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 pictu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4초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 이상무;황주환;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5-312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가지와 잎을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를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가지 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2%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가지와 잎을 중탕하여 그 추출물을 급여한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사료요구율은 T1과 T3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일반성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pH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T3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총 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엄나무 가지와 잎의 급여구에서 높았고, 엄나무 가지와 잎의 혼합 중탕구인 T3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은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특히 T3에서 가장 높았으며 LDL-cholesterol은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지방산 조성은 엄나무를 급여함에 따라 지방산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T3에서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였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가지와 잎의 중 탕 처리구는(T3) 총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 및 불포화지방산을 증가시키고, LDL-cholesterol과 포화지방산을 감소시킴으로 cholesterol 및 지방산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PLC 분석에 의한 해동피와 개두릅의 성분함량 비교 (Quantitative Determination on the Constituents of the Stem Bark and the Leaf Shoot of Kalopanax pictus by HPLC Analysis)

  • 김민영;유영민;남정환;최종원;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70-276
    • /
    • 2007
  • To evaluate the leaf shoots and stem barks of Kalopanax pictus (Araliaceae) as an edible vegetable and a traditional medicinal drug, respectively, the compounds of syringin, liriodendrin, astragalin, quercetin, and kalopanaxsaponin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by HPLC analysis. The leaf shoot exhibited low contents of syringin, liriodendrin and kalopanaxsaponins but a high chlorogenic acid content, whereas the grown leaves contained very high amounts of kalopananxsaponins. In contrast, the stem bark had very high amounts of syringin and liriodendrin and relatively low kalopanaxsaponins. In particular, the kalopanaxsaponin contents were rapidly increased with monthly variation until October but decreased from September.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leaf shoot contained chlorogenic acid by 30.73 mg/g and the barks showed the concentration of liriodendrin by 20.75 mg/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 contents of syringin and liriodendrin in the stem bark and high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in the leaf shoot support scientific bases on the traditional uses of K. pictus as a medicinal drug and a functional food, respectively.

toxicology of Kalopanax pictus Extract and Hematological Effect of the Isolated Anti-Rheumatoidal Kalopanaxsaponin A on the Freunds Complete Adjuvant Reagent-Treated Rat

  • Choi, Jong-Won;Huh, Keun;Kim, Suk-Hwan;Lee, Kyung-Tae;Kwon, Sang-Hyuk;Park, Hee-Juh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19-125
    • /
    • 2001
  • We have reported that kalopanaxsaponin A (KPS-A) Isolated from Kalopanax pictus have anti-rheumatoidal activity in the rat treated with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reagent. In addition, it has been also reported that KPS-A is a potent antioxidant in the rheumatoidal rat.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amine whether the saponins of KPS-A and -1 could adjust the abnormal lipid metabolisms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immunological diseases. KPS-A significantly inhibited the increases in both triglycerides and total proteins in addition to the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induced by FCA reagent treatment. KPS-A treatment decreased the number of leucocytes elevated by FCA reagent treatment. Excess dose of the methanol extract produced no severe toxicity on the body weight, wet organ weights and hepatic functions. Since $LD_50$ value of K. pictus methanol extract was shown to be 4,033 ${mg/kg}$, it could be estimated to be a safe agent for anti-rheumatoidal herbal medicines.

  • PDF

염장조건에 따른 엄나무와 두릅 순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alopanax$ $pictus$ and $Aralica$ $elata$ Shoot according to Their Salt Conditions)

  • 장세영;김선화;성나혜;윤경영;우상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2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엄나무와 두릅 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염장조건 및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 중 엄나무 순의 pH는 저장온도 $4^{\circ}C$, 10%와 12% 염수에서, 저장온도 $10^{\circ}C$에서는 12% 염수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두릅 순의 pH는 저장온도 $4^{\circ}C$에서는 엄나무순과 비슷한 경향이며, $10^{\circ}C$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엄나무와 두릅 순의 염도는 저장 동안 증가하는 경향이며, 저장온도에 따른 큰 차이도 없었다. 염장한 엄나무와 두릅 순의 L값은 저장 동안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며, 염수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b값은 엄나무 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두릅 순은 조금씩 감소하였다. a값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으로 저장온도 및 염수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없었다. 염장한 엄나무와 두릅 순의 강도와 경도는 저장 중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으로 저장온도 $4^{\circ}C$에서 엄나무 순은 10% 염수에서, 두릅 순은 8~10% 염수에서 강도와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엄나무와 두릅 순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저장 동안 감소하는 경향이며, 저장온도 및 염수 농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엄나무와 두릅 순은 10% 염수로 염장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added Kalopanax pictus Leaf Powder)

