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ryotypes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남부지방에 서식하는 송사리 Oryzias latipes (Temminck et Schlegel)의 핵형 (The Karyotype of a Riceash, Oryzias latipes from Southern Korea)

  • 김익수;문교정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9-386
    • /
    • 1987
  • Karyotype of the ricessh Orygias latipes (Temminck et Schlegel) was investigated using 151 specimens of eleven populations in the southern Korea. Based on the karyotype analysis, two distinct chromosomal groups were found. One group, occurring in the Kum River, the Mankyong River, the Dongjin River, the Ysngsan River and the SEmjin River had a diploid chromosome number of 46 and arm number of 70, which contained one pair of "large" metacentric chromosomes. The other group, occurring in the Tamjin River, the Hyongsan River andthe all four island populations observed had a diploid chromosome number of 48 and arm number of 68. These results showed that 0. latipes of 6 inland populations was identical with the Chinese population in diploid number, arm number and presence of "large" metacentric chromosome, while the present species of island populations ana populations of the Tamjn R. and Hyongsan R. was similar to the Japanese population in chromosome number and arm number. The karyotype variation in populations indicated that karyotypes will probably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studying zoogeography of this species.phy of this species.

  • PDF

한국산 조류의 핵형 VI. C-Banding방법에 의한 딱다구리의 두 종의 핵형분석 (Karyotype of Korean Birds VI. Karyological Anaiysis on Two Species of the Genus Dendrocopos by C-Banding Method)

  • 이혜영;이성근;유성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7-221
    • /
    • 1990
  • 한국산 Dendmcopos major hondoensis와 D. leucotos Ieucotos의 핵형을 일반염색과 C-banding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종의 염색체 수는2n=90-92이고, 완의 수는 AN= 92-96으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C-banding 결과 일부 염색체의 장완과 몇 쌍의 단부염색체는 말단에 구조적인 질염색 band가 있었다.

  • PDF

한국산 응애과 (거미속 : 진드기목) 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Spider Mites (Tetranychidae ; Acarina ) of Korea)

  • 이원구;이병훈;김영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권2호
    • /
    • pp.13-26
    • /
    • 1986
  • 다음과 같은 7종 응애과 (Family Tetranychidae ) 응애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징, 표피의 주름, 핵형들을 비교함으로써 분류학적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1985년 10월부터 1986년 6월 사이에 전북 전주에서 채집되고 사육된 것들이었다. Subfamily Bryobiinae 클러버등에 아과 :Bryobia praetiosa 클로버응애, Petrobia lantens 밀응애(신칭): Subfamily Tetranychinae 응애 아과, Panonychus citri 귤응애, P. ulmi 사과응애, Tetranychus vienensis 나무응애, T. urticae 점박이 응애. T.kanzawai 차응애(신칭), 그 중 밀응애와 차응애는 한국 미기록종이다.미기록종이다.

  • PDF

Monosomal Karyotypes among 1147 Chinese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Prevalence, Features and Prognostic Impact

  • Yang, Xiao-Fei;Sun, Ai-Ning;Yin, Jia;Cai, Cheng-Sen;Tian, Xiao-Peng;Qian, Jun;Chen, Su-Ning;Wu, De-P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421-5426
    • /
    • 2012
  • A monosomal karyotype (MK), defined as ${\geq}2$ autosomal monosomies or a single monosomy in the presence of additional structural abnormalities, was recently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conveying an extremely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acute myeloid leukemia (AML). In the present study, after excluding patients with t(15;17), t(8;21), inv(16) and normal karyotypes, 324 AML patients with cytogenetic abnormalities were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The incidences of MK were 13% in patients aged 15 to 60 years and 18% in those between 15 and 88 years old. MK was much more prevalent among elderly patients (p < 0.001)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7, -5, del(5q), abn12p, abn17p, -18 or 18q-, -20 or 20q- and CK (for all p < 0.001 except for abn12p p=0.009), and +8 or +8q was less frequent in MK+ AML(p=0.007). No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monosomal karyotype and FAB subtype (p > 0.05); MK remaine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overall survival among patients with complex karyotype (p=0.032); A single autosomal monosomy contributed an additional negative effect in OS of patients with structural cytogenetic abnormalities (P=0.008). This report presents the prevalence, feature and prognostic impact of MK among a large series of Chinese AML patients from a single center for the first time.

