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지표

Search Result 8,22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Feed-in Tariffs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 Cho, Ki-Seon;Rh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85-487
    • /
    • 2008
  •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2002년도부터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시행성과의 평가기준으로서의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제안한 성과지표는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정량(계량)지표와 정성(비계량)지표로 구분하고, 사업시행절차에 따른 투입, 과정, 산출, 그리고 결과지표로 구분하여 성과지표를 구성하였으며, 유관기관별 성과지표의 정보공유체계를 제안하였다.

  • PDF

A Novel Cluster Validation Index (새로운 클러스터 평가 지표)

  • Seo Suk. T.;Son Seo. H.;Lee In. G.;Jeong Hye. C.;Kwon Soon.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71-174
    • /
    • 2005
  • 기존의 클러스터 평가 지표(cluster validation index)는 클러스터의 개수가 커질수록 클러스터 평가 지표 값이 단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클러스터 평가 지표가 본 논문 저자중의 하나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over-clustering의 단점 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평가 지표 값이 단조 감소 및 over-clustering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클러스터 평가 지표를 제안하고, 여러 가지 예제를 통하여 새롭게 제안된 평가 지표의 타당성을 보인다.

  • PDF

A Study for Refining the National Information Indicators (국가 정보화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 Jee, K.Y.;Kang, S.W.;Kim, J.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2 s.56
    • /
    • pp.14-25
    • /
    • 1999
  • 정보화지표는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국가 전체 또는 어느 한 부분의 정보화 수준을 측정하여 함축적인 지수로 나타나게 해주며, 그 활용이 매우 편리하여 널리 이용되는 분석방법 중의 하나이다. 정보화지표의 설정모형에 따라 국가 정보화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책의 결정도 변화될 수 있어, 합리적인 정보화지표의 설정은 그만큼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국가 정보화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현실에 부합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최근 정보화 진전 및 변화된 환경을 고려하여 정보화지표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정보화지표 체계를 확립하고 측정항목별 지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세 가지 지표, 즉 정보화설비지표, 정보화이용지표, 그리고 정보화지원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6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였다. 즉, 정보기반구조, 정보통신기기산업, 기초정보이용, 고도정보이용, 정보화 연구개발투자, 정보인력지표로 세분화하여 각 부문의 정보화 수준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그룹별로 현실성 및 실제 적용가능성 측면을 고려하여 총 28개의 정보화측정지표를 설정하였다.

Characteristics of Subsidence above a Shallow Tunnel Excavated in Weathered Rock Mass (풍화암반 저심도 터널 굴착 중 발생한 지표침하의 특성)

  • Kim, Chee-Hwa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3 no.5
    • /
    • pp.337-346
    • /
    • 2013
  • The characteristics of subsidence above a shallow tunnel excavated in weathered rock mass is analyzed. The tunnel is excavated minimum about 11m beneath some buildings and the width of the tunnel is 11m, too. Subsidence pins are installed at 23 locations on surface along the tunnel, 180m long, adjacent to the buildings. Subsidences are measured for about 2 years and they are optimized to analyze three dimensional deformed ground surface, trough width parameter K and sectional volume loss of unit tunnel length Vs of the surface deformation profile.

Pitching grade index in Korean pro-baseball (한국프로야구에서의 투수평가지표)

  • Lee, Jang Tae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3
    • /
    • pp.485-492
    • /
    • 2014
  • In baseball, the traditional measure of pitchers are wins and ERA. But these statistics are influenced by luck or team power. So sabermetrician proposes a number of indicators that predict future performance. We determine a new measure, which we call pitching grade index (PGI) that efficiently summarizes a pitcher's performance on a numerical scale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e PGI statistic can often be useful to assessing a pitcher's individual contribution. Also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re used for segmentation of players into groups.