  • 이은지;진소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80
    • /
    • 2015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음나무 잎을 쌀쿠키에 첨가하여 대조군과 실험군 간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나무 잎의 총 페놀 함량은 50.74 mg GAE/g, DPPH radical 소거활성 $IC_{50}$$41.09{\mu}g/mL$, 환원력은 1 mg/mL의 농도에서 흡광도 1.55로 음나무 잎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쌀쿠키의 경우, 음나무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퍼짐성, 팽창률, 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쌀쿠키의 항산화 활성 물질인 총 페놀 함량을 정량한 결과, 음나무 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페놀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쌀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측정 결과, 음나무 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음나무 잎 분말을 3% 첨가한 쌀쿠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5% 이상 첨가 시는 전반적인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음나무 잎 분말을 첨가한 쌀쿠키는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기호도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쌀쿠키에 3% 음나무 잎 분말 첨가는 기능성과 기호성을 갖춘 식품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한국 음나무(두릅과) 집단의 형태적 분석 (Morphological Analysis on the Kalopanax pictus (Araliaceae) of Korean Populations)

  • Jung, Sang-Duk;Hong, Jung-Hee;Bang, Kyung-Hwan;Huh, Man-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00-405
    • /
    • 2004
  • 한국내 분포하는 음나무(Kalopanox pictus Nakai)의 집단간 분화를 연구하기 위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3개 형태 형질에 근거하여 지역간 분화는 현저하였다. 아홉 집단에서 138표본으로 유효한 분류학적 단위(OTU)를 표현형 유사도와 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세 주성분 요소가 전체 변이의 77.0%에 관련이 있었다. 이 중 첫 번째 주성분 요소가 전체 변이의 52%에 기여하였는데 이에 해당되는 형질은 장상복엽의 장상렬의 수, 그리고 장상렬의 폭이다. 형태적 변이에 근거한 군집분석에서 우리나라 남부와 중부지방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Taxonomic Study of Poorly-known Marine Pleurostomatid Ciliates of Litonotus paracygnus and L. pictus (Ciliophora: Pleurostomatida) from Korea

  • Kim, Se-Joo;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2호
    • /
    • pp.167-178
    • /
    • 2009
  • Two poorly known and often confused pleurostomatid ciliates, Litonotus paracygnus Song, 1994 and L. pictus Gruber, 1884,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Yeonggeumjeong and Bongpo-port, Gangwondo in the East Sea and from the Iwon tide embankment near Ganwol-do, Chungcheongnam-do in the Yellow Sea, Korea. These species were described based on live observations, the protargol-impregnation and morphometrics of the species. Also provided are their diagnoses. The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SU rDNA) sequences of these species were compared with previously known sequences of related species. The diagnostics of the two Litonotus species are as follows. L. paracygnus: 150-300 $\mu$m long in vivo, strongly contractile neck region, two ellipsoid macronuclei (Ma) and one micronucleus (Mi), 7 left (LSK) and 11-14 right somatic kineties (RSK), 2-4 contractile vacuoles (CV) located on the posterior end, extrusemes (Ex) distributed on the anterior region of the ventral margin only. L. pictus: about 200-600 $\mu$m long in vivo, extremely contractile, beautiful body color with rows of yellow to yellow-brownish cortical pigment granules, 12-21 Ma arranged in moniliform pattern, infrequently vermiform, 7-11 LSK and 18-26 RSK, several CV located on both margins, Ex distributed on the anterior region of the ventral margin only. In this study, this genus was firstly recorded in Korea.

광, 온도, 수분 변화에 따른 음나무 엽의 생리반응(IV) - P-V 곡선에 의한 잎의 수분특성 - (Effects of Light, Temperature, Water Changes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Kalopanax pictus Leaves(IV) - Characteristics of Leaf Water Relations Obtained from P-V Curve -)

  • 한상섭;전두식;심주석;전성렬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71-75
    • /
    • 2006
  • P-V곡선에 의한 음나무 묘목 상층엽의 수분특성을 측정하였다. 음나무 잎의 최대팽압시의 삼투포텐셜은 -1.44 MPa 이었고,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삼투포텐셜은 -1.84 MPa,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상대함수율은 78.2%였다.

  • PDF

Micro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T_{HUNB}.)\;N_{AKAI}$ by bud cultrue

  • Kim, Bong-Kyu;Yi, Yong-Sub;Ahn, Joong-Ho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9-252
    • /
    • 2002
  • Several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examined for on their effect on the in vitro 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T_{HUNB}.)$ $(N_{AKAI}.)$ on WPM medium. Among the cytokinins tested, BA at $13.32\;{\mu}M$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multiple axillary shoot formation. Although the addition of $2.89\;{\mu}M\;GA_3$ promoted stem elongation, it produced morphologically abnormal leaves and stems. For rooting of the shoots, $4.9\;{\mu}M$ IBA seemed to be more effective than $2.69\;{\mu}M$ NAA. When the regenerated plants were transferred on artificial mixture containing vermiculite and peat-moss (1 : 1, v/v), 81% of them survived and grew normally.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y of Castor-aralia (Kalopanax pictus) Leaves

  • Hu, Wei-Cheng;Heo, Seong-Il;Wang, Myeong-Hy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523-1527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hot water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dichloromethane ($CH_2Cl_2$),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water ($H_2O$) of castor-aralia (Kalopanax pictus) leaves using different antioxidant tests. Among these crude extract and fractions, EtOAc fraction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potency than others in 1,1-diphenyl-2-pric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assa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However, $CH_2Cl_2$ fraction showed high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DNA damage protective activity. This work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castor-aralia leaves as antioxidant functional food ingred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