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B

검색결과 2,026건 처리시간 0.042초

Generalized AbS 구조를 이용한 4kb/s ACELP 음성 부호화기의 설계 (Design of a 4kb/s ACELP Codec Using the Generalized AbS Principle)

  • 성호상;강상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33-3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generalized analysis-by-synthesis (AbS) 개념을 algebraic CELP 부호화기에 도입한 새로운 4kb/s 음성 부호화기를 설계하였다. 전체적인 구조는 G.729를 부분적으로 이용하였고, line spectrum pair (LSP) 양자화기와 적응코드북 및 여기코드북을 4kb/s 전송속도에 맞게 새로이 설계하였으며, 20㎳ 프레임 크기와 5㎳ lookahead를 고려해서 총 25㎳의 알고리즘 전송지연을 갖는다. 제안된 방식은 일반적인 AbS방식을 사용하는 CELP구조의 음성 부호화기가 4kb/s이하의 전송률에서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속에서 좋은 특성을 보이는 generalized AbS구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LPC 계수는 LSP 계수로 변환한 후 예측 2단 VQ를 통해서 양자화하며, 여기 신호는 음질 저하를 최소화하며 복잡도를 감소시킨 shift 방식의 대수적 고정 코드북 구조를 사용하고, 적응코드북과 여기코드북의 이득은 VQ로 양자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4kb/s 음성 부호화기의 주관적인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고정률 8kb/s QCELP와 A-B 선택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음질 성능이 거의 비슷한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횐쥐 카리니주폐포자충의 핵형 (Karyotypes of Pneumocystis carinii from Korean Rats)

  • 홍성태;김병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3호
    • /
    • pp.183-190
    • /
    • 1992
  • 한국 내에서 사육 공급하는 실험실용 흰쥐를 실험적으로 면역억제하여 Pneumocystis carinii (Pc)를 발현시키고, 이를 순수하게 모아서 전기영동을 이용한 핵형을 분석하였다. Field Inversion Gel Electrophoresis와 Contour Clamped Homogeneous Electric Field Electrophoresis를 사용하여 분리한 염색체 밴드는 Sprague Dawley(SD) 와 Fisher(F) 계 횐쥐 모두에서 15개 씩 이었다. 크기는 수D 횐쥐의 경우 270~684kb, 횐쥐에서 얻은 표본에서 273~713kb에 있었다. 이 중에서 SD 된쥐에서 얻은 것은 283kb의 염색체가, 횐쥐의 표본은 273 kb의 염색체가 특히 강하게 염색되어 두 개 이상의 같은 크기 분자가 중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전체 염색체는 최소한 16개이며 각 염색체의 크기로 계산된 염색체 내 전체 유전자의 크기는 $7{\times}10^6{\;}bp$의 수준에 있다. F흰쥐에서 유래한 Pc는 전 염색체 분자가 공유하는 반복 염기서열을 가지며, 448kb 염색체가 rRNA의 유전자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SD횐쥐의 Pc표본에서는 어느 염색체 분자에서도 반복 염기서열과 rRNA유전자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두 개의 휜쥐 계통 군은 각각 2년간 같은 핵형의 Pc를 유지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1990년도 일반과제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PDF

USGA 지반구조에서 한지형 잔디의 여름 고온기 적응력, 색상 및 연중 녹색 유지기간 비교 (Comparison of Summer Turf Performance, Color, and Green Color Retention among Cool-Season Grasses Grown under USGA Soil System)

  • 김경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83-93
    • /
    • 2005
  •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urf performance under USGA soil system. USGA system 45 centimeters deep was built with rootzone layer, intermediate layer, and drainage layer. Six turfgrass entries were comprised of 3 blends and 3 mixtures from cool-season grasses (CSG). Turfgrass color and quality ratings were best in spring and fall, especially early May to early July and late August to early November. Kentucky bluegrass (KB) consistently produced the greatest performance, while perennial ryegrass (PR) the poorest. Intermediate turf performance between KB and PR was observed with tall fescue (TF). Among CSG mixtures it increased with KB but decreased with PR. There were considerable variations in summer turf Performance. No summer drought injury was found in KB and TF. However, PR showed poor performance through summer as compared with others. Among mixtures, it decreased with PR. It was suggested that PR mix in less than $20\%$ in the mixtures to have an acceptable quality in summer. Cultural intensity also affected it. With lowering mowing height, KB of rhizomatous-type in growth habit kept good quality, while PR and TF with bunch-type in growth habit poor quality. Mowing quality was greatly different among CSG. KB produced clean-cut surface, but PR unclean one. If had an intermediate mowing quality between KB and PR. A great difference in green color retention was observed among CSG. The longest CSG was PR that kept green for 339 days, while the shortest one TF for 267 days. KB continued to keep green for 290 days. The mixtures kept green in color for 292 to 315 days, depending on turfgrass mixing intensity. The greater the PR in content, the longer the green color dur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B was the best and PR the worst among CSG grown in USGA system under a domestic climate, in regards of turf quality, color, mowing quality, summer turf performance and green color duration. KB and TF are most adequate for high-maintenance and low-maintenance area, respectively. In case of mixtures for high-quality turf, it was desirable to use KB-based mixture with PR of below $20\%$ in seeding rate.

