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DB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3초

Rapid Induction of mRNA for Prostaglandin H Synthase in Ovine Meningeal Fibroblasts

  • Nam, Myeong-Jin;Thore, Clara;Busija, David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4호
    • /
    • pp.435-441
    • /
    • 1998
  • We examined effects of interleukin $1{\alpha}$ ($IL1{\alpha}$) and phorbol 12, 13 dibutyrate (PDB), an activator of protein kinase C, on mRNA for Prostaglandin H synthase (PGHS) and prostanoid production in cultured ovine meningeal fibroblasts. Immuno- and morphologically-identified fibroblasts were derived from cerebral cortex and white matter from fetal lambs (approximately 120 days gestation) and grown to confluence on glass coverslips in 12 well plates. Levels of prostaglandin $F_{2{\alpha}}$ and the stable hydrolysis product of prostacyclin (i.e., $6-keto-PGF_{1{\alpha}}$) were determined using enzyme immunoassay. Relative amounts of mRNA were determined by in situ hybridization using ovine cDNA for PGHS1. $IL1{\alpha}$ (10 ng/ml) increased mRNA levels over baseline by $62{\pm}19%$ (p<0.05) at 60 min., $37{\pm}12%$ (NS) at 120 min., and $36{\pm}18%$ (NS) at 240 min (n=12). Levels of $6-keto-PGF_{1{\alpha}}$ were $148{\pm}18%$ pg/ml during baseline, $246{\pm}41%$ pg/ml at 60 min., $248{\pm}40%$ pg/ml at 120 min., and $259{\pm}62%$ pg/ml at 240 min (all p<0.05) (n=12). $PGF_{2{\alpha}}$ was increased although i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L1{\alpha}$ decreased $PGE_2$ level significantly (all p<0.05). PDB $(10^{-6}M)$ increased mRNA levels over baseline by $25{\pm}6%$ after 30 min., $40{\pm}6%$ after 60 min., and $20{\pm}8%$ after 90 min. (n=9) (all p<0.05). Levels of $6-keto-PGF_{1{\alpha}}$ were $200{\pm}43%$ pg/ml during baseline, $202{\pm}43%$ pg/ml after 30 min. (NS), $268{\pm}58%$ pg/ml after 60 min. (p<0.05), and $296{\pm}60%$ pg/ml after 90 min. (p<0.05) (n=9). Levels of $PGF_{2{\alpha}}$ were $178{\pm}26%$ pg/ml during baseline, $300{\pm}30%$ pg/ml after 30 min., $299{\pm}35%$ pg/ml after 60 min., and $355{\pm}32%$ pg/ml after 90 min (all p<0.05) (n=6). Actinomycin-D (1 mg/ml) prevented increases in mRNA, $6-keto-PGF_{1{\alpha}}$, and $PGF_{2{\alpha}}$ at 60 min. for both $IL1{\alpha}$ and PDB. We conclude that cerebral fibroblasts are avid producers of prostanoids, and that enhanced production of PGHS is responsible for augmented $PGF_{2{\alpha}}$ and prostacyclin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an activator of protein kinase C and for decreased $PGE_2$ and increased prostacyclin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IL1{\alpha}$.

  • PDF

아미노산 첨가가 꽃송이버섯 균사체 성장 및 베타글루칸, GABA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amino acids on the mycelial growth and the contents of β-glucan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in Sparassis latifolia)

  • 조한교;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4
    • /
    • 2017
  • 최근 식용과 약용버섯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꽃송이버섯(Sparassis latifolia 혹은 S. crispa)은 베타-글루칸이 풍부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꽃송이버섯에 다량 포함된 베타-글루칸과 더불어 뇌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양성분이 보강된다면 약용버섯의 기능성이 더욱 증대되어 농가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증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시 아미노산을 첨가하였을 시 균사 생장이 촉진됨과 함께 GABA 함량이 증대되었고, ${\beta}-glucan$ 함량에는 유의적인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균사의 생장에는 glutamic acid와 ornithine 모두 효과가 있었으나, GABA 함량에 대해서는 glutamic acid의 첨가가 훨씬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꽃송이버섯 균사체의 GABA-shunt에 glutamic acid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생성된 GABA의 소멸과 다른 화합물의 신규 생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rametes versicolor 배양액으로부터 단리 정제된 Laccase의 효소적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Laccase from Trametes versicolor)

  • 김현주;배현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61-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trametes versicolor에서 분비하는 laccase를 분리 정제하고, 그 효소특성을 조사하였다. 공시균의 배지로는 PDB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효소를 유도하기 위하여 공시균 접종 5일 후 inducer로 2,5-xylidine (0.2 mM)을 첨가하였다. Inducer 첨가 2일 후 laccase를 수확하여 Glass filter (GF/C)를 이용하여 균사체를 제거한 후 laccase 여과액의 정제시간을 단축시키고, 쉽게 단백질을 농축시키기 위하여 ultramicrofilter (Viva flow 50, GE Healthcare Bioscience, USA)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이렇게 농축된 laccase 여과액은 Hitrap Q FF column으로 부분 정제하여 활성이 검출된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은 pH는 5.0이었으며 최적 온도는 $60^{\circ}C$였고, specific activity는 syringaldazine을 substrate로 사용하여 확인한 결과 crude한 상태에서는 약 32 U/mg였고, 농축한 후에는 약 409 U/mg였으며 Hitrap Q FF column으로 분리한 후에는 약 1.243 U/mg였다. 그리고 SDS-PAGE gel 사진으로 확인한 결과 단백질의 크기는 약 53 kDa이었다.

