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cept on Grievance-resolution in the Thought of Jeungsan, Kang Il-sun

증산 강일순의 사상에 있어서 해원(解冤) 개념

  • Kim, Tak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2.09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Grievance-resolution pursues reconciliation, mutual beneficence, and consolidation. Accordingly,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is a norm, a principle, as well as an ideology that aims to realize an ideal society and satisfy human desires. Such ideological thought transcended into religious doctrine and was systemized by Jeungsan, Kang Il-sun. He focused on grudges that represented the intrinsic sentiment of Korea and apprehended that grudges are the grounds and reason for the devastation of the world. Furthermore, Jeungsan was a figure who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via a religious perspective through an in-depth study which transformed into a doctrinal system. He practiced the Reordering Works of grievance-resolution on a universal dimension to religiously redeem all things. Jeungsan completely resolved all the grudges and grievances that filled up the Three Realms (Heaven, Earth, and Humanity) through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and emphasized that he would establish an ideal society on earth to complete the redemption of human beings. Jeungsan apprehended th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rudges and grievances were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estruction of the world. In this regard, he insisted that the redemption of the world should be achieved through the grievance-resolution. Grievance-resolution is an essential aspect and principle of Jeungsan's system of thought. In addition, it is a concrete approach to establish the earth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Jeungsan implemented a method to redeem humankind by systemizing the intrinsic sentiments common in Korea - namely, the concept of grievance-resolution- and he suggested it as a religious practice which was the principle behind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defined that his own era was a time of grievance-resolution. In addition, he insisted that grievances and grudges had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humankind. Jeungsan also said that there were grievances and grudges in heavenly planes, human planes, and underworldly planes. It was thereby necessary to do beneficial deeds for others and reciprocate beneficence in order to resolve grievances. He emphasized that a process wherein all human desires could be satisfied was essential. Furthermore, Jeungsan stressed that this present time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grievance-resolution on a practical level.

해원은 화해와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다. 따라서 해원사상은 이상사회를 구현하고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규범이자 원리이며 이념이다. 이러한 해원사상을 종교적 교리로 승화시키고 체계화시킨 인물이 증산 강일순이다. 증산은 한국 고유의 정서를 대변하는 원한에 주목하고, 세계 파괴의 근거와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증산은 원한을 푸는 일인 해원이라는 개념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해원을 종교적으로 재해석하여 하나의 교리체계로 완성시킨 인물이다. 증산은 우주적 차원의 해원공사를 집행하여 종교적 구원을 시도한 인물이다. 증산은 해원사상을 통해 삼계(三界)에 가득 찬 원한들을 모조리 풀어 없애 이상사회를 지상에 세워 인류 구원을 완성시킬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원한의 구조적이고 본질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세계 파멸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파악하였고, 해원을 통해서만이 세계구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해원은 증산이 주장한 사상의 요체이자 핵심원리다. 그리고 해원사상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론이기도하다. 증산은 해원사상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체계화하여 자신의 종교적 행위인 천지공사의 원리로 제시함으로써 인류 구원의 방법론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증산은 자신이 살던 당대를 해원이 되어가는 시대라고 정의하였고, 인류 역사의 처음부터 원한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증산은 천상계, 인간계, 지하계 모두에 원한이 있다고 말했으며, 해원이 되기 위해서는 남 살리기와 은혜 갚기가 필요하며 인간의 온갖 욕망이 충족되어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증산은 지금 현재가 해원이 진행되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주장하고, 해원이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7089074).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전경」 6판, 김제: 증산교회본부, 1965.
  3. 「설문해자(說文解字)」
  4. 고남식, 「해원으로 본 한반도와 남북화합」, 「접경지역 통일연구」 4-2, 2020.
  5. 김방룡, 「해원상생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6. 김승남, 「대순사상의 해원과 인존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7. 김열규, 「원한의식과 원령신앙」, 「증산사상연구」 5, 1979.
  8. 김진, 「한이란 무엇인가」, 「한의 학제적 연구」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4.
  9.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과정」, 「증산교학」, 서울: 미래향문화, 1992.
  10. 김탁, 「증산과 정산의 도수사상」,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235
  11.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서울: 집문당, 1981.
  12. 김홍철, 「해원상생 사상과 그 실현이념」,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13. 노길명,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2003.
  14. 노길명, 「세계화와 해원상생」,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15. 박광수, 「해원상생 사상의 보편윤리적 특성」,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16. 박승식, 「정책연구의 해원상생적 접근」,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2
  17. 박용철, 「전경에 나타난 원(冤)의 본질과 구조」,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12
  18. 박인규, 「대순사상의 구원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95
  19. 배규한, 「대순사상과 인류의 미래」, 「대순사상논총」 1, 1996.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6.1..013
  20. 신철균, 「해원상생 보은상생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1. 안병국, 「남원(男怨) 연구」, 민속학회 편, 「민간신앙」 서울: 교문사, 1989.
  22. 양무목, 「통일 기반 사상으로서의 해원상생」,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6
  23. 양무목, 「해원상생의 현대적 의의와 실현」,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4. 오문환, 「강증산의 해원상생의 의의와 한계」, 「정치사상연구」 4, 2001.
  25. 오인문, 「후천선경을 위한 해원상생 고찰」,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6. 유재갑, 「해원상생사상과 영구평화사상: 그 실천적 의의」,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7. 이경원, 「대순진리회의 해원이념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28. 이영금, 「무속 사상과 증산 사상의 상관성: 해원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8, 2014. http://uci.or.kr/G704-001496.2014..28.005
  29. 이욱, 「조선전기 원혼을 위한 제사의 변화와 그 의미」, 「종교문화연구」 3, 2001.
  30. 이응규, 「한국인 사원덕의 인경성신과 해원의 법의식 연구」, 서울: 태림출판사, 1987.
  31. 이은희.이경원, 「대순사상의 요순관」, 「대순사상논총」 31,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1.0.93
  32. 이항녕, 「해원상생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6
  33.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수정본, 서울: 민중서림, 1998.
  34. 정대진, 「해원상생의 이해」,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1
  35. 정대진, 「해원상생의 이해」,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36. 정재서, 「「태평경」의 성립 및 사상에 관한 시론」, 「인문과학논집」 59, 1991.
  37. 주잔옌, 「두 가지 해원사상 비교: 대순사상과 도교문헌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 「대순사상논총」 24-2,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4.2.1
  38. 주현철, 「원의 본질적 의미에 관한 연구: 고(苦) 의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3
  39.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의 해원결과 대순진리회의 해원상생 비교연구」, 「종교연구」 65, 2011. https://doi.org/10.21457/kars..65.201112.89
  40.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 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72, 2013. https://doi.org/10.21457/kars..72.201309.151
  41.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 승부 (承負)와 척(㥻)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75, 2015. https://doi.org/10.21457/kars.75.4.201512.117
  42. 천이두, 「한의 구조 연구」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3.
  43. 최동희, 「해원상생과 우리 일상언어」, 「대순진리학술논총」 4, 2009.
  44. 최준식, 「왕중양과 강증산의 삼교합일주의」, 「종교연구」 5, 1989.
  45. 최준식, 「증산의 가르침에 나타나는 혼합주의의 구조」, 「종교신학연구」 2,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