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2

검색결과 668건 처리시간 0.033초

KOMPSAT-2 영상과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3차원 해안선 매핑 (Mapping 3D Shorelines Using KOMPSAT-2 Imagery and Airborne LiDAR Data)

  • 정윤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0
    • /
    • 2015
  • 해안선 매핑은 해안지역의 묘사, 해안침식의 예측 및 해안지역 자원관리를 위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 자료 및 KOMPSAT-2 영상을 이용하여 울진지역의 해안선을 매핑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DSM(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KOMPSAT-2영상을 이용하여 NDWI(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생성한 뒤, 영상분류방법을 적용하여 NDWI 영상으로부터 물 클러스터와 육지 클러스터를 분할하였다. 분할된 두 클러스터들의 경계선을 추출하여, 2차원 해안선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DSM으로부터 획득한 고도 정보를 2차원 해안선에 입력하여 3차원 해안선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3차원 해안선은 0.90m의 수평정확도 및 0.10m의 수직정확도를 가지고 있었다. 정확도 분석을 통하여, 구축된 3차원 해안선은 육지와 물 클러스터가 선명하게 분류된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으나, 육지와 물 클러스터가 선명하게 분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KOMPSAT 광학영상을 이용한 광범위지역의 도시개발 변화탐지 (Change Detection of Urban Development over Large Area using KOMPSAT Optical Imagery)

  • 한유경;김태헌;한수희;송정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3호
    • /
    • pp.1223-1232
    • /
    • 2017
  • 본 연구는 KOMPSAT 광학영상을 이용하여 광범위지역에 대한 도시개발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다른 시기에 취득된 KOMPSAT 영상 간의 방사적인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지역에 대한 변화탐지에 적합한 영역별 간이 방사보정을 전처리과정으로 적용하였다. 도시개발에 대한 변화탐지 결과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수계, 산림과 같은 비관심지역을 제거하였다. 대표적인 변화탐지 기법인 분광변화벡터분석(Change Vector Analysis, CVA) 기법을 적용하여 도시개발에 의해 발생한 변화를 탐지하였다. 제안 기법에 대한 적용을 위해 세종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07년 5월과 2016년 5월에 KOMPSAT-2호로 취득한 영상과 2014년 3월에 KOMPSAT-3호로 취득한 영상을 조합하여 총 세 실험지역을 구축하였다. 2007년 5월 KOMPSAT-2호 영상과 2014년 3월 KOMPSAT-3호 영상으로 구성된 실험지역에 대한 변화탐지 정확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약 91.00%의 변화탐지 전체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넓은 지역에 대량으로 발생한 도시개발 변화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중음향과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초지 분포 추정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System and Kompsat-2 Image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eagrass Beds)

  • 김근용;엄진아;최종국;유주형;김광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81-188
    • /
    • 2012
  • 해초지의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안에 분포하는 해초지 규모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다. 장흥군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를 대상으로 수중음향측심기와 고해상도 Kompsat-2($4{\times}4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식생유무를 탐지하고 분포크기를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분석의 정확도는 음향측심기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과 이를 비교하여 검증되었다.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계산된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 면적은 약 $3.9km^2$로 수중음향 탐사를 통해 구해진 $4.5km^2$ 보다 과소평가 되었다. Kompsat-2 위성영상을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으로 해초 식생을 분석한 결과는 수중음향 결과 값에 대해 90%의 정확도를 보였는데, 이와 같이 높은 정확도는 Kappa 지수(0.85)로도 확인되었다. 또한 위성영상과 수중음향 결과 간의 유사도는 77.1%로 비교적 높았다. 생물 비파괴적인 수중음향조사와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국내 연안에 산재해 있는 해초지 식생의 광역적인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정확한 탐지를 위해서 다양한 고해상도 위성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리랑 위성 2호와 5호의 우주파편에 대한 충돌확률 및 임무환경 분석 (Analysis of the Collision Probability and Mission Environment for Space debris)

  • 성재동;민찬오;이대우;조겸래;김해동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144-1151
    • /
    • 2010
  • 지난 50여년의 우주개발로 인해 현재 지구궤도 상에는 수많은 우주파편이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을 위협하고 있다. 현재 아리랑 위성 2호와 5호의 임무궤도가 포함된 LEO에 전체 우주파편의 84%가 존재함에 따라 우주파편을 고려한 우주임무설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ESA의 MASTER2005와 NASA의 DAS2.0을 이용하여 현재 활동 중인 아리랑 위성 2호와 발사예정인 아리랑 위성 5호의 임무궤도에 존재하는 우주파편의 종류, 궤도특성, 우주파편이 차지하는 공간밀도를 비교분석하였고, 임무 중에 우주파편과 충돌하거나 손상을 입을 확률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아리랑 위성 2호의 우주파편 충돌확률이 아리랑 위성 5호에 비해 약 5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OMPSAT-2 원격명령어와 텔레메트리 분석