Angelica속 식물 7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Cytogenetic Analysis of Seven Angelica Species)

  • 최혜운;구달회;이우규;김수영;성정숙;성낙술;서영배;방재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8-121
    • /
    • 2005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당귀속 (Angelica) 식물 7종을 대상으로 핵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당귀속 식물들의 기본염색체 수는 x=11로, 체세포 염색체 수는 모든 종에서 2n = 2x = 22로 관찰되었다. 참당귀의 핵형은 K(2n) = 2x = 20m + 2sm, 일당귀의 핵형은 K(2n) = 2x = 12m + 10sm, 당당귀의 핵형은 K(2n) = 2x =16m + 6sm, 고본의 핵형은 K(2n) = 2x = 22m, 바디나물은 K(2n) = 2x = 18m + 4sm, 구릿대는 K(2n)= 2x = 10m + 10sm 2st, 왜친궁은 K(2n)= 2x = 22t로 각각 구분되었다. 염색체 크기는 $3.56\;{\mu}M-8.91\;{\mu}M$ 사이였다. 고본의 체세포 염색체는 모두 중부 염색체로, 왜천궁은 모두 차단부 염색체로만 관찰되어 다른 종들과 이질적인 핵형을 보였다. 한국에 본포하고 있는 당귀속 식물의 핵형과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핵형과 비교에서는 일부 다형현상이 관찰되었다.

한국산 나비나물속(콩과)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A cytotaxonomic study of Vicia L. (Fabaceae) in Korea)

  • 남보미;박명순;오병운;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5
    • /
    • 2012
  • 한국산 나비나물속(Vicia)에 속하는 10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수와 그 중 6분류군에 대한 핵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나비나물속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2, 14 또는 24로서, 기본 염색체수 x = 6 또는 7의 이배체와 사배체로 밝혀졌다. 한국특산식물인 나래완두(V. hirticalycina, 2n = 2x = 12)의 염색체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가는살갈퀴(V. angustifolia, 2n = 2x = 12), 등갈퀴나물(V. cracca, 2n = 4x = 24), 새완두(V. hirsuta, 2n = 2x = 14), 얼치기완두(V. tetrasperma, 2n = 2x = 14 + 2B), 벌완두(V. amurensis, 2n = 2x = 12), 노랑갈퀴(V. chosenensis, 2n = 2x = 12, 12 + 2B), 나비나물(V. unijuga, 2n = 4x = 24), 애기나비나물(V. unijuga f. minor, 2n = 4x = 24), 광릉갈퀴(V. venosa var. cuspidata, 2n = 4x = 24)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들과 일치하였다. 핵형분석 결과, 등갈퀴나물은 2 m + 8 sm+ 2 st, 벌완두는 2 m + 2 sm + 2st, 나래완두는 3 m + 1 sm+ 2 st, 나비나물과 애기나비나물은 4 m + 6 sm + 2 st, 광릉갈퀴는 4 m + 8 sm로 각각 조사되었다.

2배체 기수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와 3배체 담수산 재첩 C. fluminea의 핵형분석 및 번식 특성 (Karyotype and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the Diploid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and the Triploid Freshwater Marsh Clam, C. fluminea)

  • 최기호;정의영;곽오열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9
    • /
    • 2007
  • 우리나라 고성군 송지호의 기수역에서 채집된 2배체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과 춘천 의암호 담수에서 채집된 3 배체 재첩 (C. fluminea) 을 대상으로 핵형 및 번식특성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2배체인 일본재첩은 25 개 세포들에서 세포당 38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2 개가 19 쌍을 이루고 있다. 염색체는 11 쌍의 telocentric과 3 set의 subtelocentric 그리고 3 쌍의 submetacentric 그리고 1 쌍의 metacentric 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재첩은 난생이며 자웅이체로 내반새와 외반새를 갖는 두 쌍의 아가미를 가지나, 이들은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난들과 정자들은 기수역에서 체외수정을 한다. 3배체인 재첩은 세포당 54 개의 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이들의 핵형은 상동염색체 3 개가 18 set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 염색체 18 set는 1 개의 metacentric group과 5 개의 submetacentric group, 그리고 12 개의 subtelo 또는 telocentric group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재첩은 난태생이며 기능적 자웅동체이다. 3배체 조건은 자웅동체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재첩의 경우는 주로 보육낭으로 기능을 하는 내반새 (inner-demibranch) 를 갖는 2 쌍의 아가미를 가진다. 아가미의 내반새 구조에서는 임란기 중에는 완숙란들이 소모되고, 비임란기 중에는 완숙난들이 생식소의 자웅동체 소낭 내에서 생산되어 주기적 변화가 나타났다. 일본재첩과 재첩의 생식소발달 단계들은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초기활성기, 후기활성기, 완숙기, 부분산란기, 퇴화 및 비활성기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 PDF

융모막 융모생검 511례에 대한 임상적 연구: 10년(2000-2010년)간의 경험 (Ten-year Clinical Study of Chorionic Villus Sampling)

