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g Jeungsa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Described in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 KO Namsik;Jason GREENBERGER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33-56
    • /
    • 2023
  • Although English-language academic materials on Kang Jeungsan (강증산/姜甑山 1871-1909) are steadily increasing, the same cannot be said of Jo Jeongsan (조정산/道主 趙鼎山 1895-1958) who remains under-researched as figure of profound significance to the Korean new religion Daesoon Jinrihoe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Furthermore, in materials produced by Daesoon Jinrihoe that are later translated into English, the 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are often reduced to a few representative examples, when, in fact, many additional examples could be provided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Comprehending the basis for the first succession in the three-figure orthodox religious lineage of Daesoon Jinrihoe is crucial to task of properly differentiating Daesoon Jinrihoe from seemingly similar Korean new religions that enshrine Kang Jeungsan as their Supreme God. The research presented in this articl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Jeungsan and Jo Jeongsan Described in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will provide readers with a thorough overview of the basis for Jo Jeongsan's successorship in the orthodox religious lineage of Daesoon Jinrihoe, through an in-depth exploration of Chapter Two of Progress of the Order from Daesoon Jinrihoe's main scripture, The Canonical Scripture. Furthermore, this article will include special explanatory notes to ensure that it can be easily read even by non-specialists.

韓國大巡真理會《典經》之宗教醫療研究 (The Study of Religious Medical Treatment in the Canonical Scripture of Daesoon Jinrihoe in Korea)

  • 鍾雲鶯
    • 대순사상논총
    • /
    • 제39집
    • /
    • pp.249-274
    • /
    • 2021
  • 本文乃以韓國大巡真理會《典經》為主, 探討姜甑山的宗教醫療。姜甑山的醫療原理建立在「身心一體」的整體觀, 意即醫治疾病, 必先醫心, 也就是他所說的「大病之藥, 安心安身」。按摩是姜甑山經常運用的物理治療, 他運用按摩消除病患因氣鬱不順所導致腿部與腹部的諸多疾病 ; 而四物湯, 小柴胡湯, 木瓜, 生地黃是他常用的藥劑與藥材。道法醫療是姜氏宗教醫療的特色, 根據《典經》的記錄, 有正氣祛病, 驅除精怪, 代病與轉病, 更衣除病, 用藥於地等, 結合符咒, 藉以醫治百姓, 尤其用藥於地是他獨創的道法醫療方式。

Jo Jeongsan in Context: "Second Founders" in New Religious Movements

  • INTROVIGNE, Massimo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1권1호
    • /
    • pp.17-37
    • /
    • 2021
  • Scholars of new religious movements have emphasized the role of "second founders," such as Judge J.F. Rutherford for the Jehovah's Witnesses, Brigham Young for the Mormons, or Deguchi Onisaburo for Oomoto. They systematize and structure movements often created by the "first founders" with a minimal organization only. The paper argues that the model for the sequence first founder/second founder described by these scholar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Jesus and Paul of Tarsus at the origins of Christianity. It proposes a comparison between Jesus of Nazareth and Kang Jeungsan, who established the tradition leading to present-day Daesoon Jinrihoe. It then summarizes the biography of Jo Jeongsan, recognized by Daesoon Jinrihoe as its "second founder" within the same tradition, and discusses the analogies between his connection to the "first founder," Kang Jeungsan, and the connection Paul of Tarsus established with Jesus Christ. The paper considers recent scholarship about Paul, often described as the "New Perspective on Pauline Scholarship." Paul never personally met Jesus Christ, except after the latter's death through a spiritual revelation, just as Jo Jeongsan never met Kang Jeungsan, except after his death, when he manifested himself to him in spirit. Nonetheless, Paul was able to decisively shape the largest branch among the followers of Jesus Christ, just as Jo Jeongsan originated the lineage leading to Daesoon Jinrihoe, currently the largest religious order among those recognizing Kang Jeungsan as the incarnated Supreme God.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사상에 대한 이해 - 영화 <화평의 길>(1984)을 중심으로 - (An Interpretation of Jeungsan's Haewon(解冤) Thought in Film - Focusing on The Way of Peace (1984) -)

