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glans mandshurica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Anti-Human Immunodeficiency Virus-Type 1 Activity of Constituents from Juglans mandshurica

  • Min, Byung-Sun;Lee, Hyeong-Kyu;Lee, Sang-Myung;Kim, Young-Ho;Bae, Ki-Hwan;Otake, Toru;Nakamura, Norio;Hattori, Masa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41-445
    • /
    • 2002
  • Three naphthalene glycosides (1-3), four flavonoids (4-7), and two galloyl glycosides (8-9) were isolated from the stem-bark of Juglans mandshurica (Juglandaceae).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al means, including to 2D-NMR (COSY, HMQC, and HMBC) experiments. Amongst the isolated compounds, taxifolin (4) showed the most potent HIV-induced cytopethic activity against MT-4 cells with complete inhibitory concentration ($IC_{100}$) value of $25{\;}{\mu\textrm{g}}/ml$ and maximum cytotoxic concentration ($CC_{100}$) value of above $100{\;}{\mu\textrm{g}}/ml$. However, naphthalene glycosides (1-3), flavonoids (5-7)), and galloyl tannins (8-9) were inactive against anti-HIV-1 activity.

가래나무 수액의 당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연구 (Studies on the Sugar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Sap from Juglans mandshurica Maxim.)

  • 김대욱;최미나;이민성;정회석;변준기;김영수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2-266
    • /
    • 2018
  • 우리나라토종호두나무인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의 수액의 유리당 함량은 약 3%로 다른 나무 수액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미량 원소 중에는 Ca이 30 mg/kg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래나무 수액 $200{\mu}g/ml$에서 elastase 저해 활성이 약 30% 정도를 보이고 있고 HaCaT 세포를 이용한 피부보습 효과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한 HaCaT세포의 aquaporin 3 유전자와 hyaluronan synthase 2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켜 hyaluronic acid의 생합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래나무 수액의 피부 노화 방지 효능을 최초로 규명하였고 이는 가래나무 수액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결과라 사료된다. 다만 물질 분석과 in-vivo 시험, 임상 연구 등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적 숲관리와 조림 문제1-조림지와 천연림에서 가래나무의 직경생장 비교-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nd Reforestation Problem -Comparison of Diameter Increment of Juglans mandshurica between Artificial and Natural forest-)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9-315
    • /
    • 2004
  • 이 연구는 가래나무의 조림에 대한 성적평가와 개선대책을 마련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가래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물푸레나무와 가래나무가 많은 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9년까지의 직경생장에 가래나무 임분기원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천연림의 가래나무의 연평균직경성장량은 7.31mm/year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맹아림에서는 6.93mm/year, 조림지 에서는 5.28mm/year로 최소값을 보였다. 조림한 가래나무의 초기의 직경생장이 맹아갱신된 나무나 천연생의 나무보다 지극히 낮다는 것은 가래나무 나근묘의 식재는 성적이 매우 불량함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래나무림 갱신에서는 맹아, 천연하종, 직파조림 등의 다른 갱신법들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가래나무 수피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Bark of Juglans mandshurica)

  • 김진규;사전령;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51-60
    • /
    • 2006
  • 가래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고 3.2 kg을 아세톤-물(7:3, v/v) 혼합용액으로 추출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사용하여 네 개로 분획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 분획물에 대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로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anol 화합물인 pinobanksin, taxifolin 및 ampelopsin, flavonol 화합물인 kaempferol, quercetin 및 myricetin 과 flavone glycoside 화합물인 afzelin, astragalin, quercitrin, isoquercitrin 및 myricitrin을 단리하였으며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DNA Topoisomerases I and II Inhibitory Activity of Constituents Isolated from Juglans mandshurica

  • Li, Gao;Lee, Sun-Young;Lee, Kyeung-Seon;Lee, Sung-Won;Kim, Sang-Hyun;Lee, Seung-Ho;Lee, Chong-Soon;Woo, Mi-Hee;Son, Jong-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6호
    • /
    • pp.466-470
    • /
    • 2003
  • Nine diarylheptanoids (1-9), one triterpene (10), one sesquiterpenoid (11), one naphthoquinone (12), four tetralones (13-16), one naphthalene carboxylic acid glucoside (17) and six naphthalenyl glycosides (18-23)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Juglandaceae), and their structures determined from the chemical and spectral data. Here, we report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DNA topoisomerases I and II activities, of all these compounds. Compounds 10 and 23 showed mor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DNA topoisomerases I and II (94.0 and 86.0% inhibitions at the concentration of 5 $\mu$ g/mL, respectively), than the positive control compounds, camptothecin and etoposide.

Three New Diarylheptanoids from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 Li , Gao;Xu, Ming-Lu;Kim, Jae-Hyon;Seo, Chang-Seob;Kim, Hyo-Jin;Lee, Chong-Soon;Hee, Woo-Mi;Son, Jong-Ke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0.4-371
    • /
    • 2002
  • The roots of Juglans mandshurica Maximowicz (Juglandaceae) have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reatment of cancer in Korea. Several naphthoquinones and naphthalenyl glucosides from Juglans species have been reported (1-7). In the course of isolating cytotoxic compounds from the roots of this plant. we have isolated six naphthalene glycosides. four tetralone, one naphthalene carboxylic acid glucoside and nine diarylheptanoids (8-13). (omitted)

  • PDF

Secondary Metabolites with Anti-complementary Activity from the Stem Barks of Juglans mandshurica Maxim