스토리지 성능 평가지침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Guideline for the Storage Performance)

  • 고대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66-2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지 성능평가에 필요한 대표적인 성능지표로 IOPS 및 MB/s 을 결정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한 지침을 개발하였다. 현재, 벤더 중립적인 스토리지 평가기준이 없기 때문에 스토리지 성능평가나 스토리지 자원 규모를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결과, OLTP 응용에 활용되는 스토리지는 IOPS를 성능지표로 하고 측정을 위한 블록크기는 4KB, 8KB, 16KB, 읽기대쓰기 비율은 7:3으로 측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백업, VOD, LFP(Large File Processing) 과 같은 대용량 처리 응용에 사용되는 스토리지는 MB/s를 성능지표로 하고, 측정을 위한 블록크기는 64KB, 256KB, 1,024KB 으로 하고 읽기대 쓰기 비율은 1:0 으로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평가지침을 이용한 측정결과보고서 양식을 개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플랫홈에 비종속적인 Vdvench 측정도구를 제안하였다.

한국 전통 된장 및 콩 추출물의 KB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Soybean Extracts on the Growth of KB Cells)

  • 이성림;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44-450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doen-jang) and soybean extracts have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KB cell, an oral epithelioid cancer cell. When KB cell ATCC CCL-17 was cultivated for 48 flours with the addition of 0.5% of the five types or doen-jang extract, the growth of KB cell was inhibited by all types of extract, and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In case of soybean extract, all types of extract also showed KB cell inhibitory effects, however, generally less than those of doen-jang extract. When ethyl acetate extract of doen-jang was add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KB cell was cultivated for 24 hours and 45 hours, strong inhibitory effect began to appear from the concentration of 1.25 mg/ml. Although soybean extract showed such a tendency, its effect was lower than that of doen-jang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oen-jang extract has inhibitory effect against KB cell, and particularly ethyl acetate extract has the highest effect. The effect of doen-jang extract might be possibly enhanced by the fermentation of soybeans. It is assumed that doen-jang extract may be used to develop nontoxic medicin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ral diseases.

시계열분석과 요인분석에 의한 결정질 암반의 지하수 유동 평가 (Evaluation of Goundwater Flow Pattern at the Site of Crystalline Rock using Time Series and Factor Analyses)

  • 이정환;정해룡;윤시태;김지연;조성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4호
    • /
    • pp.12-22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the pattern of groundwater fluctuation in cyrstalline rock using time series and factor analyses. From the results, groundwater level for the 18 wells was classified into 4 types reflecting the hydrogeological properties and rainfall event. Type 1 (DB1-5, DB1-6, DB2-2, KB-10, KB-13)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oundwater flow through water-conducting features, whereas type 2 (DB1-3, DB1-7, KB-1~KB-3, KB-7, KB-11, KB-14, KB-15) was affected by minor fracture network as well as rainfall event. Type 3 (DB1-1, DB1-2) was mainly influenced by surface infiltration of rainfall event. Type 4 (DB1-8, KB-9) was reflected by the irregular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anisotropy and heterogeneity of crystalline rock.

닭 오브알부민 프로모터의 길이에 따른 유전자 발현 활성 및 에스트로겐 반응성 분석 (Analysis of Transcriptional Activity and Estrogen Responsiveness of Regulatory Elements in Chicken Ovalbumin Promoter)

  • 양현;김경운;김점순;우제석;이휘철;최훈성;정선근;수레쉬 쿠마르;이해선;오건봉;변승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7-24
    • /
    • 2019
  • 본 연구는 오브알부민 프로모터의 최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고, 이를 위해 2.8, 5.5, 그리고 Mut-4.4 kb의 오브알부민 프로모터를 리포터 벡터에 클로닝하여 다양한 세포들에서 프로모터의 활성을 검증하였다. Mut-4.4kb-pOV는 2.8와 5.5kb-pOV에 비해 HeLa, MES-SA, 그리고 LMH/2A에서 높은 수준의 프로모터 활성을 유도하였으나, cEF 세포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Mut-4.4kb-pOV/pGL4.11 벡터가 도입된 HeLa, MES-SA, LMH/2A, 그리고 cEF 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처리에 의한 반응성을 검증한 결과, cEF 세포를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은 에스트로겐을 처리했을 때 리포터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MH/2A 세포에 500 nM 에스트로겐 처리 결과, Mut-4.4kb-pOV는 에스트로겐 처리 후에도 2.8와 5.5kb-pOV에 비해 높은 수준의 프로모터 활성을 유도하였다. 더불어 ERE 영역이 없는 2.8kb-pOV는 LMH/2A 세포에서 500 nM 에스트로겐 처리 후 프로모터의 활성에 효과가 없었으나, ERE 영역을 포함하는 5.5 그리고 Mut-4.4kb-pOV는 에스트로겐 처리에 의해 프로모터의 활성이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Mut-4.4kb-pOV가 형질전환 암탉을 생산하기 위한 재조합바이러스 벡터의 프로모터 영역으로 2.8와 5.5kb-pOV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크기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Streptomyces 속으로 부터 분리한 플라스미드의 특성 및 재조합 유도체의 제조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smids isolated from streptomyces spp. and construction of recombinant plasmids)

