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rnel Size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9초

SUS304합금의 마찰접합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riction Welding Properties on SUS304 Alloy)

  • 김영규;송국현;정준기;하태권
    • 소성∙가공
    • /
    • 제33권3호
    • /
    • pp.193-199
    • /
    • 2024
  • The friction welding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s, mainly used in energy and chemical plant industries due to 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strength, was evaluated in this study. Friction welding was introduced and conducted at a rotation speed of 2,000 RPM, friction pressure of 30 MPa, burn-off length of 5 mm and upset pressure of 110 ~ 200 MPa on rod typed specimens. The grain boundary characteristics distributions such a grain size, shape, misorientation angle and kernel average misorientation of the welds were clarified by electron backscattering diffraction method. The application of friction welding on SUS304 alloy resulted in a significant refinement of the grain size in the weld zone (5.11 mm) compared to that of the base material (48.09 mm).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lds, on the other hand,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 or similar to those of the base material, which were mainly caused by dislocation density in the initial material and grain refinement in the welds.

의사 샘플 신경망에서 학습 샘플 및 특징 선택 기법 (Training Sample and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Pseudo Sample Neural Networks)

  • 허경용;박충식;이창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26
    • /
    • 2013
  • 의사 샘플 신경망은 학습 샘플의 수가 적은 경우 학습된 신경망이 국부 최적해에 빠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샘플들로부터 의사 샘플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해공간을 평탄화 시킴으로써 학습된 신경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경망의 변형이다. 이는 학습 샘플의 양에 관한 문제로 이 논문에서는 이에 더해 학습 샘플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된 신경망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잡음이 적게 포함된 전형적인 학습 샘플들만이 주어지고 입력 특징 중 출력과 연관성이 높은 특징만을 사용함으로써 학습된 신경망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커널밀도 추정을 통해 비전형적인 학습샘플을 제거하고 입력값이 출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연관성 척도를 사용하여 연관성이 적은 특징을 제거함으로써 의사 샘플 신경망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제시한 방법의 유효성은 토석류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Classification of HDAC8 Inhibitors and Non-Inhibitor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 Cao, Guang Ping;Thangapandian, Sundarapandian;John, Shalini;Lee, Keun-Woo
    • Interdisciplinary Bio Central
    • /
    • 제4권1호
    • /
    • pp.2.1-2.7
    • /
    • 2012
  • Introduction: Histone deacetylases (HDAC) are a class of enzymes that remove acetyl groups from ${\varepsilon}$-N-acetyl lysine amino acids of histone proteins. Their action is opposite to that of histone acetyltransferase that adds acetyl groups to these lysines. Only few HDAC inhibitors are approved and used as anti-cancer therapeutics. Thus, discovery of new and potential HDAC inhibitors are necessary in the effective treatment of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to classify HDAC8 inhibitors and non-inhibitors in early-phase virtual compound filtering and screening. The 100 experimentally known HDAC8 inhibitors including 52 inhibitors and 48 non-inhibitors were used in this study. A set of molecular descriptors was calculated for all compounds in the dataset using ADRIANA. Code of Molecular Networks. Different kernel functions available from SVM Tools of free support vector machine software and training and test sets of varying size were used in model generation and validation. Results and Conclusion: The best model obtained using kernel functions has shown 75% of accuracy on test set prediction. The other models have also displayed good prediction over the test set comp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imple and effective filters in the drug discovery process.

고온가스로 핵연료 중간물질 제조와 분말특성 (Preparation of an Intermediate and Particle Characteristics for HTGR Nuclear Fuel)

  • 정경채;김연구;오승철;이영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4-131
    • /
    • 2007
  • In this study, first the ADU gel particle, an intermediate for final $UO_2$ kernel of a HTGR nuclear fuel, was prepared from sol-gel method using the broth solution which was made by mixing of the uranyl nitrate, poly vinyl alcohol and tetra-hydrofurfuryl alcohol. The prepared dried-ADU gel particles were converted to the $UO_2\;via\;UO_3$ from thermal treatment with the 4% $H_2$ atmosphere. The sizes of the spherical liquid droplets appeared $1900{\sim}2100{\mu}m$, and the harmony between the flow rate of the broth solution and the frequency and the amplitude of a vibrating system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spherical ADU gel particles via the mono size spherical droplets. From the XRD and FT-IR analyses, the prepared ADU gel particles were judged to be a $UO_3{\cdot}xNH_3{\cdot}yH_2O$ form,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during the thermal treatment of the dried-ADU gel particle must be avoided a rapidly heating rate in the range of $180{\sim}400^{\circ}C$, and the heating rate should be kept below $5^{\circ}C/min$.

제재목 화상입력시스템의 최적 화상병합 조건 구명 (Optimization of Image Merging Conditions for Lumber Scanning System)

  • 김광모;김병남;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498-506
    • /
    • 2010
  • 국산 침엽수재를 고부가가치의 구조부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준에 적합한 등급구분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김 등(2009a, b)의 연구에서는 목재의 생산 및 유통규모가 작은 국내 현실에서 제재목 등급구분의 자동화 및 기계화를 목적으로 화상처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화상처리시스템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화상입력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적 화상병합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산 낙엽송 $180{\time}120$ mm 부재의 화상을 병합하는 데 있어서 획득된 화상의 green채널 정보를 병합 에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병합정확성을 얻을 수 있었다. 입력된 화상의 전처리 과정으로 Y-derivative Sharr's kernel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화상병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카메라 보정에 의한 효과는 미미 하였다. 또한 화상병합을 위한 최적 템플릿 크기는 폭 30 pixel ${\time}$ 높이 150 pixel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조건을 적용하였을 때, 병합된 화상의 길이오차는 평균 3.1 mm, 연산시간은 평균 9.7초로 나타났다.

