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WAI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FreeWAIS-sf의 분석 및 한글화 (Analysis and Localization of freeWAIS-sf)

  • 오정석;김지승;이준호;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5권5호
    • /
    • pp.611-618
    • /
    • 1999
  • 원하는 정보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접근은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성공의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지금까지 대용량의 문서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정보 검색 시스템에 관한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연구용으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는 시스템들의 대부분이 영문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한영 혼용 정보 검색 시스템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문 정보 검색 시스템 freeWAIS-sf를 분석하고, 한글 형태소 분석기 HAM을 이용하여 freeWAIS-sf를 한글화하였다. 또한 freeWAIS-sf의 가중치 기법을 변경하고, 변경된 가중치 기법이 보다 높은 검색 효과를 제공함을 실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K-WAIS와 비행훈련장치 평가를 활용한 비행적성 검사에 대한 퍼지모형 연구 (A study on Fuzzy model for flight aptitude using K-WAIS and FTD test)

  • 김칠영;유병선;최승회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32
    • /
    • 2011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K-WAIS and FTD on flight aptitude, which we utilize to sort out good pilot candidates among applicants, we adopted Fuzzy regression model and expressed the result of flight aptitude tests in Fuzzy number by using maximum/minimum values and mean values. The 7 aspects of K-WAIS were broken down into three similar groups: mathematical ability, visualization ability and organization ability. While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ability showed a positive relevance with the FTD test with respect to flight aptitude, visualization ability of K-WAIS showed a negative(-) relevance with flight aptitude, which presented an opposite result to the previous research. Thus, we are to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s and do the research thereof in the near future.

한국판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 4판(K-WAIS-IV)으로 살펴본 병무용 진단서 대상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특성 : 후향적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on Military Service and Conscription Issues Using K-WAIS-IV : A Retrospective Study)

  • 김지영;박은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2-40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performa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in military service/conscription personnel who visited the psychiatric clinic for a medical certificate to consider the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s unique compulsory military system. We used the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K-WAIS-IV) as the test for verifying the suitable level of cognitive functioning for military service and as the embedded measure with reflecting suboptimal effort.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56 (28 males, age 19-34) in/out-patients admitted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and diagnosed with MDD (DSM-IV).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MINI-Plus), as well as self-report questionnaires related to demographics and severity of clinical symptoms. K-WAIS-IV was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to asses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sults : Milita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ocessing speed index (PSI) score including subtests of symbol search (SS) and coding (CD)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ll Scale IQ (FSIQ), Verbal Comprehension Index (VCI), Perceptual Reasoning Index (PRI), Working Memory Index (WMI) scores including sub-tests comprised of the above indices, and Reliable Digit Span (RDS), Enhanced-RDS-Revised (E-RDS-R) between the study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was the first effort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military group with MDD and suggest the applicability of PSI and processing speed of K-WAIS-IV as an embedded performance index to test sub-optimal effort or low motivation beyond the purpose of testing cognitive deficits.

정상 지능의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실행기능 장애 및 K-WAIS 점수들과의 관련성 (Executive Dysfunction and It's Relation to K-WAIS Scores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ith Normal Intelligence Quotient)

  • 이대보;윤인선;김선경;노승호;박민철;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50-58
    • /
    • 2012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외상성 뇌손상(Mild traumatic brain injury, MTBI) 환자 중에서 일반지능이 정상수준에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행기능의 결손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 결과를 비교하여 K-WAIS 점수들과 실행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5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과 군산의료원에서 치료받은 경도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 중에서 K-WAIS 검사를 통해 정상 범위의 일반지능 수준을 갖는 5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관리지능검사(Executive Intelligence Test, EXIT)를 시행하였고 관리지능지수(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EIQ)에 의해 두 집단을 나누었다. 결 과 : 전체 피험자를 분류한 결과 50.8%의 환자들이 EIQ 저하 집단에 포함되었다. 대상 집단의 K-WAIS 검사 특징은 전체지능과 동작성지능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소검사 항목에서는 차례맞추기, 바꿔쓰기, 숫자외우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이해문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효과크기의 비교에서는 차례맞추기가 가장 컸으며 이후 바꿔쓰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순서였다. K-WAIS 소검사와 관리지능지수 결과와의 관련성 검사에서는 전체지능과 동작성지능이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검사 항목에서는 차례맞추기, 바꿔쓰기, 숫자외우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이해문제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정상 범위의 지능을 갖는 MTBI 환자들에서 관리지능지수가 정상하 수준 이하의 환자들의 빈도는 매우 높았으며, K-WAIS 검사 중 전체지능과 동작성지능이, 소검사 중에서는 차례맞추기, 바꿔쓰기, 숫자외우기, 토막짜기, 모양맞추기, 이해문제 항목의 결과가 특징적으로 관련되어 있을 것을 시사한다.

