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bak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주박을 첨가한 브라운 소스의 관능적 특성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by Adding Different Ratios of Jubak)

  • 이종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1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different ratios of Jubak. In the brown sauce made from Jubak, the followings showed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Jubak. The content of crude lipid increased, that of crude protein and moisture decreased, and that of crude ash and reduced sugar increased. Brown sauce made from Jubak contained more reduced sugar than general brown sauce, and the content of reduced sugar increased. pH increased from initial pH 4.32 to 5.42 respectively, and viscosity increased. The "L" value expressing brightness of samples ha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Jubak added. "a" value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 of no Jubak added, and "b" valu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amount of Jubak. In the sensory evaluation, color and flavor decreased and viscosit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Jubak. Overall, it was the highest in 0% Jubak. From the above results, an addition of 25% Jubak to brown sauce is recommended for commercial use.

  • PDF

주박 첨가가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with Addition of Jubak(Sulchigegie))

  • 원지희;손주아;윤예리;김호종;김계원;노봉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65-570
    • /
    • 200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ubak(Sulchigegi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A pork was cooked in a pot opening the lid with the Jubak for 20 min and then covering the lid without Jubak for 20 min at $100^{\circ}C$. Effect of the added amounts of Jubak on the pork was examin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lectronic nose consisting of six metal oxide sensors. As a pork was cooked with 30g Jubak, ratio of resistance was increased. This condition removed unpleasant smell of pork. Effect of the pork with Jubak is better the end location than middle of pork. Also,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increased as the pork cooking time was increased. In the texture properties,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springness of the pork with 30g Juba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s processed in this study. With sensory evaluation, the pork with 30g Jubak obtained the best score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ork(400g) with 30g Jubak reduces the pork odor, increase the tenderness and improve the flavor and taste of pork.

주박 추출물의 항균활성,항산화 및 SOD 유사활성 효과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 김태영;전태욱;여수환;김상범;김진숙;곽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하였다. 주박의 추출물은 B. subtilis, Staph. aureus, P. aeruginosa 그리고 E. coli 균주에 대해서 모든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두유 유화물을 이용한 주박의 항산화력은 control보다 추출물이 더 높았다. 그리고 주박 추출물의 농도가 200 ppm일때 효과가 있었다. 주박 추출물의 DPPH의 소거능은 80% 이상의 저해 효과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박의 지속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고, 또한 주박을 다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박분말을 첨가한 닭고기 소시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ausage added with Jubak Powder)

  • 이종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97-106
    • /
    • 2024
  • 시료의 조단백질은 CJ4가 가장 높고 조지방, 수분, 회분, pH와 물리적인 특성은 주박분말이 많을수록 높았고 보수력은 낮았다. TBA의 CJ1은 지방산패 진행이 빨라 15일부터 가식할 수 없는 결과였다. 미생물 성장은 CJ1이 빠르게 증식하였고 CJ2, CJ3, CJ4는 15일 이후에도 부패취가 없어 주박분말이 저장성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박분말이 많을수록 L은 낮은 명도 a는 높은 적색 b는 높은 황색을 보였다. 관능검사 CJ1은 Color, Overall CJ2는 Flavor, Taste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주박을 첨가한 소시지의 외부 기호도는 CJ1를 내부 표현인 Overall은 CJ2를 활용한 저장성 연장관련 제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의 이용과 유용생리활성 (Application of the Lees of Domestic Traditional Wine and its Useful Biological Activity)

  • 김미선;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72-1079
    • /
    • 2015
  • 발효 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박은 발효 후 알코올성 발효액을 필터, 원심분리 또는 증류 후에 얻어지는 찌꺼기 및 1차 제조된 제품의 숙성과정 중에 생성되는 찌꺼기를 말한다. 국내 전통주 주박은 식용 원재료와 다양한 약용작물을 첨가하고 이를 누룩으로 발효시켜 제조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생리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탁주 위주의 전통주 시장 성장으로 주박 생산량은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의 폐기물 처리는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전통주 주박의 효율적인 재이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총설에서는 전통주 주박의 산업동향, 연구동향 및 특허동향을 분석하고, 전통주 주박의 유용생리활성물질들을 제시하였다. 전통주 주박은 단순 발효폐기물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식량, 식품첨가물, 비료, 사료, 미생물 배양원, 기능성 식품소재, 향장 및 미용소재의 고부가가치 발효소재 공급원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향후 재처리 기술, 유용물질 회수기술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산학관 연계와 연구가 필요하다.