  • 안신
    • 대순사상논총
    • /
    • 제23권
    • /
    • pp.109-152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the artistic expression of religious thought in terms of the uniqueness of different images and crea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art is complicated but popular in modern society. Film becomes the icon of modern culture to enhance the knowledge of religious traditions. Among many Korean religious films, Kang Daejin's work, The Way of Peace (1984) contains the life and thought of Kang Jeungsan(1871-1909), the highest god of Daesoonjinrihoe. First, the film, The Way of Peace, pays attention to the legitimacy of succession from Kang Jeungsan to Cho Jeongsan(1895-1958). Korea was beset with trouble both at home and abroad. China, Japan, Russia, and the US had the colonial desire to conquer the lands of Korea and to explore natural resources. Though the people of Eastern Learning(東學) protested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ists, Jeungsan applied the principle of non-violence to the world. In order to save all the living beings of the world, he reordered the universe and renewed the harmonic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and their spirit. Second, The Way of Peace proposed the soteriology of peace and change to audience regardless of seekers(道人) or not. Jeungsan transformed the closed society to the open society, changed divided religions to the transcendent truth(道). He empowered the marginalized people such as women, the lowly, the elderly, and the sick, who were oppressed in the Confucian society. And he redeemed the people from the disease by healing all diseases and correcting disorders. In conclusion, The Way of Peace is a good resource of religious education by which we can overcome the religious illiteracy. The knowledge of new religious movements and Daesoonjinrihoe is necessary for u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human nature. In the near future, the new images of Jeungsan should be created through multi-media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new generation.

강증산의 '개벽'과 새로운 문명 ('Gaebyeok' and the New Civilization of Kang Jeungsan)

  • 허남진
    • 대순사상논총
    • /
    • 제32집
    • /
    • pp.109-136
    • /
    • 2019
  • 본 연구는 강증산의 개벽사상을 문명론적 관점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말 개화기 동아시아 문명권의 위축과 물질문명을 앞세운 서구 열강의 동점은 문명적 충격 속에서 새로운 문명전환을 촉발하는 동인으로 작용했다. 척사파와 개화파와 다르게 근대한국 개벽종교 역시 서구 근대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과 새로운 문명론을 제시하는 등 개벽파의 일정한 흐름으로 이어졌다. 특히 강증산은 차별과 억압에 저항하여 조화문명과 상생문명을 제시했으며, 이성 중심의 서구적 근대를 비판하면서 신인공공(神人公共) 문명을 제시했다. 증산은 서구 근대문명이 확산하는 과정에서 당시의 상하 귀천, 남녀차별, 정치부패, 지배층의 착취와 외세의 침략 등 사회 내외의 사회모순 속에서 신음하던 민중들에게 새 문명의 건설을 선언했다. 증산은 물질 중심주의와 인간소외 등을 비판하고 그러한 병폐들로부터 민중들을 구제하는 제생의세 실천으로 이어졌고 개벽을 주장했다. 이것은 묵은 하늘에 대한 청산을 통한 새 하늘 선언이며, 조화와 통합, 살림을 지향하는 새 문명을 건설하려는 노력의 표출이었다. 증산이 지향한 새로운 문명은 상생의 도에 의해 운행되는 사회이고, 인간이 신과 같은 존귀한 존재로 대접받는 인존의 시대로 집약된다. 증산이 구상한 새로운 문명은 동서양의 사상과 문명을 통합하는 조화문명((調和文明)이며, 신인공공(神人公共)의 문명이었다. 또한, 증산의 삶은 민중들의 삶을 구제해 주기 위한 제생의세(濟生醫世)의 삶이었다. 이후 무극도·태극도의 상생 운동 역시 증산이 지향한 문명 건설을 위한 노력이었다.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magination Applied to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As Observed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in Investiture of the Gods and of Kang Jeungsan in The Canonical Scripture)

