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Frame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34초

멀티미디어 검색을 위한 shot 경계 및 대표 프레임 추출 (Shot boundary Frame Detection and Key Frame Detection for Multimedia Retrieval)

  • 강대성;김영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8-4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DCT DC 계수를 추출하고 이들로 구성된 DC 이미지로부터 제안하는 robust feature를 이용하여 shot 검출을 수행한 후 각 feature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림의 특징에 따라 weight를 부가하여 구해진 characterizing value의 시간 변화량을 구한다. 추해진 변화량의 local maxima와 local minima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각각 가장 특징적인 frame과 평균적인 frame을 나타낸다. 이 순간의 shot을 구함으로서 효과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key frame을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key frame에 대하여 원영상을 복원한 후, 색인을 위하여 다수의 parameter를 구하고,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에 대해서 이들 파라메터를 구하여 key frame들과 가장 유사한 대표영상들을 검색한다. 실험결과 일반적인 방법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높은 검색율을 보였다.

  • PDF

MPEG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대표 프레임 추출 및 멀티미디어 검색 기법 (Key Frame Detection and Multimedia Retrieval on MPEG Video)

  • 김영호;강대성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297-30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 스트림을 분석하여 DCT DC 계수를 추출하고 이들로 구성된 DC 이미지로부터 제안하는 robust feature를 이용하여 shot을 구하고 각 feature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림의 특징에 따라 weight를 부가하여 구해진 characterizing value의 시간변화량을 구한다. 구해진 변화량의 local maxima와 local minima는 MPEG 비디오 스트림에서 각각 가장 특징적인 frame과 평균적인 frame을 나타낸다. 이 순간의 frame을 구함으로서 효과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key frame을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key frame에 대하여 원영상을 복원한 후, 색인을 위하여 다수의 parameter를 구하고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에 대해서 이들 파라메터를 구하여 key frame들과 가장 유사한 대표영상들을 검색한다.

  • PDF

샷 기여도와 왜곡률을 고려한 키 프레임 추출 알고리즘 (Key Frame Extraction using Shot Coverage and Distortion)

  • 이중용;문영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0권3호
    • /
    • pp.137-143
    • /
    • 2003
  • Key frame extrac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ile important research issues in video information retrieval. Although progress has been made in key frame extraction, the existing approaches do not evaluate the importance of extracted frame Quantitatively, and Dey are computationally expensive or ineffectiv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미해rithm for key frame extraction using shot coverage and distortion. The algorithm finds significant key frames from candidate key frames. When selecting the candidate frames, the coverage rate to the total frames from each frame is computed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frames in tile shot. The frames within 10$\%$ from the top are selected as the candidates. Then, by comfuting the distortion rate of the candidates against all frames, pick the frames which arc most representative are selec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verified by a statistical test. Experiments show that more than 13-50$\%$ improvement has been obtained by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MPEG 비디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검색 시스템 (Retrieval System Adopting Statistical Feature of MPEG Video)

  • 유영달;강대성;김대진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8권5호
    • /
    • pp.58-64
    • /
    • 2001
  • 현재 많은 정보들이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 또는 저장되고 있으며 고성능 PC의 보급과 internet과 같은 통신망의 대중화로 이런 비디오 데이터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비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위하여 비디오 스트립을 분석하여 shot을 찾아내고 이들 중 key frame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로서 사용자의 질의에 부합하는 비디오를 검색한다. 본 논문에서는 shot 경계 검출을 위해 객체의 움직임에 강인하면서 shot 내에서의 칼라의 변화에 둔감한 새로운 feature를 제안하고, shot frame에서 구한 각 feature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특징에 따라 weight를 부가하여 구해진 characterizing value의 시간 변화량을 구한다. 구해진 변화량의 local maxima와 local minima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각각 가장 특정적인 frame과 평균적인 frame을 나타낸다. 이 순간의 short frame을 구함으로서 효과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key frame을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key frame에 대하여 원 영상을 복원한 후, 색인을 위하여 다수의 parameter를 구하고,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에 대해서 이들 parameter를 구하여 key frame들과 가장 유사한 대표영상들을 검색한다. 실험결과 일반적인 방법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고, 높은 검색율을 보였다.

  • PDF

고속 key frame 추출 기법을 이용한 내용 기반 비디오 검색 기법 (Context-based Video Retrieval using Fast Key Frame Extraction)

  • 홍보현;엄민영;김명호;최윤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39-541
    • /
    • 2005
  • We propose efficient video retrieval scheme which use fast key frame extraction in DCT domain. Our scheme extract key frame using the edge histogram difference which is extracted in compressed domain for I-frames. And the video retrieval is implemented using Hausdorff distance function about edge histogram of key frame. This approach enables fast content-based video retrieval of the compressed video content without decompression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our scheme is very fast and efficient.

