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SPI Companie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7초

부동산보유비중의 기업가치 관련성 :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의 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Holdings and Firm's Value : Comparisons between KOSPI and KOSDAQ Companies)

  • 이찬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의 부동산보유비중이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코스피시장기업과 코스닥시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금융위기 기간(2007~2008년), 금융위기 직후기간(2009~2011년), IFRS 도입 이후 기간(2012~2016년)이며, 코스피 2761개 기업연도, 코스닥 3719개 기업연도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기업의 부동산보유비중이 높을수록 기업가치는 음(-)의 관련성을 갖고 있었고, 이를 각 시장별로 비교해 보면 금융위기 기간 중에는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금융위기 직후에는 코스닥기업이 코스피기업에 비해 기업가치에 더 큰 음(-)의 영향을 미쳤으나 IFRS도입 이후 최근까지는 코스피기업이 코스닥기업에 비해 기업가치에 더 큰 음(-)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각 기업은 그 기업에서의 적정한 부동산보유비중 정도를 파악하는데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고 각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의 최유효활용방안에 대한 분석과 결정을 끊임없이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부동산보유비중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대하여 기간을 3개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간에 대하여 코스피시장 기업과 코스닥시장기업에 따른 그 영향정도를 각각 비교한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향후 기업의 부동산보유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함하는 연구를 희망한다.

포트폴리오 방식을 이용한 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Cooperate Performance Analysis Using Portfolio Approaches)

  • 김정인;박대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1호
    • /
    • pp.51-81
    • /
    • 2008
  • 본 논문은 포트폴리오 분석 연구를 통하여 금융기관이 지속가능 경영을 추진하고 있는 환경 친화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 분석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환경관련 펀드의 성과와 일반 펀드 성과를 비교하였다. 2004년 9월부터 2005년 9월까지 1년간 주식가치를 평가한 결과, 기업 가치 변화의 벤치마크지수인 KOSPI와 KOSPI200보다 수익률은 약 12~17%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고, 리스크의 경우에도 동등하게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였다. 산업별 지수와 비교에서도 의약품산업을 제외하고 금융 화학 전자 산업보다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그 외의 산업과는 자료의 어려움으로 비교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에 입각한 금융기관의 성과 평가 활동은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미래에는 기업의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EA-마코위츠 결합 모형을 이용한 건설업종 투자 전략 (An Investment Strategy for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DEA-Markowitz's Model)

  • 유재필;신현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99-9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KOSPI와 KOSDAQ에 상장된 건설 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한국거래소(KRX)에서 구분하는 건설 업종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기업효율성 분석을 실시하고 효율성이 우수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마코위츠 모형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포트폴리오 구성 방안의 성능 실험을 위해 KOSPI와 KOSDAQ에 상장된 53개의 기업의 주식을 대상으로 5년 (2007~2011) 동안 매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고 각각의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경영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고 구성한 포트폴리오 및 벤치마크 수익률과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거시경제적사건과 기업의 투자부동산 보유간의 관련성 분석 -금융위기에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lations of Macroeconomic Events and Investment Real Estate Holdings of Corporate -Including comparisons of KOSPI and KOSDAQ Listed Companies in Financial Crisis-)

  • 이찬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113-12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 중 업무용부동산과 투자부동산의 보유비중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 부동산의 보유비중이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코스피기업의 경우 투자부동산은 개략적으로 증가하고 업무용부동산은 개략적으로 감소하였다. 코스닥 기업의 경우 금융위기 중의 투자부동산을 제외하고 코스피기업과 유사하였다. 평균차이분석을 이용하여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을 비교해보면, 금융위기 직전에는 코스피기업의 보유부동산비중이 코스닥기업의 보유부동산비중 보다 투자와 업무용 모두 낮았으나, 금융위기 중 구간에는 코스피기업의 업무용부동산비중이 코스닥기업의 업무용부동산비중 보다 높아졌으며, 금융위기 직후 구간과 최근 구간까지는 코스피기업의 투자부동산비중이 코스닥기업의 투자부동산비중 보다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금융위기 전후의 업무용부동산과 투자부동산의 변화 현상을 파악하는 목적이며,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파악을 향후연구과제로 남긴다.

KOSPI200 선물 유지증거금률에 대한 실증연구 (Analysis of the maintenance margin level in the KOSPI200 futures market)

  • 김준;김영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85-95
    • /
    • 2005
  • The margin level in the futures market platys an important role in balancing the default probability with the investor's opportunity cos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ether the movement of KOSPI200 futures daily prices can be modeled with the extreme value theory.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argin level set by the extreme value theory. Moreover, we propose an expected profit-maximization model for securities companies. In this model, the extreme value theory is used for cost estimation, and a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revenue calculation. Computational results are presented to compare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with the empirical distribution of margin violation in KOSPI200 an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expected profit-maximization model.

  • PDF

Analyzing empirical performance of correlation based feature selection with company credit rank score dataset - Emphasis on KOSPI manufacturing companies -

  • Nam, Youn Chang;Lee, Kun Ch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3-71
    • /
    • 2016
  • This paper is about applying efficient data mining method which improves the score calculation and proper building performance of credit ranking score system. The main idea of this data mining technique is accomplishing such objectives by applying Correlation based Feature Selection which could also be used to verify the properness of existing rank scores quickly. This study selected 2047 manufacturing companies on KOSPI market during the period of 2009 to 2013, which have their own credit rank scores given by NICE information service agency. Regarding the relevant financial variables, total 80 variables were collected from KIS-Value and DART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If correlation based feature selection could select more important variables, then required information and cost would be reduced significantly. Through analysis,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correlation 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 improves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process of credit rank system so that the accuracy and credibility would be increased while the cost for building system would be decreased.