  • 유수민
    • 대순사상논총
    • /
    • 제35집
    • /
    • pp.255-293
    • /
    • 2020
  •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 서사와 대순진리회 경전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을 서사적 상상력의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봉신연의』 문중서사에 고조선 신화의 뇌신(雷神) 이미지와 한국 선도 전통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있고, 그러한 문화적 맥락이 다시 『전경』 강증산 서사에서도 곳곳에 나타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표현된 '봉신(封神)'이라는 개념의 본질을 『전경』 강증산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解冤)' 사상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봉신연의』에서 문중이 속해 있는 '절교(截敎)'라는 집단이 가지는 이류(異類) 포용의 특성을 『전경』에서 강증산이 추구하는 '상생(相生)'의 가치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에는 은(殷)을 포함한 동이계 종족의 설화와 문화에 대한 '망탈리테(mentalité)'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해당 신격이 태생적으로 한국 고유의 선도(仙道) 전통 및 한국 도교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불교에서 본 대순사상 - 미륵사상과 삼교회통(조화)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oon Thought from Korean Buddhist Viewpoint: With Emphasis on Maitreya Thought and the Interpenetration(Unity) of the Three Teachings)

  • 이병욱
    • 대순사상논총
    • /
    • 제25_1집
    • /
    • pp.157-187
    • /
    • 2015
  • In this paper, I will study the common point between Korean buddhist thought and Daesoon thought. In 2 chapter, I will illuminate Kang Jeungsan to be familiar with buddhist culture. Daewonsa(大院寺) was the place Kang Jeungsan's to enlighten Path. Kang Jeungsan said Śākyamuni to the people to follow himself. And Kang Jeungsan burned Thousand-Hands Sutra(千手經) as one of Chenjigongsa(天地公事). In 3 chapter I study the unfolding of Korean Maitreya thought and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hree teachings. In 4 chapter I study the idea of Maitreya Buddha and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in Daesoon thought. Maitreya has the origin in India. Korea accepted this Maitreya via China. In Silla era, the people accepted Maitreya in relation to Hwarang(花郞). In Unified Silla era, Beopsang jong(法相宗) accepted Maitreya devotion positively and the typical person is Jinpyo(眞表). In Goryeo era, Beopsang jong devoted Maitreya, on the other hand Maitreya devotion changed the popular devotion. In Joseon era, Maitreya devotion changed the popular devotion more and more. In this background, Kang Jeungsan accepted the idea of Maitreya Buddha. And Kang Jeungsan insisted that he is the existence to give Heaven's decree to Choe Jeu(崔濟愚) of Donghak and to combine Jesus of Christianity.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hree teachings is one of the stream of Joseon era's buddhim. We can read this in Hamheo Deuktong(涵虛得通)'s Hyeonjeongron(顯正論) and Yuseokjiluiron (儒釋質疑論) to pretend Hamheo Deuktong and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s Samgagwigam(三家龜鑑). This interpenetration of the three teachings of Joseon era influenced Daesoon thought.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in Daesoon thought is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is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of Gwanwang(冠旺)'s standpoint, the second is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of Sungyo(仙敎) superior standpoint, the third is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of Jinmuk(震黙)'s anecdote. The interpenetration of the three teachings of Joseon era is connected with the unity of the three teachings of Jinmuk's anecdote. Thus Joseon era's buddhist thought and Daesoon thought have the common point in the idea of Maitreya Buddha and the interpenetration(unity) of the three teachings.