  • 유주현;염도영;공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5-261
    • /
    • 1987
  • Five independent Actinomycetes harboring plasmids were isolated from soil. Molecular weight of these plasmids was 55kb, 6.2kb, 4.4kb, 55kb and 7.0kb, respectively. Among them small and apprent high copy number plasmids, pJY501 of 4.4kb and pHY711 of 7.0kb, were selected. The plasmids purified by CsCl-EtBr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preserved the conformation of supercoiled covalently closed circular molecule, and an apparent copy number was estivated about 150 and about 35 per chromosome. The isolates carrying plasmids were assigned to the genus Streptomyces.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selection markers into the isolated plasmids, the tsr fragmemt of pIJ702 was inserted into the BclI site of pJY 501 and pJY711. And the recombinant plasmids constructed designated as pJY502 and pJY712 respectively.

  • PDF

금융 특화 딥러닝 광학문자인식 기반 문서 처리 플랫폼 구축 및 금융권 내 활용 (Deep Learning OCR based document processing platform and its application in financial domain)

  • 김동영;김두형;곽명성;손현수;손동원;임민기;신예지;이현정;박찬동;김미향;최동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143-174
    • /
    • 2023
  •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딥러닝을 활용한 인공지능 광학문자인식 기법 (Artificial Intelligence powere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I-OCR) 의 등장은 기존의 이미지 처리 기반 OCR 기술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로부터 여러 언어를 높은 정확도로 읽어낼 수 있는 모델로 발전하였다. 특히, AI-OCR은 인력을 통해 대량의 다양한 서류 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업에 있어 그 활용 잠재력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권내 활용을 위한 AI-OCR 모델의 구성과 설계를 제시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및 활용 사례에 대해 논한다. 금융권 특화 딥러닝 모델을 만듦에 있어 금융 도메인 데이터 사용은 필수적이나, 개인정보보호법 이하 실 데이터의 사용이 불가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 데이터 생성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AI-OCR 모델 학습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서류 처리에 있어 유연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단계적 구성의 AI-OCR 모델들을 제안하며, 이는 이미지 전처리 모델, 문자 탐지 모델, 문자 인식 모델, 문자 정렬 모델 및 언어 처리 모델의 선택적, 단계적 사용을 포함한다. AI-OCR 모델의 배포를 위해 온프레미스(On-Premise)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내 GPU 컴퓨팅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Hybrid GPU Cluster 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한 고효율, 고가용 AI-OCR 플랫폼 구축하여 다양한 업무 및 채널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금융 특화 AI-OCR 모델 및 플랫폼을 구축하여 금융권 서류 처리 업무인 문서 분류, 문서 검증 및 입력 보조 시스템으로의 활용을 통해 업무 효율 및 편의성 증대를 확인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Spodoplera lilura)에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균주의 내독소 단백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delta}$-Endotoxin Protein Produced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Isolate Showing High Bioactivity against Spodoptera litura)

  • 정선영;서미자;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6-455
    • /
    • 2010
  • 주요 농업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하여 높은 생물활성을 보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균주의 내독소단백질의 특성이 검토되었다. 이 균주의 내독소단백질은 효소 처리 없는 SDS-PAGE 결과 HD-l 균주에서는 일부 용해되어 130 kDa과 60 kDa의 두 개의 단백질밴드가 나타났으나 KB099균주에서는 용해되지 않고 130kDa의 밴드만이 관찰되었다. KB099균주의 내독소단백질에 감수성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의 중장액으로 소화하였을 때에는 약 60 kDa 단백질밴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균주의 각각의 내독소단백질에 감수성해충의 소화액으로 반응시켰을 때 생물활성이 약했던 HD-l균주는 약6시간 만에 주요 밴드가 사라지는데 비해 활성이 강한 KB099균주는 12시간이상 까지도 활성밴드가 유지되다가 24시간 정도에서 밴드가 사라졌다. KB099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단백질 유전자의 탐색을 위한 PCR실험에서 Cry1Aa, Cry1Ab, Cry1Ac, Cry1C, Cry1D 그리고 Cry1I 등 6개의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