패션산업의 경기변동은 뉴스의 영향을 받는가? -섬유의복 KOSPI와 미디어 의제의 ARIMAX 시계열 상관관계 분석- (Are Business Cycles in the Fashion Industry Affected by the News? -An ARIMAX Time Seri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KOSPI Index for Textile & Wearing Apparel and Media Agendas-)

  • 김효정;박민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79-803
    • /
    • 2023
  • The growth of digital news media and the stock price index has resulted in economic fluctuations in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fashion industry news and macroeconomic changes on the Textile & Wearing Apparel KOSPI over the past five years. An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exogenous time series model was conducted using the fashion industry stock market index, the news topic index, and macro-economic indicators. The results indicated the topics of "Cosmetic business expansion" and "Digital innovation" impacted the Textile & Wearing Apparel KOSPI after one week, and the topics of "Pop-up store," "Entry into the Chinese fashion market," and "Fashion week and trade show" affected it after two weeks. Moreover, the topics of "Cosmetic business expansion" and "Entry into the Chinese fashion marke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Regarding the effect relation of Textile & Wearing Apparel KOSPI, "Cosmetic business expansion," "Entry into the Chinese fashion market," and consumer price fluctuation showed negative effects, while the private consumption change rate, producer price fluctuation, and unemployment change rate had positive effect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media framing on fashion industry business cycles and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managing stock market risk for fashion companies.

KOSPI 상장기업의 업종별 BSC 도입효과 분석 : 주요재무 비율 및 투자규모 중심으로 (Analysis of BSC Adoption Effect by KOSPI listed Companies : Focus on Major Financial Ratios and Investment Scale)

  • 김주은
    • 경영과학
    • /
    • 제34권3호
    • /
    • pp.15-4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SCs of 642 firms excluding the financial and insurance companies listed on KOSPI. The analysis of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major financial ratios between BSC and non-BSC firms is compared with the input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business growth. We will promote the spread of BSC and examine the areas differentiated performance improvement. The analytical categories are manufacturing, service, wholesale and retail,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which are 2,136 business years out of 2,378 final analytical samp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four industries analyzed, the industries tha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ere manufacturing. In the case of service industry, growth and activity were lower than those of non-adoption (NA) companies, but the operating marg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anufacturing. However, market value was higher than that of NA companies, and R&D expenditures and advertising expe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A firm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fitability between the BSC and NA firms, but the market value was very significant. EPS is 5.22 times, BPS is 5.64 times, PBR is 1.3 times, and EVA is 35 times higher. In addition, R&D expenditure and advertising expenditure a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ose of NA. In the case of the service industr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performance from the NA firms. Activity indicators, BSC introduced companies are three times lower than both the total assets turnover and the capital turnover rate. The operating profit margin was high at 45.8% for introduced companies and 37.2% for non-introduced companies. In market value analysis, only BPS was 1.68 times higher. On the other hand, investment in welfare expenses is 0.2% of total assets,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NA firms. However,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and advertising expenses are 2.1% and 1.02% of total assets, respectively, but they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NA firms. Unlike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wholesale and retail tra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A firms in terms of sales growth and total assets growth rate. In terms of market value, EPS and BPS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the benefits, R&D expenditures, and advertising expenses were lower than those of NA firm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showed lower level of performance than the NA firms in all indicators except cash liquidity, BPS, and EVA.

기업의 경영전략이 회계감사 지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usiness Strategy on Audit Delay)

  • 김정훈;김민희;도기철;이유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9-228
    • /
    • 2022
  • 감사품질의 제고를 위해 감사인과 경영자 간 의견불일치 발생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며, 본 연구는 회계적 관점이 아닌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감사위험과 회계감사 지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기업의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표본 2,910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형 기업에 비해 선도형 기업은 신제품, 연구개발비용, 무형자산 등에 대한 감사절차를 확대시킬 수 있고, 경영자와 감사인 간에 의견불일치로 인해 감사지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SPI 상장 기업에 비해 KOSDAQ 내 선도형 기업은 재무보고품질이 낮아 감사지연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경영전략이 감사인과 회사 간의 의견불일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주식시장 별로 감사시차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사위험이 높은 선도형 기업에 대해 감사인의 강한 주의의무가 필요함을 보여주며, 아울러 선도형의 정의를 통해 선도형 기업에 대한 강화된 감사제도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정책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향후 선도형 기업을 구성하는 비재무적 요소와 감사위험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될 것을 기대한다.

하이브리드 ANP와 DEA 모델을 이용한 상장 디스플레이 기업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Listed Display Companies Using a Hybrid AHP and DEA Model)

  • 서광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95-302
    • /
    • 2012
  • 디스플레이 산업은 전체 한국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업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과 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 효율성의 분석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 경험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ANP와 DEA 모델을 이용한 상장 디스플레이 기업의 효율성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말 KOSPI에 상장된 7개와 KOSDAQ에 상장된 37개로 구성된 44개의 상장 디스플레이 기업을 대상으로 하이브리드 ANP와 DEA 모델을 이용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DEA에서 가장 중요한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결정하기 위하여 ANP 모델을 적용하여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비효율성을 갖는 그룹으로 분류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효율성을 갖는 벤치마킹 기업들과 이들 그룹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개선해야 할 효율성 수치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