  • PDF

외상후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뇌손상 부위에 따른 다면적 인성검사,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비교 (Comparison of Sites of Intracranial Injury and the Results of MMPI & K-WAIS in the Patients with Post-Traumatic Organic Mental Disorder)

  • 김태호;나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37-48
    • /
    • 2001
  • 연구목적 : 외상후 정신장애 환자들을 두부손상의 부위에 따라 국소화시켜 구분하여 감정장애와 인지기능 장애가 어떻게 관련되는지 심리검사를 분석하여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두부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를 MRI 판독에 따른 부위에 따라 4 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다면적 인성검사와 한국판 펙슬러 지능검사 척도에 따라 차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 다면적 인성검사의 우울증 척도는 좌반구 손상환자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고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의 토막짜기 척도는 우반구 손상환자 군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두부외상후 발생하는 정서장애와 인지장애는 병변의 위치에 따라 특정반구의 특정 부위가 상대 우위적인 역할을 하고 병변의 위치에 따른 심리검사 결과 분석이 임상경과와 치료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Intelligence and Creativity of Students in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 조선희;이건호;김희백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3-1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의 수준을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가 사사교육 선발고사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두 분과(생물분과: n=19, 물리분과: n=21)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능검사(WAIS, RAPM)와 창의력검사(TTCT-언어, TTCT-도형)를 실시하였으며, 검사점수와 사사교육 선발점수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검사결과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WAIS IQ>98%). 반면, 이들의 창의력수준은 지능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사교육 선발점수와 지능점수 및 창의력점수 사이의 상관도 분석결과 생물분과의 선발고사는 WAIS 및 TTCT-언어와 양의 상관도를 보였으며, 물리분과의 선발고사는 RAPM과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이 지능수준은 매우 높은데 비해 일반적 창의력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며, 사사교육 선발고사는 높은 지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로 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 분야의 우수한 성과물 산출을 위해서는 높은 지능에 못지않게 창의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과학영재의 창의력 평가에 관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Brain A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Intelligence Task)

  • 조선희;최유용;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7-3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학생(n=8)과 외국어고학생(n=5)을 대상으로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을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지능점수가 상위 1% 안에 드는 높은 지능을 지닌 학생들이었다(과학고집단: RAPM 평균점수=34.0, WAIS 평균 IQ=139.6; 외국어고집단: RAPM 평균점수=33.8, WAIS 평균 IQ=147.2). 분석결과 두 집단은 지능과제 수행 시 공통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전두엽, 두정엽, 전대상피질에서 활동성을 보였다. 과학고집단은 도형 작업기억과 관련된 우측 두정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인 반면, 외국어고집단은 언어 작업기억과 관련된 좌측 전두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뇌활동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고집단은 과학고집단에 비해 혀와 입술의 운동과 관련된 좌측 중심전이랑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과제 수행 시 과학고학생은 도형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반면, 외국어고학생은 언어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동일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관여하는 주 사고체계가 영재성을 보이는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명상훈련이 정상 성인의 기억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eath Meditation with Neurofeedback on Memory and Concentration of Healthy Adult Volunteers)

  • 정선용;서진우;김종우;황의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9
    • /
    • 2008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eath meditation with neurofeedback on memory, concentration of healthy adult volunteers Method 25 healthy adult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reated with breath meditation and real neurofeedback, but the other group was administered with breath meditation and sham neurofeedback three times a week for 10 sessions, Before and after 10 sessions neurofeedback, all subjects were measured by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 heart rate variability, BDI, STAI, K-WAIS, HRSD, VAS about amnesia. Results : 1. Breath Meditation decreased error rate and increased concentration, cognition strength, and success rate of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 Also, Breath Medication elevated IQ score of K-WAIS short form. 2. Sham : neurofeedback increased concentration, cognition strength compared to Real neurofeedback.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breath meditation might effect cognitive function of healthy adult positively, but neurofeedback is not clear. In order to prove whether neurofeedback is effective or not, it should be studied more.

  • PDF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증상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적 특성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ression Seve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황선희;이헌정;김명선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49-15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s. Methods Ten patients with low depression (LD) and 22 patients with high depression (HD) participated. Symptom severity was determined by bo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dditionally, anxiety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KYZ). Ten subtests of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Stroop test, the word/design fluency 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cognition. Results The LD and HD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of cognitive measures but anxiety level. Namely, the HD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tate (U = 29.50, p < 0.01) and trait (U = 28.50, p < 0.001) anxiety scales than the LD group.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severity was observed on the picture arrangement subtest of the K-WAIS [F (1, 27) = 5.09, p < 0.05]. Conclusions Cognitive deficits observed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ay be related to other factors rather than current symptom severity. Trait anxiety possibly moderates the effect of current symptom severity on social judgment in these patients.

Application of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on the GRACE Spherical Harmonic Solutions

  • Eom, Jooyoung;Seo, Ki-We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73-482
    • /
    • 2018
  • During the period of 2002 to 2017, the 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GRACE) had observed time-varying gravity changes with unprecedented accuracy. The GRACE science data centers provide the monthly gravity solutions after removing the sub-monthly mass fluctuation using geophysical models. However, model misfit makes the solutions to be contaminated by aliasing errors, which exhibits peculiar north-south stripes. Two conventional filters are used to reduce the errors, but signals with similar spatial patterns to the errors are also removed during the filtering procedure. This would be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estimating the ice mass changes in Western Antarctic Ice Sheet (WAIS) and Antarctic Peninsula (AP) due to their similar spatial pattern to the elongated north-south direc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 an alternative filter to remove aliasing errors using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EOF) analysis. EOF can decompose data into different modes, and thus is useful to separate signals from noise. Therefore, the aliasing errors are effectively suppressed through EOF method. In particular, the month-to-month mass changes in WAIS and AP, which have been significantly contaminated by aliasing errors, can be recovered using EOF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