  • PDF

에지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압축영역에서 고속키 프레임 추출기법 (Fast Key Frame Extraction in the Compressed Domain using Edge Histogram)

  • 박준형;엄민영;김명호;최윤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36-538
    • /
    • 2005
  • As multimedia data and huge-Quantity video data having been increasingly and commonly used, the key frame algorithm, as one of the methods for manipulating these kinds of data, became an important matter and has been studied for many years. But the formerly proposed key frame extraction methods take much processing time or need complex calculations due to decoding proces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hich the former methods have and to enhance the key frame extraction efficiency, a novel key frame extraction method in compressed domain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this method we get an edge histogram for each I-frame in DCT domain and then extract the key frames by means of histogram difference metric.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achieves fast processing speed and high accuracy.

  • PDF

Key Frame Assignment for Compr essed Video Based on DC Image Activity

  • Kim, Kang-Wook;Lee, Jae-Seung;Kwon, Seong-Geu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109-1116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nd fast method for assigning the number of key frames to each shot. At first we segment the entire video sequence into elementary content unit called shots and then the key frame allocation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accumulated value of AF(activity funct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the amount of content variation using DC images extracted from compressed video. By assigning the number of key frames to the shot that has the largest value of content function, one key frame is assigned at a time until you run out of given all key frames. The main advantage of our proposed method is that we do not need to use time-exhaustive computations in allocating the key frames over the shot and can perform it fully automatically.

동영상의 유해성 판별을 위한 대표 프레임 선정 기법 (A Technique to Select Key-Frame for Identifying Harmful Video Images)

  • 김성균;박명철;하석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22-1828
    • /
    • 2006
  • 동영상에서 유해정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대표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선정 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대표프레임 선정 기법은 대부분이 장면전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법 은 연속된 변화특성을 가지는 유해 동영상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대표프레임으로 인해 전체적인 판별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판별시스템의 입력이 되는 대표프레임을 프레 임간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의 실험을 위해서 기존의 판별시스템에 제안된 기법으로 선정된 대표프레임을 투입한 경우에 90% 이상이 유해하다고 판별하여 입력의 적합성이 입증되었으며, 선정된 대표프레임의 수도 I-프레임 비 해 68%의 감소율을 보여 시간적 효율성도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본 기법은 효율적인 유해성 판별시스템을 가능하게 하여, 건전한 동영상 정보의 유통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대조적 학습을 활용한 주요 프레임 검출 방법 (Key Frame Detection Using Contrastive Learning)

  • 박경태;김원준;이용;장래영;최명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897-905
    • /
    • 2022
  • 비디오 영상 내 주요 프레임(Key Frame) 검출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최근 심층학습(Deep Learning) 기술의 발전으로 비디오 영상에서의 주요 프레임 검출 성능이 향상 되었으나, 다양한 종류의 영상 콘텐츠 및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여전히 효과적인 학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적 학습(Contrastive Learning)과 메모리 뱅크(Memory Bank)를 통해 영상의 주요 프레임을 검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프레임과 같은 영상 내 이웃하는 프레임 간 차이와 다른 영상 내 프레임과의 차이를 기반으로 특징 추출 신경망을 학습한다. 이와 같은 대조적 학습을 통해 메모리 뱅크에 주요 프레임을 저장 및 갱신하여 영상의 중복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비디오 영상 데이터셋에서의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반복 과정을 통한 율-제한 주요 화명 선택 기법 (Rate-Constrained Key Frame Selection Method using Iteration)

  • 이훈철;김성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4호
    • /
    • pp.388-398
    • /
    • 2002
  • 주요 화면은 보다 적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비디오가 갖는 시각적 내용물의 변화량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비디오 표현 방식은 대역폭이나 저장 용량이 제한된 상황에 적합하다. 이 경우 대역폭이나 저장 용량에 따라 주요 화면의 개수를 조절하는 능력은 주요 화면 선택 기법의 중요한 필요 사항 중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화면의 개수가 제한 조건일 때 순차적인 주요 화면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먼저 원하는 개수의 초기 주요 화면을 미리 선택하고 이들이 대표하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시구간을 정한 후 반복 과정을 통해 주요 화면의 위치와 시구간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왜곡 값이 최소가 되도록 주요 화면과 시구간을 찾는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선택하는 주요 화면들은 율-왜곡 관점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하고 인간의 시각 인지와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