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kaoTalk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수용저항 요인 : 카카오페이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Users' Resistance to the Mobile Easy Payment Services :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Pay Users)

  • 김소담;;양성병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9-156
    • /
    • 2017
  •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technology-related field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are likely to swim against the recession. In this paradoxical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innovation through ICT is on the rise. For this reason, the appearance of Fintech is more meaningful as a new converged industry with the potential to lead financial innovation. The term of Fintech is derived from combining 'Fina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one of the most popular types of Fintech is mobile payment. KakaoPay, which is the first mobile easy payment service in Korea, is a much more simplified type of mobile payment service than ones used in the past, and is provided by the most popular mobile messenger service in Korea, KakaoTalk. However, KakaoPay has few active users in spite of its many advantages, which include convenience, simplicity, and a powerful platform.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f user resistance on KakaoPay. In order to investigate specific factors, a research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unified understanding of user resistance put forth by Laumer and Eckhardt (2012). After gathering online survey data from KakaoTalk users, an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 insights regarding user resistance factors in the Fintech sector, and by so doing,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user resistance could help the diffusion of new services when new mobile payment services appear in the near future.

프로젝트기반 학습과 웹 융합 의사소통 유형별 학습자 상호작용 (Project-based Learning and Learner Interaction by Web Convergency Communication Types)

  • 신명희;최도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상호 작용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했다. 학습자 상호 작용의 경우, 학습의 장(場), 즉 다양한 기술 환경 속에서의 학습자 의사소통 유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주 3시간 교양영어 수강생 80명을 대상으로 카카오 톡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을 통한 학습자 상호 작용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은 카카오 톡 활용 그룹과 LMS (학습 관리 시스템) 그룹 간에는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상호 작용, 2)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습자 학업 성취도 모두 카카오 토크 활용 그룹의 결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네이티브인 요즘 학생들에게 Kakao talk은 학습활동의 문제 해결 및 소통, 자료의 업로드 및 공유의 가장 좋은 환경이라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KakaoTalk Emoticon)

  • 이종윤;윤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1호
    • /
    • pp.361-390
    • /
    • 2018
  •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이모티콘에 담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보조, 색채, 형태, 모션)들과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 수단으로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모티콘의 스토리텔링적인 측면에서는 악어, 복숭아, 개, 오리, 사자, 두더지, 토끼들로 평범한 과일과 동물들로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은 각자 개성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스토리가 구성되었으며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어 이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가고 사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보조요소(불꽃, 땀, 눈물, 콧물, 성난 눈 등)를 사용하여 화남, 간절함, 초조함, 애원,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였다. 색채요소는 희, 노, 애, 락의 감정에 관계없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채(초록, 빨강, 노랑, 분홍, 하양, 검정, 밤색 등)로 대부분의 난색 계열로 구성되었다. 형태 요소는 기쁨, 슬픔 등의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 둥근형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FRODO, NEO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션요소로는 APPEACH, NEO, TUBE, JAY-G의 슬픔, 분노, 애원의 감정 표현에는 수평/수직/사선으로 표현하고 APEACH, TUBE, MUZI & CON등의 기쁨, 슬픔의 감정 표현은 수평/수직/사선과 방사/앞뒤/회전의 역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TUBE, FRODO의 분노는 수평/수직/사선과 방사 모션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감정을 차별화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각 이모티콘 캐릭터에 맞게 구성하였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조요소 불꽃, 땀, 눈물과 같은 감정의 대표적인 요소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색채 요소는 감정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난색 계열의 캐릭터 고유색을 사용하였다. 형태 요소는 각 감정 표현을 위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 감성디자인 측면,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보조요소에 대한 기호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두고자 한다.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동기 연구 -이용량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KakaoStory Usage Motives and Usage Patterns -Focusing on the Decisive Factor for Using Kakaostory)

  • 이지영;신재권;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79-387
    • /
    • 2015
  • 지난 몇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모바일 환경이 구축되고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오프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사회적 관계가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SNS 이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카카오스토리의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은 자신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동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은 유행성-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스토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는 현상-때문에 카카오스토리를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의 집단주의적 성격이 소셜미디어 이용에도 반영되어 카카오스토리 이용을 증가시켰다는 해석도 가능하게 한다.

