ}C$ and $60\;{\mu}mol/m^2/s$ and $686{\pm}35.4\;{\mu}m$ at $20\;^{\circ}C$ and $20\;{\mu}mol/m^2/s$ in PESI liquid medium after 3 weeks, respectively. The highest percentage fertilized was $93.3{\pm}5.8%$ at $15\;^{\circ}C$ and $20\;{\mu}mol/m^2/s$ in PESI liquid medium. These results show that the best conditions for the separation and preservation of gametophytes (male and female) consisted of culturing on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20\;{\mu}mol/m^2/s$.

동해안 토속종 개다시마(Kjelimaniella crassifolia)와 이식종 다시마(Laminaria japonica)의 실내배양 연구 (Comparative Laboratory Culture Studies of the Native Kelp Kjellmaniella crassifolia and the Introduced Kelp Laminaria japonica in East Coast of Korea)

  • 김형근;박중구;김동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9-304
    • /
    • 2005
  • 이 연구는 동해 연안에서 토속종인 개다시마(K. crassifolia) 와 이식종인 다시마(L. japonica)의 실내 배양에서 온도와 조도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유주자 단계에서 수온 $15{\~}20^{\circ}C$도일 때 24시간 안에 $95\%$의 포자 발아가 이루어진 반면 개다시마는 48시간 안에 $90\%$를 보였다. 배우체의 성장은 $10^{\circ}C$$15^{\circ}C$도에서 생장이 좋았는데 이입종인 다시마는 $80{\~}l20{\mu}mol{\cdot}m^{-2}s^{-1}$ 고조도에서 최대를 보였고 토속종인 개다시마는 $40{\~}80{\mu}mol{\cdot}m^{-2}s^{-1}$ 낮은 조도에서 최적을 보였다. 아포체의 성장은 개다시마는 $10^{\circ}C$, $40{\mu}mol{\cdot}m^{-2}s^{-1}$ 조도에서 생장이 좋은 반면 다시마는 수온 $10{\~}20^{\circ}C$$40{\~}l20{\mu}mol{\cdot}m^{-2}s^{-1}$ 조도의 다양한 조건에서 생장이 좋게 나타났다. 개다시마의 배양 최적 조건은 이입종 다시마에 비해 수온과 조도의 범위로 볼 때 매우 협소하게 나타나 이는 개다시마가 깊은 곳에 서식하는 바다환경의 특성을 잘 반영해주고 있다.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 김병목;전준영;박영범;정인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97-1101
    • /
    • 2006
  • 본 실험에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갈조류로 재래종다시마, 괭생이모자반, 그리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곳에 식생하는 곰피와 구멍쇠미역, 녹조에 속하는 고리매,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해조이면서 홍조류에 속하는 김과 동해안 특산 홍조류이며 지역민들이 즐겨 먹고 있는 지누아리의 해조 7종이 사용되었다. 이 7종의 해조로부터 75% 메탄올로 상온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다시 메탄올에 용해하는 메탄올 가용성 분획(SF)과 메탄올에 녹지 않지만 물에 용해하는 극성이 강한 성질의 불용성 분획(ISF)으로 분리하여 각 분획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구멍쇠미역, 고리매, 괭생이모지반이 $26.60{\sim}23.40%$로 높았으며 재래종다시마와 김이 9.26%와 8.66%로 낮았다. 메탄올 불용성이며 수용성 분획은 재래종다시마와 김에서 29.70%와 21.01%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의 해조에서는 지누아리 8.76%, 곰피 6.46%, 고리매 4.87%, 구멍쇠미역 2.05%, 괭생이모자반 1.95%로 아주 낮았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평가와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이 높은 해조, 즉 구멍쇠미역과 괭생이모자반에서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평가결과는 총페놀 함량이 높은 것과 잘 일치하였다. 갈조류인 곰피는 전자공여능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hydroxy radical 소거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재용해하지 않는 메탄올 불용성 분획은 실험에 사용된 7종의 해조 모두에서 총페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과 hydroxy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조의 항산화효과는 메탄올에 용해하는 성분이 강한 항산화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효과는 페놀 화합물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사료된다.

강릉 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 해조자원 분포 (Algal Communities and Useful Seaweed Distribution at Gangnung and It's Vicinity in East Coast of Korea)

  • 손철현;최창근;김형근
    • ALGAE
    • /
    • 제22권1호
    • /
    • pp.45-52
    • /
    • 2007
  • An intertidal marine benthic algal veget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Kangnung and it’s vicinity,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clarify the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by quadrat method. Marine algae identified from the area were 116 species; 15 green, 31 brown and 70 red algae. The dominant species were Ulva pertusa, Codium fragile, Undaria pinnatifida, Dictyota dichotoma, Gelidium amansii, Corallina pilulifera, Carpopeltis affinis, Grateloupia filicina, Pachymeniopsis elliptica and Chondrus ocellatus at study sit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marine algae wa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zones. They were characterized by Porphyra tenera at the upper, Enteromorpha spp. and Ulva pertusa at the middle, and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siformis and Pachymeniopsis elliptica at the lower zones,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zone algae were characterized by Laminaria spp. at 15m depth and Kjellmaniella crassifolia at 15 to 25 m depths, whereas Agarum cribrosum was dominant at the lower zone than 25 m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