An Effect of Aggregation of Point Features to Areal Units on K-Index (점사상의 지역단위 집계가 K-지표에 미치는 영향)

  • Lee B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1
    • /
    • pp.131-138
    • /
    • 2006
  • Recently, data gathering and algorithm developing are in progress for the GIS application using point feature. Several researches prove that verification of the spatial clustering and evaluation of inter-dependencies between event and control are possible.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oint features as GIS data are gathered by indirect method, such as address geo-coding, rather than by direct method, such as field surveying. Futhermore, lots of statistics by administrative district based on the point features have no coordinates information of the points. In this study, calculating the K-index in GIS environ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aggregation of raw data on K-index, K-indices estimated from raw data (parcel unit), topographically aggregated data (block unit), administratively aggregated data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are compared and evaluated. As a result, point feature, highly clustered in local area, is largely distorted when aggregated administratively. But, the K-indices of topographically aggregated data is very similar to the K-indices of raw dat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Research Libraries (전문도서관 운영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 Kim, Sang-Jun;Hwang, Jae-Young;Park, Kay-Sook;Choi, Ho-Nam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4
    • /
    • pp.97-120
    • /
    • 2008
  • Evaluation indicators reflecting recent digital environments are needed as a tool to increase research library's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Especially, research libraries have different subject backgrounds and there are many one-person librar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new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the draft indicators made in 2007 considering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so that it may be used easily and applicable to various research libraries. In developing the new indicators, we reviewed other library type's indicators and listened carefully to the comments from expert librarians in the research libraries through several meetings. After developing the indicators, we made a survey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and also made a test evaluation for research libraries. The proposed indicators will contribute in evaluating the current level of Korean research libraries and promoting them to the future-oriented libraries.

Suggestion of Method to Classify Moisture or Dryness Condition from Moisture Index Obtained by NDVI (NDVI를 이용한 습윤지표를 기준으로 습윤 및 건조상황의 분류 방법 제안)

  • Kim, Joo-Cheol;Shin, Sha-Chul;Lee, Sang-Jin;Hwang, Man-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4
    • /
    • pp.84-94
    • /
    • 2009
  • Moisture Index time series derived from NOAA/AVHRR data have showed to be useful for humid and arid states. The humid/arid states of the Geum river basin are classified by means of the moisture index estimated from the climatic water budget model. Validations showed that the moisture index has excellent ability to detect humid/arid conditions and to measure time of its onset, intensity and duration. In this study, a simple method to classify the moisture index is proposed by statistical distribution condition. Also, the moisture index is compared with the regional actual state to detect drought area.

  • PDF

The Surface Temperature Environment Analysis after Cheonggye Stream Reconstruction using RS/GIS (RS/GIS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에 따른 지표 열 환경 분석)

  • Jo, Myung-Hee;Kim, Sung-Jae;Jo, Youn-Won;Kim,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20-325
    • /
    • 2007
  • 인간의 보다 질 높은 생활관을 추구하기 위하여 친 환경적인 산업개발 및 환경 복원 사업에 대한 노력이 최근 들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청계천을 대상으로 청계천 복원 전과 복원후의 지표 열 분포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청계천 복원 전${\cdot}$후의 지표 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지표온도와 현지 관측 자료인 AWS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지표온도와 대기온도 차를 도출하였다. ASTER 영상 열적외센서(TIR) 와 GIS 를 활용하여 도시 지표면의 온도를 추출하고, AWS 기 상관측자료와의 상관성 분석 함으로써 도심의 지역적 인 지표 열 패턴과 국지적인 기후연구에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election Methodology for SLA Evaluation Factors with End-user Perspective (사용자 중심의 SLA 지표 선정 방법론)

  • Park, Chul-Han;Kim, Sang-Soo;In, H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95-498
    • /
    • 2006
  • IT 서비스의 안정적인 공급과 IT 서비스의 품질 개선을 이루고자 하는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대해 많은 연구와 시도가 지금까지 진행되어 왔다. SLA 시행에 있어서 측정 지표와 그 평가 기준 선정은 매우 중요하나, 대부분 SLA 측정 지표들은 기술관점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SLA 시행 결과가 사용자 중심이 아닌 서비스 제공자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불만족을 초래하고 서비스 제공자와의 의사 소통을 어렵게 만들고, 결국 SLA 도입 실패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SLA 측정 지표들에서, 사용자 중심의 SLA 측정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항목들을 BSC 의 인과관계모델을 통해 추출하고, AHP 기법을 통해 SLA 평가 기준들과 측정 지표들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관점의 SLA 지표 선정 방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