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BSID-II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159초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의 비교 분석 (Assess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test (KICDT) and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II (K-BSID-II))

  • 김지훈;염미선;정수진;고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72-777
    • /
    • 2009
  • 목 적 : 발달 지연이 있는 환아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K-BSID-II를 병행하여 서로 간의 상관 관계와 일치도를 분석함으로써 유사한 발달 영역에서 동일한 판정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 아산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월령 42개월 이하의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및 K-BSID-II를 시행하였다. 월령별로 12개월 이하와 13-24, 25-42개월 대상자로, 기질적 뇌병변이 두부 자기 공명 단층 촬영에 의해 확인되었던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결과와 K-BSID-II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SAS를 사용하여 급내 상관 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상관 관계 면에서 K-BSID-II의 인지 척도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의 전 영역과, 동작 척도는 조대 운동, 개인-사회성, 언어, 인지-적응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P<0.01). 일치도 면에서 K-BSID-II의 인지 척도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의 조대 운동, 미세운동, 언어 영역과, 동작 척도는 조대 운동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P<0.05). 결 론 : 발달 지연이 있는 환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는 조대 운동을 비롯한 여러 하위 영역에서 K-BSID-II와 유의한 상관 관계 및 일치도를 보였으며 한국 영유아의 발달 정도를 파악하는 비교적 정확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수행의 안정성: 종단 연구 (The Stability of K-BSID-II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 박혜원;신민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3-112
    • /
    • 2006
  • This study followed the standardization study pool of K-BSID-II to examine the stability of K-BSID-II. One hundred and ninety five infants aged from 1-42 months tested twice with intervals of 5-16 month between tests. All participants had been full-term babies without any medical complic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ich were divided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mothers' education, infants' birth order and gender. The stability of K-BSID-II was significant and that of the mental scale was lower than that of the psycho-motor scale: There were high stabilities between raw scores in two sessions(r=.91 for the mental scale and r=.89 for the psycho-motor scale) but there were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s between mental index scores(r=.18, p<.05) and psycho-motor index scores(r=.17, p<.05). The stability was increased with initial test age and mothers' education. It was recommended for testers and researchers to use both raw scores and index scores for better interpretations in future research.

정상 영아 및 장애 위험 영아의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K-BSID-II) 수행 비교 : 3년 종단자료분석 (K-BSID-II Performance in Normal and High Risk Infants : A Three Year Longitudinal Data Analysis)

  • 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3-166
    • /
    • 2006
  • Stability of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II was tested in 305 infants by two measurements of varying intervals over a span of 5-36 months. Stability of K-BSID-II performance was r=.62(p<.01), r=.08(p<.18), r=.69(p<.01), r=.18(p<.01) for mental scale raw scores, mental scale index scores (MDI), psycho-motor scale raw scores and psycho-motor scale index scores(PDI), respectively. Stability was higher for the shorter test-retest interval group. Correlations between raw scores among infants with retest intervals of more than 2 years were stable on both mental and psycho-motor scales. MDI showed higher stability among high-risk infants than normal infants while PDI showed higher stability among normal infants. Testers and researchers should use both raw scores and index scores for better interpretations.

  • PDF

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 스트레스와 K-BSID-II 수행간의 관계 : 양육 스트레스의 중재효과 탐색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erformance on the K-BSID-II :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 김말경;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43-255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fant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Subjects were 30 infants and their mothers. After videotaping the mother-infant free play session, maternal parenting was analyzed by the Parent Child Interaction Play Assessment(Mash & Terdal, 1981);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Infant development was measured individually by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K-BSID-II).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infant cognitive developmen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ttention) but the relation between them was moderated by maternal parenting stress; only the low parenting stress grou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 PDF

발달문제 위험 아동 선별을 위한 한국형 Denver II 검사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nver II in Screen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isk)

  • 신희선;권범선;임성오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316-32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Korean Denver ll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 screen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isk.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13 children referred for developmental assessment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of D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examined with the BSI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and Korean Denver II by one occupational therapist. The data was analyzed by $x^2$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al Developmental Index (MDI) of the BSID II and the result of the Korean Denver II.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Korean Denver II were 0.87 and 0.62 when abnormal MDI was defined as lower than 85 was used as a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DI) of the BSID ll and the result 0.7 Korean Denver l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Korean Denver II were 0.83 and 0.51 The over-all hit ratio was $79.6\%$.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Korean Denver II was valid and has good sensitivity and moderate specificity in screening developmental delay.

  • PDF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Bayley-III)의 미국 규준 적용의 문제: 미숙아 집단을 대상으로 (The Clinical Utility of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III - Focusing on using of the US norm -)

  • 임유진;방희정;이순행
    • 한국심리학회지ㆍ일반
    • /
    • 제36권1호
    • /
    • pp.81-107
    • /
    • 2017
  •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3판(Bayley-III)의 미국 규준이 영유아의 발달수행을 과대추정하고 발달지연율을 과소추정 한다는 논란이 있어서, 본 연구는 발달지연의 고위험군인 미숙아를 대상으로 미국 규준 적용시 Bayley-III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생후 1개월부터 24개월(교정원령)의 미숙아(재태기간 37주 미만)와 만삭아 93명을 대상으로 Bayley-III와 한국형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2판(K-BSID-I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아/만삭아 각 93명을 대상으로 혼합설계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태기간(경증미숙아, 중증미숙아, 극중증미숙아, 만삭아)에 따른 Bayley-III의 발달지수 및 척도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증미숙아 집단 내에서는 발달영역(인지, 언어, 운동)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둘째, Bayley-III와 K-BSID-II을 모두 실시한 미숙아(n=79)를 대상으로 환산점수 평균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Bayley-III의 발달지수는 K-BSID-II의 발달지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달지연률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OC 분석을 통해 발달지연 변별에 대한 Bayley-III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하고 Bayley-III의 임상적 절단점을 탐색한 결과, Bayley-III의 하위 척도 모두 우수한 수준의 변별정확도를 나타냈으나, 미국 규준 적용시 절단점은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국 규준을 사용하여 Bayley-III를 임상 현장에 적용할 때 점수 해석의 주의를 알리는 실증적인 자료로서, 한국 규준 마련시 표집 문제와 관련된 논의를 제공하였다.

