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RS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 소고 (A Study of Karst Topography and Limestone Cave)

  • 강승삼
    • 동굴
    • /
    • 제51호
    • /
    • pp.27-30
    • /
    • 1997
  • 석회암처럼 탄산을 내포하고 물에 용해되는 암석으로 형성된 지방에선 유수가 적은 탓에 골짜기가 잘 발달되지 않고 그 대신 여러 가지 특유한 지형이 발달한다. 이 현상을 총칭하여 카르스트라고 한다. 따라서 그 곳에서 이루어지는 윤회를 카르스트윤회라고 한다. 그 곳에 작용하는 영력은 용해에 의하기 때문에 용식이라고 부른다. 카르스트의 지형은 아드리안해에 인접한 지방에 많이 발달해 있었기에 그 한 지방의 이름인 카르스트를 따서 이 지형의 명칭으로 삼게 된 것이다.(중략)

  • PDF

광릉산 고등 균류 (I) (The Higher Fungi of Kwangneung Forest Institute (I))

  • 이지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3_4호
    • /
    • pp.7-16
    • /
    • 1973
  • Twenty-six species of the higher fungi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Mt. Sori in Kwangneung, Kyeongki-do,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ree months, beginning July 1, 1972. Among them the following were recognized newly to occur in Korea: camarophyllus virgineus (Fr.) Karst., Rhodophyllus crassipes (Imaz. et Toki) Imaz. et Hongo and Agrocybge pediades (Fr.) Fayod.

  • PDF

일본종유동굴 지형의 Karst Cycle고찰 - 호미합 및 추길태를 중심으로-

  • 박관섭
    • 동굴
    • /
    • 제4권4호
    • /
    • pp.5-7
    • /
    • 1979
  • 최근 학문연구의 국제교류는 세계적으로 활발하여 지는 이 때에, 한국동굴학회의 동굴연구 활동은 국내외에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 국내의 동굴조사만도 50여차 실시하였고, 한일합동동굴조사가 7회를 거듭하였는바, 1978년 8월 17일~31일 15일간 일본동굴조사를 실시한 것은 제3차에 해당한다.(중략)

  • PDF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XX)

  • Lee, Man-Hyong;Choi, Eung-Chil;Kim, Byong-Ka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33-144
    • /
    • 1979
  • To investigate constituents of Strobilomyces floccopus (Fr.) Karst. and Coprinus comatus (Fr.) S. F. Gray, free and total amino acids of the two mushroom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G. L. C. and an amino acid analyzer. Free amino acids were extracted from both mushrooms with ethanol. Fourtenn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from the ethanol extract of S. floccopus and fifteen free amino acids from C. comatus by G. L. C. And the dry carphopores of both mushrooms were hydrolyzed with hydrochloric acid and then the total protein amino acids were analyzed by A. A. A. Seventeen total amino acids were detected from each acid-hydrolysate of S. floccopus and C. comatus. Lipids were extracted from the carpophores of S. floccopus and saponified with alcoholic potassium hydroxide. The isolated sterols were subjected to G. L. C. and two sterols were detected. The isolated free fatty acids were methylated with diazomethane and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and G. L. C. Eleven saturated and nine unsaturated free fatty acids were detected from the carpophores of S. floccopus. The presence of these nutrient components shows that the two mushrooms can be utilized as edible ones.

  • PDF

한국고등균류기(韓國高等菌類記)(V) (Notes on Korean Higher Fungi(V))

  • 조덕현;이지열;김각병;김삼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2
    • /
    • 1979
  • 1978년(年) 여름부터 가을까지 소백산(小白山) 및 영주지방(榮州地方)에서 탐집(探集)된 고등균류(高等菌類)와 1976년(年) 안동(安東)에서 탐집(探集)된 것중 미동정(未同定)이 었든 것을 이번에 동정(同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Macrocystidia의 한국(韓國) 미기록속(未記錄屬)과 10개(個)의 미기록종(未記錄種)을 다음과 같이 확인(確認)하였다. Hygrocybe turunda (Fr.) Karst., Hygrophorus lucorum Kalchbr., Macrocystidia cucumsi (Fr.) Heim var. latifolia (Lange) Imazeki et Hongo, Agaricus subrufescens Peck, Psathyrella hydrophila(Bull. ex Fr.) A.H. Smith, Stropharia rugosannulata Farlow f. lutea Hongo, Inocybe bresadolae Mass., I. multicoronata A.H. Smith, Russula farinipes Romell 과 Lactarius sakamotoi Imai.