  • Li, Zi-Jiang;Chen, Shilin;Yang, Xiang-Hao;Wang, Rui;Min, Hee-Jeong;Wu, Lei;Si, Chuan-Li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18-124
    • /
    • 2018
  • Juglans mandshurica is a fast growing hard species, which is a tree in family of Juglandaceae and has a wide distribution in China, Korea and eastern Russia. Plant materials from J. mandshurica have extensively been used in folk medicines to prevent or cure gastric, esophageal, lung and cardiac cancer. As one chain of our searching for anticomplementary agents from natural sources, two epimeric ellagitannins, [2,3-O-4,4',5,5',6,6',-hexahydroxydiphenoyl (HHDP))-(${\alpha},{\beta}$)-D-glucose] (I) and pedunculagin (II) were purified from 70% acetone extracts of the stem barks of J. mandshurica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pproaches.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MS, NMR, and a careful comparation with published literatures. The epimeric ellagitannins I and II exhibited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a classical pathway of complementary system with 50 % inhibitory concentrations ($IC_{50}$) values of 65.3 and $47.7{\mu}M$, respectively, comparing with riliroside ($IC_{50}=104{\mu}M$) and rosmarinic acid ($IC_{50}=182{\mu}M$), which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s. Thus, the work indicated both the two secondary metabolites possess excellent inhibitory activity and might be developed as potential anticomplementary chemicals.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톱밥의 첨가량이 느타리버섯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Yields of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on addition rate of Juglans mandshurica sawdust)

  • 이찬중;정종천;전창성;문지원;공원식;서장선;박기춘;신유수;이정훈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9-225
    • /
    • 2013
  • 국내에서 자생하는 가래나무 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여 기능성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래나무 톱밥의 수분함량은 4.4%였고, pH는 4.5였다. 총 질소함량은 0.21%였고, 총 탄소함량은 46.0%였으며, C/N율은 219였다. 혼합배지의 pH는 접종전 5.0에서 수확 후 5.6~5.8로 약간 높았으며, 총 질소함량은 수확 후배지에서 증가하였지만, 총 탄소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C/N율은 수확후배지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인 CaO, MgO, $Na_2O$ 함량은 접종전보다 수확후배지에서 높았고, $K_2O$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으나, $P_2O_5$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균사생육은 가래나무 톱밥이 20% 첨가된 배지에서 빠르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육은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가래나무 톱밥 10% 첨가시 163 g/850 mL으로 가장 높았다. 갓의 직경과 두께는 가래나무 톱밥 10% 첨가시 가장 높았으며, 갓의 두께와 대의 굵기는 가래나무 톱밥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대의 경도는 가래나무 톱밥 20% 첨가시 가장 높았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L값은 가래나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P_2O_5$, K2O의 함량은 가래나무 톱밥 첨가에서 증가하였지만, CaO, MgO, $Na_2O$ 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Cu의 함량은 가래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Fe, Mn, Z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Carpathian 호도(胡桃)나무의 종간품종간접목(種間品種間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eteroplastic Grafting of Carpathian Walnut)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95-108
    • /
    • 1984
  • 호도(胡挑)나무는 Nut와 Timber겸용생산 유실수(有實樹)이나 일정(一定)한 생육조건(生育條件)을 요구(要求)하므로 비교적(比較的) 분포(分布) Range가 넓은 Juglans mandshurica와 Juglans nigra를 태목(台木)으로 하고 $N40^{\circ}$ 최저(最低)$-35{\sim}-40^{\circ}C$에 재배(栽培)가 안정(安定)한 Carpathian Walnut 내한성품종(耐寒性品種) 5개(個)와 $12-15^{\circ}C$의 온난(溫暖)한데 재배(栽培)가 잘되는 Persian Walnut을 접수(接穗)로 하여 종간(種間) 및 품종간접목(品種間接木)을, 시행(施行)하여 대형온실내(大型溫室內)에 완전목동화(完全木動化)된 환경조절온실내(環境調節溫室內)에서 온도(溫度)는 $28^{\circ}C$, 습도(濕度)는 85~100%로 하여 Modified cleft grafting방법(方法)을 채택(採擇)하고 1981~1983년(年) 사이에 3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온실접목(溫室接木)을 실시(實施)하였는 바 동종간접목(同種間接木)보다 이종간접목활착율(異種間接木活着率)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99.33%~100%의 활착율(活着率)을 보였고 상기(上記)한 4개수종(個樹種)과 Juglans sinensis를 통(通)한 5개수종간(個樹種間)의 Heteroplatic 및 Homoplast grafting에서 태목(台木)은 5%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나 접수(接穗)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즉(卽) J. mandshurica와 J. nigra와 같이 태목(台木)의 활력(活力)이 강하면 이종간접목(異種間接木)이 잘되고 또한 접목유합속도(接木癒合速度)가 빠르고 접목묘(接木苗)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고 접목(接木)의 친화력(親和力)이 높아서 Carpathian과 Persian Walnut과의 종간접목(種間接木)으로 이들 태목(台木)과 접수품종(接穗品種)의 특성(特性)을 합성(合成)한 것과 같은 내한성(耐寒性) 내난성(耐暖性)을 보강(補强)시켜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에 국한재배(局限栽培)되고 있는 호도(胡挑)나무산업(産業)을 우리나라 북부(北部)와 남부지방(南部地方)까지 확대재배화(擴大栽培化)의 기틀이 마련되는 종간접목(種間接木)에 의(依)한 "양친형질합성(兩親形質合成)" 효과(效果)로 품종개량(品種改良)에도 유효적(有效的)이라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