주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와 Tyrosinase, Xanthine Oxidase, ACE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Extracts)

  • 권상철;전태욱;박정섭;곽준수;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1191-1196
    • /
    • 2012
  • 주박 추출물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tyrosinase와 xanthine oxidase, ACE, 아질산염 소거능을 실험하였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85% 이상이었다. 아질산염의 경우에는 pH 4.2과 pH 6.0보다 pH 1.2가 높았으며, pH 1.2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90% 이상의 소거능을 가지고 있었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매우 낮았고,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에 의해 차이가 없었다. 주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각각 약 43~53%와 36~47%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주박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yrosinase저해, ACE 저해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박은 화장품 원료로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박(酒粕)에서 분리된 다당류의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Jubak in Macrophage Cells)

  • 박우용;성낙윤;변의홍;오광훈;변명우;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1079-1083
    • /
    • 2015
  • 본 연구는 양조과정의 부산물인 주박으로부터 분리한 다당류(JPS)가 초기 면역반응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에서 활성화를 유도하는지에 관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주박에서 분리한 다당류를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에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의 활성화의 지표인 NO와 cytokine(IL-6, 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또한 이러한 NO와 cytokine의 증가의 원인에 관한 면역기전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JPS의 처리는 MAPKs(ERK, JNK, p-38)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NF-${\kappa}B$의 활성을 유도하여 면역세포의 활성인자들의 분비를 촉진시킨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 이수민;이상진;권이영;백상훈;김종식;손호용;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95-17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방 발효주 주박의 피부 생리 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준비하고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한방 발효주 주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KSD E4-3)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양한 약재의 발효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KSD E4-3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SD E4-3은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1, -2, -9의 발현을 억제하여 UV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방 발효주 주박에서 추출한 KSD E4-3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황기 첨가 비율에 따른 황기주박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Cakes Cookies with Different Ratio of Astragalus memvranaceus)

  • 임지민;권혁진;용시은;최지호;이충환;김택중;박필상;최윤희;김은미;박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8
    • /
    • 2013
  • 본 연구는 황기를 이용하여 만든 황기주 주박을 활용하고자 현대인들 입맛에 맞는 쿠키에 적용하였다. 황기 함량이 0, 0.5, 1%인 황기주 주박과 박력분을 2:8의 비율로 쿠키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황기주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pH는 황기의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다소 낮아지고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쿠키의 퍼짐성, 손실율 및 팽창률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주박 첨가 실험군에서 퍼짐성과 손실률이 낮아지고 팽창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부재료인 주박의 수분함량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황기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쿠키의 색도에서 황기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값은 증가하였고, 관능적 특성에서는 황기 0.5%가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황기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증류수 보다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DPPH 전자공여능에서는 황기주박 1%첨가쿠키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로 가장 항산화 활성이 좋은 황기주박의 첨가 비율은 1%였으나 풍미가 중요한 쿠키의 특성상 항산화 활성도 뛰어나고 맛의 기호도가 가장 좋은 황기 0.5% 첨가 주박 쿠키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박을 활용한 펠릿화의 효율적인 방법 연구 (Research of Effective Method for Pellet Using Jubak)

  • 김대년;이중복;김덕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7-247
    • /
    • 2010
  • 본 연구는 주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전분발효 부산물을 펠릿(pellet)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술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박을 펠릿화하고 재생청정에너지인 폐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술을 정제하고 남은 지게미를 주박(酒粕, 술지게미)이라 하고 흔히 부드러운 것을 단단하게 뭉친 알갱이를 펠릿이라 한다. 현재 펠릿화는 폐목재를 분쇄후 성형, 가공하여 목재펠릿을 만들어 상용화하고 있다. 목재펠릿은 성형, 가공하는데 비용이 주박보다 많이 들고 열량도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목재소에서 나온 나무(톱밥)와 주박을 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 나무는 약 1850 Kcal이고 주박은 약 1989 Kcal가 측정되었다. 나무는 일반 목재소 세 곳에서 채취한 것이고 주박은 막걸리, 약주 및 청주의 술지게미를 실험에 사용한다. 주류업체에서도 술을 정제하고 남은 주박을 처리하는데 많은 곤란과 비용이 든다. 또한 주박을 해양에 투척하여 처리해 왔으나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더욱 처리에 곤란을 겪게 된다. 최근 주박을 토양개량제(비료)로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장점은 농산물을 재배해서 주류제조시 발생되는 주박을 펠릿화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남은 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제품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환경으로 방출되는 모든 것을 가능한 한 0(zero)으로 하는 활동인 제로-이미션(zero-emision)이 된다. 이는 단순히 배출량만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이 가장 큰 이점이 된다. 주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박을 종류별로 주박과 목재를 섞는 방법으로 열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열량이 높은 순서로 막걸리 주박과 약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두 번째 막걸리 주박과 청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세 번째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의 비율을 1:1, 1:0.5, 1:0.2로 섞어서 열량을 측정하였다. 열량이 높은 순서는 세 번째(2015Kcal), 두 번째(1995Kcal), 첫 번째(1868Kcal)의 순이었다. 가장 열량이 높은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을 섞은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다. 주박 펠릿의 장점은 친환경적인 소재이고 지속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더욱이 주박 펠릿은 발열량이 높고 다른 바이오매스 원료에 비해 청정하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동화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리하다. 가격면에서 화석연료에 비해 안정적이고 체적 또한 작아 이송의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펠릿의 경우는 목재펠릿이 제품화되어 있지만 주박을 이용하여 제품의 펠릿화를 통한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전 세계 전무한 상태로 폐자원을 재사용하는 효율성이 제시된다. 향후 과제로 주박을 이용한 펠릿 연료원의 기술이 개발되고 기계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면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획기적인 미래형 에너지시스템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