  • PDF

중국 귀주성 석막화 방지 조림 후 환경변화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 after Planting for Prevention of Stone Hazarding Guizhou, China)

  • 박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80-188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change (forest resources and soil water conservation by land types) after planting for prevention of between 2003 and 2006 from the stone hazarding areas in Guizhou province, China. Mean diameter growth of the trees was highest for Melia azedarach, followed by Robinia pseudoacacia, Lonicera fulvotomentosa, Choerospondias axillaris, Cupressus duclouxiana, and Eucommia uimoides Oliv. Mean height growth of the trees was greatest for R. pseudoacacia, followed by Ilex kudincha, M. azedarach, C. duclouxiana, C. axillaris, E. uimoides Oliv, Zanthoxylum bungeanum, and L. fulvotomentosa. Tree biomass was greater at the afforestation sites by 1.22-1.71 ton/ha compared to that of severely eroded mountain areas. The capacities of soil water conservation by land types were 2,790 ton/ha at laten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2,655 ton/ha at rock desertification farmland, 1,680 ton/ha at dolomite sandstone hilly country, 1,650 ton/ha at halfstony hilly country, and 1,590 ton/ha at karst physiognomy site. Soil erosion was estimated to be 1,285 ton/$km^2$ which had been 2,178 ton/$km^2$ before afforestation. Also, we should be continuative manage after planting for prevention of the stone hazarding areas in Guizhou province, China.

무안군 카르스트 지역의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 기술 적용 (Application of Resistivity Technique for Identifying Cavities Near Surface in Karst Area, Muan-gun, South of Korea)

  • ;박삼규;송영수;김정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4호
    • /
    • pp.368-372
    • /
    • 2008
  • 이 연구는 카르스트 지역에서 발생하는 연약층 또는 지하 석회암 공동의 영상화를 위한 지표 전기비저항 탐사의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약층 또는 공동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도로 및 건축물의 붕괴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미 지반침하가 있었음이 보고된 바 있는 전남 무안군 영월리에 있는 한 도로를 따라 2-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지반 침하 현상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풍화된 표토층과 연약층 또는 공동 그리고 기반암이 뚜렷이 구분되어 나타났으며, 또한 여러 곳의 저비저항 이상대가 나타났는데 이는 점토로 충전된 공동으로 시추결과 확인되었다. 아울러 시추 결과와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는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반 침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한 지하영상화 작업이 매우 높은 분해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지반 침하 지역을 조사하고 이를 평가함에 있어 $2{\sim}3$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탐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주변의 재해 취약정도를 작성하였다.

시추공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비저항 영상화: 과잉취수에 의한 석회암 지반침하 지역 사례 (Resistivity Imaging Using Borehole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A Case of Land Subsidence in Karst Area Due to the Excessive Groundwater Withdrawal)