문자기반 매체에서 느끼는 사회적 현존감: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사례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Text-Based Media: Mobile Communication Case)

  • 이해경;이혜정;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64-174
    • /
    • 2013
  •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와 같은 문자기반 매체의 활용도가 증가하여 대인간의 주요 의사소통 매체로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기반 매체들에서 사회적 현존감이 서로 다르게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 매체별로 인지되는 사회적 현존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체가 사회적 현존감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매체별로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순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인식되고 있었고, 각 매체별 사회적 현존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사회성이 높고, 20대 이하이며, 학생일수록 다른 그룹들보다 사회적 현존감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현존감이 실제 사용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찾아낸 본 연구에 후속으로는 어떠한 매체적 특성이 사회적 현존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메시지 속성별 이용자 반응이 치과의료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of user reactions by mobile message type)

  • 임애정;한수연;임희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91
    • /
    • 2019
  • Objectives: It helps dental clinic to work 1:1 consulting and select the properties of the Kakao Talk message. The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user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by message attribute that affect intention of use of dental clinic. Methods: This study targeted 297 peple Kakao Talk users aged 20-50 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from, February 6 to April 7, 2017. We analyzed the data with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ver 24.0(SPSS Inc, Chicago, USA). The significance level for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s: Among the user's responses about the event type Kakao talk message, the ease(${\beta}=0.121$, p<0.01), usefulness(${\beta}=0.148$, p<0.001), affinity(${\beta}=0.471$, p<0.001), satisfaction(${\beta}=0.249$, p<0.001). affected intention of use of dental clinic. Among the user's responses about the dental information type, the ease(${\beta}=0.150$, p<0.05), expertise(${\beta}=0.151$, p<0.05), satisfaction(${\beta}=0.237$, p<0.001) affected intention of use of dental clinic(p<0.05). Among the user's responses about the general public relations type, the expertise(${\beta}=0.254$), affinity(${\beta}=0.193$), satisfaction(${\beta}=0.474$) affected intention of use of dental clinic(p<0.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licit a positive intention of use of dental clinic through a highly emotional response from the users to improve the image of the dental clinic and to attract patients.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캐릭터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Mobile Messenger Emoticons - Focus on Line Messenger -)

  • 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1-158
    • /
    • 2020
  • 모바일을 활용한 SNS는 소통을 위한 필수 요소이고 수단이자 현대인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비대면 소통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은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모티콘을 선택하였고, 꾸준히 그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체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에게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그들의 취향까지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주)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주) 네이버가 내놓은 라인(Line)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를 이용과 다양한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양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이모티콘이 문화콘텐츠로서의 발전 방향과 지향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스마트폰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의 결정요인 연구 : 기술적, 쾌락적, 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Examining Determinants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Use Based on Smartphones : Focusing on Technical, Hedon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 최수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9권4호
    • /
    • pp.75-95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smartph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s(SNS) use. That is, the study explores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martphone-based SNS. People who have been using online-based SNS such as Cyworld and Facebook for years are now using mobile-based SNS such as KakaoStory. Under the situation. the study attempts to draw key determinants of smartphone-based SNS use from the studies of TAM, hedonic information systems, and social perspectives. To test the hypotheses, we conducted partial least squares (PLS) analysis using a total of 233 data collected on the users of smartphone-based SNS including KakaoTalk and KakaoStor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it is verified that both ease of use and usefulness, two main factors in TAM, had positive effects on smartphone-based SNS use. Second, for enjoyment and escapism considered as the two main factors of hedonic IS characteristics, only the effect of enjoyment on SNS use was significant. Finally, social ties as a factor of social characteristic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based SNS use. The result implies that smartphone-based SNS can be one of the major means of maintaining existing social ties.

모바일을 활용한 대학 수업 연구 (A Study of Undergraduate Classes Using Mobile Devices)

  • 음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05-306
    • /
    • 2014
  •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이 교육환경을 바꾸고 있는 현실에 착안하여 대학 수업에 필요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기기인 스마트폰은 휴대성과 신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노트북이 갖는 불편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렇기에 스마트폰은 교육적 활용도가 높다. 먼저 교수는 수업 전에 학생들이 카카오톡을 가입해서 활동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단체 카톡방, 조별 카톡방을 운영해서 공지사항을 올리고 학생들과 소통해야 한다. 때로는 개별 카톡방을 운용하면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상담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조별 카톡방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이는 학생들이 조별 카톡방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 PDF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적용한 SNS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Continued Inten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by Applying Privacy Calculus Model: Facebook and KakaoTalk Cases)

  • 민진영;김병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05-122
    • /
    • 2013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되면서 사용자들은 더욱 더 다양하고 많은 개인정보를 SNS에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보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사례 또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지속 사용 의도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들의 SNS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이러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자체를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SNS 지속 사용 의도를 적절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줄이려는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을 증가시키는 시각의 접근법이 같이 수반되어야만 한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이론적 틀로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이득으로 네트워크 형성지원과 네트워크 외부성을 제안하고 여기에 덧붙여 SNS 제공업체에 대한 신뢰의 역할을 살펴보는 연구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150명의 페이스북 사용자와 150명의 카카오톡 사용자를 대상으로 횡단 설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 제공업체에 사용자가 가지는 신뢰는 네트워크 외부성과 지속 사용 의도 관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지속 사용 의도 관계, 이 두 가지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네트워크 형성 지원은 페이스북 사용자의 지속 사용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카카오톡 사용자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