ASQ :소아과외래에서의 발달지연 선별검사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creening for developmental delay in the setting of a pediatric outpatient clinic)

  • 김은영;성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61-1066
    • /
    • 2007
  • 목 적 : 소아의 발달 장애는 조기에 발견하면 조기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치료 효과가 높아지고 후유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달 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해 오던 정식 발달 선별검사는 대부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하며, 의료인력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바쁜 소아과 외래에서 모든 소아에게 적용하기는 어렵다. 기존의 발달검사 대신에 부모가 작성한 내용을 토대로 평가하는 발달 설문 양식들 중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ASQ)는 60개월 이전의 소아의 발달 선별을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과 외래에서 시행하는 발달 지연의 선별 도구로서 ASQ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소아의 부모에게 진료 전 대기 시간 동안 한국형 ASQ (K-ASQ)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완성한 총 150명 중 만삭 출생아이며 이전에 발달지연의 진단을 받은 적이 없고, 기타 선천성 기형, 경련성 질환을 포함한 신경학적 이상, 유전성 질환의 경력이 없는 소아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K-ASQ는 각 영역별로 평균에서 2 표준편차(SD) 아래 점수보다 낮으면 "실패"로 판정하며, 한 발달 분야 이상에서 "실패"가 있는 경우를 "선별검사 양성"으로 하였다. 최종 발달평가는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BSID-II)를 사용하여 판단하였으며, 지능 혹은 운동발달 지수가 평균보다 -1 SD 미만인 경우는 발달지연으로 판정하였다. K-ASQ의 결과를 BSID-II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대상아의 평균 연령은 $16.4{\pm}7.4$개월($6{\pm}30$개월 범위, 중앙치 14개월)이었다. 10명(14.9%)은 출생 시 부당경량아였으며, 평균 출생체중 $3.1{\pm}0.6kg$, 재태기간 $38.8{\pm}1.4$주이었다. 9명(13.4%)이 쌍생아였고, 33명(49.0%)이 남아였다. 대상 소아들의 모친의 평균 교육 기간은 $13.6{\pm}2.4$년, 53명(79.1%)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졌고, 21명(31.3%)이 정규직 근무자였다. ASQ 설문지를 완성하는데 평균 $10.2{\pm}3.0$분이 소요되었다. (2) 17명(25.4%)이 ASQ 선별검사 양성이었는데, 그 중 4명은 발달이 지연되었고, 나머지 13명의 발달은 정상이었다. BSID-II로 판정한 발달 지연아 8명 중 4명은 ASQ 선별검사에서 양성이었고, 다른 4명은 선별검사 음성이었다. ASQ 선별검사 음성인 50명 중 4명이 발달지연으로 판단되었다. (3) BSID-II와 비교한 K-ASQ의 민감도(sensitivity)는 50.0%, 특이도(specificity) 78.0%, 양성 예측치 (positive predictive value) 23.5%, 음성 예측치(negative predictive value)는 92.0%로 나타났다. 결 론 : K-ASQ는 높은 음성 예측치를 보여 소아과 외래에서 소아 발달 지연의 선별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olerability and Effect of Early High-Dose Amino Acid Administr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Choi, Jin Wha;Kim, Jisook;Ahn, So Yoon;Chang, Yun Sil;Park, Won Soon;Sung, Se In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53-16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olerability and effect of early high-dose amino acid administr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ELBWI (birth weight <1,000 g, n=142). Biochemical, nutritional, and neurodevelopmental data were compared between infants who received conventional low amino acid (LAA; 1.5 g/kg/day) and those who received high amino acid (HAA; 3 g/kg/day) within the first 48 hours after birth. Neurodevelopmental data included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at discharge, 12 to 14 and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and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I (K-BSID-II) score at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Results: The HAA group demonstrated higher peak plasma albumin ($3.0{\pm}0.4$ vs. $3.2{\pm}0.5$, P<0.05) and lower serum creatinine ($1.7{\pm}0.9$ vs. $1.4{\pm}0.8$, P<0.05) during the first 14 days than the LAA group. Full enteral feeding was achieved significantly earlier in infants in the HAA group than in infants in the LAA group ($46.2{\pm}23.0days$ vs. $34.3{\pm}21days$, P<0.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z score changes in all growth indicators from birth to discharge and at 12 to 14 and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as well as in the K-BSID-II score at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Conclusion: Aggressive administration of amino acids during the first 2 days of life in ELBWI was well tolerated and correlated with earlier full enteral feeding, but did not improve growth and neurodevelopment.

가정문해활동,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어머니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언어·인지 발달간의 관계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Mothers' Verbal Behavior, and Toddler-mother Joint Attention : The Relationship to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 김명순;한찬희;유지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9-213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mothers' verbal behavior, toddler-mother joint attention and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was assessed by means of the Mental Scale from the Korean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I (K-BSID-II). The home literacy activities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used by You (2009), which was partly modified from Shapiro (1979). Lee & Kim (2004)'s categories was used to observe the mothers' verbal behaviors during shared book reading; joint attention episodes were observ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for engagement condition (Bakeman & Adamson, 1984). One of the more important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our suggestion that mothers' verbal behaviors and the toddler-mother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of toddlers as it takes place within low-incom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