Minix3 마이크로커널 기반 디스크 캐쉬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Disk Cache Manager based on Minix3 Microkernel : Design and Implementation)

  • 최욱진;강용호;김선종;권혁숭;김주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21-427
    • /
    • 2013
  • 마이크로커널 기반의 기능성 서버인 디스크 캐쉬 관리자(DCM)은 공유 디스크의 입출력 성능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설계 및 구현되었다. DCM은 Misix3 마이크로커널의 멀티 쓰레드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 엑터간의 포트를 통하여 다른 서버들과 메시지 교환으로 정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DCM은 병렬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공유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Seven 디스크와 Sodd 디스크로 나누어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DCM은 특정 디스크의 사용 빈도에 따라 캐쉬 사이즈를 증감함으로써 이용율이 높은 디스크의 캐시 사이즈 확대하여 캐시 적중률을 높여주므로서 효과적인 성능을 향상할 수 있게 한다. 경험적 결과를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DCM은 높은 이용율을 갖는 공유 디스크에서 아주 효과적임을 보였다.

측정된 원통형 전리함 반응함수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보정 (The ionization chamber response function from the measured and the corrected by Monte Carlo simulation.)

  • 이병용;김미화;조병철;나상균;김종훈;최은경;장혜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7권1호
    • /
    • pp.9-17
    • /
    • 1996
  • 방사선 측정기로 사용되는 원통형 전리함의 위치별 반응 함수를 좁은 방사선장에서 측정하였다. 광자선 에너지 4MV, 6MV, 15MV, 전리함 내경 0.5cm~3.05cm 인 전리함들에 대하여 방사선면의 크기를 0.2$\times$20$\textrm{cm}^2$로 하여 물속 10cm 깊이에서 전리함 반응함수를 측정하였다. 좁은 방사선면의 선량분포 profile 을 EGS4(Electron Gamma Shower 4)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이 결과를 측정된 전리함의 반응 함수 값에서 되겹말림 (deconvolution) 기법으로 제거하여 순수하게 $\delta$함수 모양의 방사선장으로부터 측정된 반응함수로 보정하였다. 전리함 반응함수는 보정전에는 에너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EGS4 계산으로 얻어진 선량분포 프로파일 (profile)을 보정한 결과 전리함 반응 함수는 에너지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arameterized Modeling of Spatially Varying PSF for Lens Aberration and Defocus

  • Wang, Chao;Chen, Juan;Jia, Hongguang;Shi, Baosong;Zhu, Ruifei;Wei, Qun;Yu, Linyao;Ge, Mingda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2호
    • /
    • pp.136-143
    • /
    • 2015
  • Image deblurring by a deconvolution method requires accurate knowledge of the blur kernel. Existing point spread function (PSF) models in the literature corresponding to lens aberrations and defocus are either parameterized and spatially invariant or spatially varying but discretely defined. In this paper, a parameterized model is developed and presented for a PSF which is spatially varying due to lens aberrations and defocus in an imaging system. The model is established from the Seidel third-order aberration coefficient and the Hu moment. A skew normal Gauss model is selected for parameterized PSF geometry structure. The accuracy of the model is demonstrated with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for a defocused infrared camera and a single spherical lens digital camera. Compared with optical software Code V, the visual results of two optical systems validate our analysis and proposed method in size, shape and direction.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reveal the excellent accuracy of the blur kernel model.

도심 경관에 서식하는 관박쥐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ome Range and Habitat Use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in an Urban Landscape)

  • 전영신;김성철;한상훈;정철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665-67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range and habitat use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individuals that inhabit urban areas. The bats were tracked using GPS tags. For analysis of the home rage, Minimum Convex Polygon (MCP) and Kernel Home Range (KHR) methods were used. The landscape types of all positional information were analyzed using ArcGIS 9.3.1 (ESRI Inc.). The average home range of 16 R. ferrumequinum individuals was $68.63{\pm}25.23ha$, and the size of the overall home range for the females ($85.49{\pm}25.40ha$) was larger than that for the males ($51.76{\pm}8.30ha$). The highest average home range for the males was found in August ($61.21{\pm}0.01ha$), whereas that for the females was found in September ($112.27{\pm}5.94ha$). The size of 50% KHR ranged from a minimum of 13.26 ha to a maximum of 31.00 for the males and a minimum of 8.02 ha to a maxinum of 42.16 ha for the female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xes. In addition, males and females showed no differences in the size of 50% KHR in the monthly comparisons. However, the females showed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ir core area between periods before and after giving birth. The comparisons between 100% MCP and 50% KHR showed that the types of habitats used by R. ferrumequinum were mostly forest areas, including some farmlands. In addition, comparisons with a land cover map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broad-leaved forest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at of mixed forests.

라이다 자료의 필터링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ltering Technique of LiDAR Data)

  • 이정호;한수희;유기윤;변영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71-475
    • /
    • 2004
  • LiDAR의 표고점 데이터에서 건물, 수목 등과 같이 주위보다 높은 고도 값을 가지는 대상물을 제거하여 DEM을 생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필터링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으로는 분산을 이용한 linear prediction 기법, 주변 점들과의 경사관계를 이용한 slope-based 기법, morphology 필터, dual rank 필터 등이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커널(kernel)의 크기를 대상 지역에 맞도록 사용자가 직접 지정해주어야 하고, 건물의 크기가 다양한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변 크기(variable size)의 커널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커널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필터링을 수행하는 새로운 커널 연산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 필터링 기법에서는 커널에 의해 갱신된 연산값이 다음 연산에 반영되지 않으나 본 연구에서는 갱신된 값이 바로 다음 연산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건물과 수목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변 화소와의 높이 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물이 제거된 부분은 주변 화소를 이용하여 보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