스키마 통합 기반 생명정보 검색시스템(BIRS)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Schema Integration based Biologic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한건;이상호;안부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1호
    • /
    • pp.217-234
    • /
    • 2009
  • 컴퓨터로 옮겨 놓은 생물학 실험실에서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연구자가 생명정보를 확인하려면 1차적으로 생물다양성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생명체에 관한 종정보, 생태정보, 분포정보를 검색해야 한다. 그리고 그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전자 서열정보와 단백질 구조정보를 Genbank, PDB 등의 유전자/단백질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야 한다. 또한 그 생명체에 관한 학술적 내용이 수록된 학술논문까지 별도로 검색해야만 그 생명체에 관한 포괄적이고도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연구자에게 불편함과 함께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해 연구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검색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분석하고, 그중 스키마 통합을 선택하였다. 또한 스키마 통합을 위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분석하고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Mediated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생명정보 검색시스템(BIRS, Biologic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의 연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산림에서 분리한 외생균근균의 균사생장에 있어 배지, 온도, pH의 영향과 셀룰라아제 활성 (Effects of Medium, Temperature and pH on Mycelial Growth and Cellulase Activity of Ectomycorrhizal Fungi from Korean Forests)

  • 전성민;김민수;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1-203
    • /
    • 2012
  • 우리나라 산림에서 수집한 외생균근균 8종 27개 균주에 대한 균사 생장 특성을 다양한 배양 조건(배지, 온도, pH)에서 조사하였다. 60일 배양 후, 모든 균주는 PDA와 MMN 배지에서 생장하였으나, 송이를 포함한 일부 균주들은 MEA나 SDA 배지에서 전혀 생장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균주들을 PDA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에 저온($10^{\circ}C$)보다 고온($30^{\circ}C$)에서 균사 생장이 저조하였다. 또한 PDA 배지 상에서의 최적 생장온도는 $20-25^{\circ}C$, PDB 배지 내 균사 생장을 위한 최적 pH는 4-5로 나타났다. Carboxymethyl cellulose(CMC) 활성은 모든 시험 균주에서 나타났으며, CMC(pH 5.0) 한천배지 상에서 최대의 셀룰라아제 활성을 나타낸 균주는 송이(1266)였다.

Panellus edulis 수집 균주의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분석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Analysis of Panellus edulis Strains Collected in Korea)

  • 우성이;유림;장영선;박영애;정연석;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1-294
    • /
    • 2018
  • 국내에서 참부채버섯(Panellus serotinus)으로 수집한 8균주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부채버섯이 아닌 Panellus edulis로 나타났다. Universal Fungal PCR Fingerprinting (UFPF) 분석결과 P. edulis 8균주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눠졌다. 우리나라 산림에 서식하는 8개 균주의 배양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균사의 성장과 효소 활성에 대한 기초특성 연구를 수행했다. 모든 균주는 21일 동안 3종류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생장이 적합한 배지는 malt extract agar (MEA), Sabouraud dextrose agar (SDA) 배지보다 potato dextrose agar (PDA)로, 빠른 균사 생장 및 균사 밀도를 보였다. P. edulis 균주의 균사 생육 조건은 PDA에서는 $20^{\circ}C$, potato dextrose broth (PDB)에서는 $25^{\circ}C$가 선발되었으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수소이온 농도가 PDB는 pH 5~8로 이때 균사생장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균주(NIFoS 2792, 2804)는 PDA의 균사 생장 및 밀도를 기준으로 우수한 균주로 선정되었다.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와 라카아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NIFoS 2407과 2805는 다른 균주보다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라카아제 활성은 NIFoS 2387이었고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를 생산하였다. 톱밥 종류별 시험에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다른 톱밥에서보다 좋았고 균사 밀도도 가장 양호하였다. 버섯의 톱밥재배는 $23^{\circ}C$에서 균 접종 후 80~85일간 배양하였고, 원기형성 온도는 $17{\sim}18^{\circ}C$에서 10~11일간, 자실체 생육은 15~20일간 수행하였다. 버섯 재배 결과, 배양기간과 수량 면에서 NIFoS 2804, NIFoS 3993 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P. edulis의 인공재배를 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lternaria alternata에 의한 들깨 잎마름병 (Leaf Blight of Perilla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 차외진;김철승;송주희;김현주;이영병;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08-714
    • /
    • 2002
  • 최근 들깨잎 주산지인 부산시 강동지역과 경남 밀양지역 하우스내의 들깨잎에 가장자리가 검게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띄는 병해가 발생되고, 심하면 잎 전체가 고사하는 병이 발생되었다. 이런 병반으로부터 병원성이 강하고 분생포자 형성이 많은 SD1 균주를 분리하여 병원균의 형태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DA 평판배지에서 $25^{\circ}C$, 암조건으로 배양할 경우 균사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분생포자 형성량은 V8A 평판배지에서 가장 많았다. 또한 SD1 균주의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 분생포자 형성 적온은 3$0^{\circ}C$였으며, 분생포자 현탁액에 첨가한 영양원에 따른 분생포자 발아율과 발아관의 신장은 10% 토마토쥬스에서 가장 양호하였는데 24시간 후 발아율은 거의 100%였으며, 36시간 후 발아관 길이는 535.2$\mu\textrm{m}$로 PDB보다 1.4배정도 길었다. 또한 SD1 균주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10% 토마토쥬스를 첨가한 분생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할 경우 자연 발병된 병징과 동일하였으며 발병율도 100%로서 PDB 분생포자 현탁액에서는 60%, 살균수에서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 본 균주는 균총 형태와 색깔,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형태적 특성과 몇 가지 배지 등을 이용한 배양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에 따라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으며, 들깨 잎마름병으로 명명하였다.