  • 김수현;심성한;백종우;차동현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35-43
    • /
    • 2011
  • 목적: 본원에서 최근 10년간 시행한 융모막 융모생검의 적응증에 따른 결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융모막 융모생검의 효용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최근 10년간 분당차병원 및 강남차병원에서 융모막 융모생검을 시행한 511례의 진료기록 및 검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각각의 환자에 해당되는 모든 적응증을 조사하고 중복을 허용하여 분석하였다. 태아 염색체 검사는 직접법과 배양법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각각의 적응증을 살펴보면 태아의 비후된 목덜미 두께를 포함한 비정상 초음파 소견이 294례(294/635, 46.3%)로 가장 높았다. 각각의 적응증에 따른 태아 염색체 이상의 양성예측도는 부모 중에 염색체 이상이 있는 경우가 66.7%(14/21)로 가장 높았다. 융모막 융모생검 상 모자이시즘은 3.1% (16/509)였고, 그 중에서 양수검사로 확인된 진모자이시즘은 2례, 태반에 국한된 모자이시즘은 11례였다. 융모막 융모생검 이후 4주 이내에 임신 종결된 경우는 6례로 태아손실률은 1.2% (6/511)였다. 결론: 융모막 융모생검은 산전 유전진단을 하는데 있어서 적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술이다. 융모막 융모생검 결과 모자이시즘을 보이는 경우 반드시 양수검사를 통하여 진모자이시즘인지 태반에 국한된 모자이시즘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비정상 산과력을 가진 부부에서의 균형전좌형 염색체 보인자의 빈도 및 그 보인자들에서의 산전 세포유전학적 진단 (Prevalence of Balanced Chromosomal Translocations in Couples with Abnormal Reproductive Outcomes and Prenatal Cytogenetic Diagnosis in the Carriers)

  • 박소연;강인수;류현미;전종영;이문희;김진미;최수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393-398
    • /
    • 1997
  • Cyt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in 1321 couples and 141 women with history of abnormal reproductive outcome during 1988-1996. The use of high resolution banding technique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in the chromosome analysis has made the precise evaluation of chromosome aberrations. The prevalence of balanced chromosomal translocation carriers were 3.74% (104/2783 patients). 70 cases (2.52%) were reciprocal translocation carriers and 34 (1.22%) had Robertsonian translocations. Chromosome aberrations were more frequent in women (73 cases) than in men (31 cases). No phenotypical abnormalities were found in all carriers, but they experienced abnormal reproductive outcomes such as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s, anomalous offsprings or infertility problem. Prenatal diagnosis was carried out on 36 subsequent pregnancies in balanced translocation carriers. The fetal karyotypes showed that 12 cases (33%) were normal, 22 (61%) were balanced translocations, and two (6%) were unbalanced transloc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prevalence of balanced chromosomal translocations in patients with abnormal reproductive outcome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population. Most of the fetal samples showed normal karyotypes or balanced translocations. Although the incidence of chromosomal imbalance in the fetuses was relatively low in prenatal diagnosis, individuals with balanced translocations are predisposed to abnormal offspring with partial trisomy or monosomy. Therefore we recommend that genetic counselling and cytogenetic prenatal diagnosis for translocation carriers have to be offered to prevent recurrent chromosomal abnormal babies.

  • PDF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와 쥐노래미 (H. otakii)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Cytogenetic Analysis of Spotty Belly Greenling (Hexagrammos agrammus) and Greenling (H. otakii))

  • 심미아;노재구;남윤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82-685
    • /
    • 2002
  •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유전적인 종 동정의 확립과 우량 품종 개발을 위한 유전 육종학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최근 양식 대상어로 대두되고 있는 두 어종을 대상으로 적혈구 세포와 핵의 크기, DNA 함량, 핵형 분석 등의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래미의 적혈구 세포의 크기는 장, 단축이 각각 $9.76{\pm}0.27{\mu}m^2$, $6.35{\pm}0.07{\mu}m$로, 쥐노래미의 $9.17{\pm}0.05{\mu}m$, $6.2424{\pm}0.04{\mu}m$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 표면적과 부피 역시 노래미가 $48.62{\pm}1.74{\mu}m^2$, $213.67{\pm}7.51{\mu}m^3$로 쥐노래미의 적혈구 세포 표면적 $44.85{\pm}0.44{\mu}m^2$, 부피 $187.57{\pm}2.45{\mu}m^3$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래미의 DNA 함량은 2.15$\pm$0.04pg, 쥐노래미는 2.10$\pm$0.03pg으로 핵의 크기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노래미와 쥐노래미의 염색체수는 48개로 동일한 핵형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NOR분석 결과 역시 두 종에서 1쌍의 acrocentric chromosome의 short arm에서 NOR이 확인되었다. 성별에 따른 염색체의 수적 차이나 hetero-morphic한 염색체, 그리고 개체간 염색체 다형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