  • 송성호;이규상;엄재연;서정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37-547
    • /
    • 2011
  • 석회암 공동이 발달한 도심지역에서 지하수위 하강에 수반되어 발생한 함몰형 지반침하의 원인 규명 및 공동의 분포 특성 파악을 위하여 시추공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탐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지하수 수리지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코아의 비저항 측정, 지하수위 측정 및 수리전도도 해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지역에서의 완만한 지하수위 분포 특성과 0.8-$9.3{\times}10^{-4}\;cm/s$ 범위의 수리전도도 분포로 부터 연구지역의 수리지질 특성은 불균질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추코아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측정 결과 연구지역의 석회암은 파쇄가 많은 경우, 변질이 심한 경우 및 신선한 경우로 나눠지며, 전기비저항은 각각 103-161, 218-277 및 597-662 ohm-m의 범위로 나타났다. 시추결과 점토로 충전된 석회암 공동 지점은 토모그래피 탐사자료의 역산 결과 50 ohm-m 이하의 낮은 비저항으로 나타났으며, 각 시추공 간 비저항 영상 단면으로부터 연구지역 전체적으로 지표 하부 심도 약 10-20 m 구간까지 파쇄대 또는 석회암 공동 구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회암 공동의 직경은 약 4-6 m 규모로, 대부분 점토질로 충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에 의(依)한 가중나무 흰가루병(病) (Notes on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caused by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 김기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3
    • /
    • 1965
  •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Sw. was first reported by J.S. Park in Korea, 1961. According to his report, this disease was found on the leaves of this tree species collected in Jeongup, 1957, and in Taejon, 1958. H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is pathogen and described also that the causal fungu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Phyllactinia corylea. This disease which appears dusty grayish yellow molds under surface of leaves was collected again by the author in Kwangju, 1962. The present works were undertaken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causal fungus by means of the morphology and pathogenec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ngus Mycelia persistent or more or less evanescent; matured conidia solitary, aseptate, short-clavate to clavate to clavate, hyaline or yellowish, granulate, $44.6-89.2{\times}9.3-24.2{\mu}$, average $64.8-17.8{\mu}$ in size; conidiophores elongate clavate or columnar, hyaline, 2-3 septate, $122.8-346.0{\times}3.7-7.4{\mu}$, average $208.8{\times}6.3{\mu}$; per-thecia usually scattered, rarely gregarious, dark brown to black, depressed globose to globose, $223.2-297.6{\mu}$, average $267.8{\mu}$ in diameter; appendages 12-19, usually 15 in number, hyaline, straight, needle-shaped, sharply pointed at the apex and bulbous at the base, aseptate, $93.0-310.0{\times}5.0-8.0{\mu}$, average $173.3{\times}6.4{\mu}$ in size; asci elongate ellipsoidal to broadly clavate, hyaline, more or less stalked, 8-13 in number, $68.5-76.6{\times}26.1-34.2{\mu}$, average $71.4{\times}29.0{\mu}$ in size; ascospores 2-4, usually 2 in number, hyaline or yellowish, aseptate, ellipsoidal or ovate, $27.7-34.2{\times}14.7-17.9{\mu}$, average $25.5{\times}13.9{\mu}$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i In order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the fungus and the pathogenic differences of Phyllactinia fungi which are collected around the contaminated area and seemed to be related to Ailanthus powdery mildew, some inoc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1. Cross inoculation to several tree species with their pathogen: Tested materials; Phyllactinia in question on Ailanthus altissima Sw. Ph. fraxini (DC.) Homma. On Alnus firma S. et Z. Ph. moricola (P. Henn.) Homma on morus alba 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reactions were all negative with the exception of the original hosts of tested fungi. 2. Inoculation to Picrasma ailanthoides Planch. : The appearance of symptom on the leaves of P. ailanthoides is not distinct, but more or less mycelial growth. Therefor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in glass chamber, it may be possible to success artificially.

  • PDF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연구 (A Study for Formation Process of Karst Cave)

  • 권동희
    • 동굴
    • /
    • 제52호
    • /
    • pp.11-16
    • /
    • 1997
  • 석회동굴은 석회암지역에서 형성된다. 이들 석회동굴은 석회암의 화학성분이 용해되어 지하에 스며들어 석회동굴을 형성한다. 석회암지대의 지표면에는 돌리네, 우발라와 같은 각종 지형이 나타나는데 이들을 카르스트지형이라 부르고 이들이 계속 변질 환산되어가는 과정을 카르스트윤회라고 한다. 카르스트윤회과정에서 지표수가 지하에 스며들어 지하수통로인 지하수동 즉 석회동굴이 형성되는데 이 지하수 통로가 바로 동굴인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동굴의 천정에는 계속적으로 땅속으로 지표면에서 물방울이 스며들게 되는데 이들 석회암의 용해물방울이 땅속지하수동의 천정, 벽면에 침적되어 이른바 동굴의 2차 생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