Flavone 유도체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화 반응에서 Hydroxyl 치환기들의 역할 (The Roles of Hydroxyl Substituents in Tyrosinase Inhibitory Activation of Flavone Analogues)

  • 박준호;성낙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56-62
    • /
    • 2011
  • Tyrosinase 저해활성화 반응에 대한 polyhydroxy 치환된 flavone 유도체(1-25) 중, hydroxyl-치환기($R_1-R_9$)들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하여 Free-Wilson 분석과 tyrosinase (PDB ID: Deoxyform (2ZMX) 및 Oxy-form; 1WX2)의 활성화 지점에 대한 분자도킹이 연구되었다. Free-Wilson 분석으로부터 $R_1-R_9$ 치환기중에서 $R_1$=hydroxyl 치환기가 tyrosinase 저해활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았다. 기질분자의 hydroxyl 치환기들과 tyrosinase의 반응점 내 아미노산 잔기들 사이의 수소결합들은 안정한 기질-수용체 착 화합물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수소결합성에 기초한 비경쟁적 저해활성화 반응은 기질분자의 hydroxyl 치환기들과 tyrosinase의 반응점 내 peroxide 산소원자(Per404) 사이의 수소결합을 경유하여 일어날 것임을 제안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을 위한 Pseudomonas sp. P7014으로부터 옥신 확인 (Identification of Auxin from Pseudomonas sp. P7014 for the Rapid Growth of Pleurotus eryngii Mycelium)

  • 강영민;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21
    • /
    • 2014
  • Pseudomonas sp. P7014 박테리아를 통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부터 분리한 ethyl acetate 분획물(F5)에는 성장촉진물질(GPC)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 HPLC, NMR 및 MS/MS분석법으로 확인한 바, indole acetic acid (IAA)로 확인되었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는 성장촉진물질(GPC)이 첨가된 PDA와 PDB 배지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다. 성장촉진물질(GPC)의 농도는 1.0 nM로 매우 낮았지만, 확인된 tryptophan은 IAA의 전구체로써 IAA가 아민화된 형태였다. 이들 결과는 박테리아에서 분비된 성장촉진물질(GPC)은 IAA이었고 큰느타리버섯 균사체의 생육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pergillus sp. HCLF-4에 의해 생성되는 세균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l Cell Wall Lytic Enzyme Produced by Aspergillus sp. HCLF-4)

  • 임진하;민병례;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5-20
    • /
    • 2001
  • Aspergillus sp. HCLF-4가 생성하는 세균 세포벽 분해효소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 세포벽 분해 효소는 Anabaena cylindrica 세포벽 분해능을 보였다. 이 세포벽 분해 효소는 Aspergillus sp. HCLF-4를 기질성분으로 0.05% heat killed Micrococcus luteus가 포함된 PDB 배지에 키웠을 때 생성되는 inducible enzyme으로 분자량은 약 14.3 kDa 이었다. 본 세포벽 분해효소는 pH 3.0-4.0, 온도 $30^{\circ}C$ 조건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고 $Mg^{2+}$와, $Mn^{2+}$의 2가 이온에서 분해 효소의 활성이 촉진되었다. 반면, 1가 양이온 $Na^{+}$$Li^{+}$, 2강 양이온 $Ca^{2+}$$Cu^{2+}$, 3가 양이온 $Fe^{3+}$에서는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EDTA와 PMSF 또한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 시켰다. 이 효소는 N-acetylmuramyl-L-amidase 또는 endopeptidase와 같은 활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