  • 이진호;이나영;이상률;이주진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1호
    • /
    • pp.73-73
    • /
    • 2004
  • KOMPSAT-2 위성에서 사용되는 원격명령어와 텔레메트리는 국제표준규격인 CCSDS format을 따르고 있다. 이들 원격명령어와 텔레메트리는 KOMPSAT-1의 heritage에 따라 구성되었으나 테스트 단계를 거치는 동안 여러 가지 형식의 원격명령어와 텔레메트리가 추가되었으며 각 유닛의 프로세서와 탑재컴퓨터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그 구현 및 전달 방식도 보다 복잡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KOMPSAT-2에서 사용되고 있는 원격명령어와 텔레메트리의 각 타입을 분석하고 유닛 별로 구현 및 전달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보여준다.

  • PDF

다목적 실용위성의 전력계 제어장치를 위한 프로세서 모듈 개발 (Processor Module Development for KOMPSAT2 EPS Control Unit)

  • 조영호;이한석;심재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283-2285
    • /
    • 2003
  • This paper present design and specification of the EPS(Electronic Power Subsystem) Control Unit of the KOMPSAT2 spacecraft. we designe ECU with the 80386 processor and compare KOMPSAT-2's performance with KOMPSAT-1's.

  • PDF

다목적실용위성2호 기하검보정 및 초기결과 분석 (KOMPSAT-2 Geometric Cal/Val Overview and Preliminary Result Analysis)

  • 서두천;이동한;송정헌;박수영;임효숙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5-148
    • /
    • 2007
  •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KOMPSAT-2) was launched in July 2006 and The main mission of the KOMPSAT-2 is a high resolution imaging for the cartography of Korea peninsula by utilizing Multi Spectral Camera (MSC) images. The camera resolutions are 1 m in panchromatic scene and 4 m in multi-spectral imaging. KOMPSAT-2 measure the position, velocity and attitude data of satellite using by star sensor, gyro sensor, and GPS sensor. This paper provides an initial geometric accuracy assessment of the KOMPSAT-2 high resolution image, both geometric Cal/Val overview.

  • PDF

KOMPSAT-2 Fault and Recovery Management

  • Baek, Myung-Jin;Lee, Na-Young;Keum, Ju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31-39
    • /
    • 2002
  • In this paper, KOMPSAT-2 on-board fault and ground recovery management design is addressesed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which provide failure detection and spacecraft safing for anomalies which threaten spacecraft survival. It also includes ground real time up-commanding operation to recover the system safely. KOMPSAT-2 spacecraft fault and recovery manage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subsequent system configuration due to system initialization is initiated and controlled by processors. This paper will show that KOMPSAT-2 has a new design feature of CPU SEU mitigation for the possible upsets in the processor CPUs as a part of on-board fault management design. Recovery management of processor switching has two different ways: gang switching and individual switching.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difficulties of using multiple-processor system can be managed by proper design implementation and flight operation.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in Forest using KOMPSAT-2 Imagery)

  • 김소라;이우균;곽한빈;최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324-3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KOMPSAT-2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지 내 주요 수종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우선, KOMPSAT-2 영상을 분할영상분류방법으로 산림내 수종을 임상단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임상의 평균 수관직경을 추정한 후, 이를 각 수종의 면적에 대비시켜 수종별 본수를 추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은 지상조사를 통해 유도된 수관직경과 흉고직경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된 수종별 흉고직경과 본수를 기존의 바이오매스 추정식에 대입하여 수종별 바이오매스를 추정하였다. 바이오매스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계수를 적용하여 임상단위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정했다. 본 연구의 임상단위 수종별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접근방식은 향후, 표본점 단위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임상단위 이산화탄소 흡수량으로 확장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KOMPSAT-2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지역 탄소저장량 추정 (Carbon Storage Estimation of Urban Area Using KOMPSAT-2 Imagery)

  • 김기태;조진우;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9-54
    • /
    • 2011
  • 최근 한국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을 제시하였고, 도시지역에서 수목의 분포나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것은 도시 식생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시계획수립에 있어서도 탄소저장량 추정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위성영상으로부터 시계열적 정규식생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탄소저장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진주시에 위치한 6개 행정동에 대해 2007년과 2009년 영상을 이용하여 탄소저장량변화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시수목의 객체 추출과 탄소저장량 계산 및 시계열적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