『전경(典經)』의 기사(記事)를 통해 살펴본 대순사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전경』 속 인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as Seen through the Articl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 박건우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105-138
    • /
    • 2023
  •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典經)을 중심으로 전경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대순사상적 의의와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경은 상제의 말씀에 대해서 그 신앙과 행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경의 말씀을 따른 종도의 기억을 통해 구성되었다. 즉, 전경은 상제의 종교적 행위와 가르침을 담고 있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으로 이해된다. 이는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 등 총 7편 17장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상제의 일생을 담은 행록과 교운 및 교법 그리고 예시 등에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적 인물이 행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편에서는 상제의 가르침과 신앙적 행위를 서술하며, 다양한 역사적 인물의 생애와 내용을 들면서, 대순사상의 요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소개가 각 편에서 나타남으로써, 전경의 말씀과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교적 대순사상의 종교적 가치와 연계하여 전경에 소개된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순사상의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전경』 속 인물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대순사상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증산 강일순의 사상에 있어서 해원(解冤) 개념 (The Concept on Grievance-resolution in the Thought of Jeungsan, Kang Il-sun)

  • 김탁
    • 대순사상논총
    • /
    • 제39집
    • /
    • pp.99-136
    • /
    • 2021
  • 해원은 화해와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다. 따라서 해원사상은 이상사회를 구현하고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규범이자 원리이며 이념이다. 이러한 해원사상을 종교적 교리로 승화시키고 체계화시킨 인물이 증산 강일순이다. 증산은 한국 고유의 정서를 대변하는 원한에 주목하고, 세계 파괴의 근거와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증산은 원한을 푸는 일인 해원이라는 개념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해원을 종교적으로 재해석하여 하나의 교리체계로 완성시킨 인물이다. 증산은 우주적 차원의 해원공사를 집행하여 종교적 구원을 시도한 인물이다. 증산은 해원사상을 통해 삼계(三界)에 가득 찬 원한들을 모조리 풀어 없애 이상사회를 지상에 세워 인류 구원을 완성시킬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원한의 구조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세계 파멸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파악하였고, 해원을 통해서만이 세계구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해원은 증산이 주장한 사상의 요체이자 핵심원리다. 그리고 해원사상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론이기도하다. 증산은 해원사상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체계화하여 자신의 종교적 행위인 천지공사의 원리로 제시함으로써 인류 구원의 방법론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증산은 자신이 살던 당대를 해원이 되어가는 시대라고 정의하였고, 인류 역사의 처음부터 원한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증산은 천상계, 인간계, 지하계 모두에 원한이 있다고 말했으며, 해원이 되기 위해서는 남 살리기와 은혜 갚기가 필요하며 인간의 온갖 욕망이 충족되어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증산은 지금 현재가 해원이 진행되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주장하고, 해원이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연대기(年代記)로 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전경(典經)』 구절의 양상과 의미 -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와 관련하여 - (The Meaning of Key Passag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at Chronologically Record the Life of Kang Jeungsan: In Comparison to Jeungsan Cheonsa Gongsagi)

  • 고남식
    • 대순사상논총
    • /
    • 제44집
    • /
    • pp.213-261
    • /
    • 2023
  • 이글은 강증산 생애 관련 『전경』(1974) 구절들에 맞춰, 이상호가 1926년에 편찬한 강증산에 대한 최초의 추보식 기록인 『증산천사공사기』(1926)에 수록된 연월일 표기와 그 내용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전경』의 각 편(編)별 기록을 연대기에 토대해서 볼 때 각 편들에 두 개의 큰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연대기적으로 기록된 편과 그렇지 않은 편이다. 행록, 공사, 교운, 권지 1장은 추보식 연대기 기록으로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교법은 전 편에서 연도가 있는 구절이 총 11개, 제생 편은 2개, 예시 편은 5개로 나타나 연대기적 기록으로 보기 어렵다. 『전경』의 내용은 목차별로 되어있다. 이를 연도별로 편찬된 『증산천사공사기』의 내용과 비교해보면 구절들의 대부분이 연도가 같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절 가운데는 같은 구절의 내용인데 서로 다른 연도로 되어 있는 것도 보인다. 새로운 시기의 구절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절에 한 편에는 없는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에서 같은 내용의 구절이 다르게 연월일이 기록된 것은 추가적으로 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면으로 그 정확한 시기를 찾는 고찰이 필요하다. 크게 보아 주제별로 되어있는 『전경』을 연도별로 정리해서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추보식 정리를 통해 각 편을 통합해서 좀 더 보충적으로 강증산의 행적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