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urnal citation network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회계학 관련 학술지의 인용지수 비교 및 상호인용 빈도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using frequency of cross-citation and comparing citation index of accounting journals)

  • 최경호;오희화;곽희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43-149
    • /
    • 2014
  • 현재 국내학술지의 경우 급격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학술지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기준이 미비한 상태이며, 국내 연구 성과 측정 시 SCI 등 해외인용지수에 의존함으로써 우수논문의 해외 유출 및 우리말 논문 등한 시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는 국내 학술단체가 발간하는 학술지를 대상으로 학술지 정보, 게재논문 정보 및 참고문헌을 DB화하여 논문 간 인용관계분석 등을 실시하고, KCI 홈페이지를 통해 논문 및 학술지의 기본정보 및 각종 인용지수 등을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회계학 관련 국내 학술지들이 어떠한 수준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다양한 KCI 인용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해보고,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 연결망을 사회네트워크분석 관점에서 조망해 보았다. 그 결과 회계학 관련 학술지들이 지금보다 더욱 발전적인 위치를 갖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적 연구를 관련 학회차원에서 장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타 학문분야와 활발하게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분명 회계학 관련 학술지의 위상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특허의 평가 방안 (New Evaluation Method of Patents by National R&D Program with Patent Citation Network Analysis)

  • 임홍래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4호
    • /
    • pp.1-19
    • /
    • 2019
  • 본 연구는 특허 인용 정보를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대표적으로 특허의 가치나 질을 나타내는 특허의 전방인용 수(피인용 수)를 활용하고, 특허 인용 네트워크에서 개별 특허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수를 활용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와 민간부문의 특허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는 특허의 특성과 출원인의 특성, 기술분야의 특성, 연도 효과를 통제하고도 전방인용 수,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페이지 랭크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는 민간부문의 특허에 비해 후행기술에 직접 더 많은 영향을 주며, 선행기술과 후행기술을 직접 연결한다.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는 민간부문의 특허에 비해 기술의 효율적인 발전에 기여하며, 중요한 기술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 인용 네트워크에서 명망성 지표의 차별된 영향력 측정기준에 관한 연구 (The Distinct Impact Dimensions of the Prestige Indices in Author Citation Networks)

  • 안혜림;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76
    • /
    • 2016
  • 본 연구는 명망성 지표(closeness prestige, input domain, proximity prestige)를 인용 네트워크 내에서 특정 노드의 영향력 측정을 위한 유용한 척도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망성 지표의 영향력 측정기준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는 이 세 개의 명망성 지표와 다른 영향력 지표를 비교하고자 한다. 무방향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표와 유사하게 명망성 지표는 유방향 네트워크에서 특정 중심 노드들을 차별화 시켜준다. 저자 인용 네트워크에서 수행된 상관분석과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기존 영향력 지표와 차별된 명망성 지표만의 측정기준을 발굴하였다. 세 개의 무방향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와 더불어 단순인용수, h-index, PageRank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명망성 지표와 비교하였다. 이러한 명망성 지표는 기존 영향력 지표와는 차별화된 영향력을 측정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명망성 지표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기존의 다른 영향력 지표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반영한다.

공동연구 특성을 고려한 연구자 유형 구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zing Researcher Typ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9-80
    • /
    • 2023
  • 기존의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대부분 연구성과 지표를 활용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인용 영향력이 공동연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용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공동연구 지표만으로 연구자 유형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공동연구 패턴과 공동연구 범위를 기준으로 연구자를 Sparse & Wide (SW) 유형, Dense & Wide (DW) 유형, Dense & Narrow (DN) 유형, Sparse & Narrow (SN) 유형의 4가지로 구분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양자계측 분야에 적용해본 결과, 구분된 연구자 유형별로 인용지표와 공저 네트워크 지표에 차이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공동연구 특성에 따른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인용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연구관리 정책과 연구지원서비스 측면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플랫폼 정부 연구의 탐색적 분석 (Exploratory Analysis of Platform Government Research)

  • 신선영;서창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1호
    • /
    • pp.159-179
    • /
    • 2020
  • Purpose: We present a scientometr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platform government to serve three primary purposes: First, to cluster researches on platform government based on the research issues; second, to identify the major papers, authors, and keywords in the domain; and third, to explore the promising research areas of platform govern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collected the platform government research from Web of Science, and analyzed 1,536 articles that was published during time span of 1998-2019. Next, co-citation networks are constructed and analyzed by using CiteSpace to visualize the domain clusters and dynamic research trends in the platform government domain. Findings: We identified 13 sub areas of the platform government research: global investigation, consumer product quality, digital agora, civic crowd funding, and open data use etc. We also visualize the top 20 references with the strongest citation bursts, co-authors network, co-occurring keyword network, and timeline of co-citation clusters.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 파악 (Identifying the Research Front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7-106
    • /
    • 2015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의 데이터를 사용한 문헌동시인용 분석을 통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동안의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 전선을 구체적으로 파악해보았다. KCI 웹사이트로부터 문헌정보학 분야 핵심 논문 159개와 이를 인용한 논문 정보를 수작업으로 수집하였다. 군집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 결과 27개의 복수 논문 군집과 8개의 단일 논문 군집이 도출되었다. 27개의 복수 논문 군집 중에서 논문 수가 가장 많은 것은 '문헌정보학 교육' 주제 군집이었고, 인용 영향력이 가장 큰 것은 '인용분석 & 지적구조 분석' 주제 군집이었다. 핵심 문헌 집합에 대한 인용 중에서 67.5%는 문헌정보학 내부에서 이루어졌고, 나머지 32.5%는 타 학문 분야로부터 발생한 것이었다. 전반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내 인용 비율과 인용 영향력 성장 지수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문헌정보학 분야 내부에서 최근 연구가 가장 활발해지고 있는 연구 전선 주제로는 '지역 기록', '인용분석 & 지적구조 분석', '연구동향 분석'의 세 주제가 꼽혔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기법은 국내 학제적 연구 분야의 연구 전선 분석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주경로 분석과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구전(WoM)'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Word of Mouth (WoM)' through Main Path and Word Co-occurrence Network)

  • 신현보;김혜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179-200
    • /
    • 2019
  • 구전(Word-of-Mouth) 활동은 오래 전부터 기업의 마케팅 과정에서 중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사람들이 지식과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이 다양해지면서 구전은 후기, 평점, 좋아요 등으로 입소문의 양상이 다각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구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왔으나, 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는 부재하다. 본 연구는 학술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전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내기 위해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연구들을 추출하고 시기별로 연구들의 주요 쟁점을 파악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1941년부터 2018년까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에서 'Word-of-Mouth'라는 키워드로 검색되는 총 4389건의 문헌을 수집하였고, 영어 형태소 분석과 불용어 제거 등 전처리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분야의 발전 궤적을 추적하는 데 활용되는 주경로 분석기법을 적용해 구전과 관련된 핵심 연구들을 추출하여 연구동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고, 단어동시출현 정보를 추출하여 키워드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기별로 구전과 관련된 연관어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동향을 미시적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수집된 문헌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SPC 가중치를 적용하여 키루트 주경로를 추출한 결과 30개의 문헌으로 구성된 주경로가 추출되었고, 연관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는 시기별로 온라인 시대, 관광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 등 산업 변화가 반영돼 시대적 변화와 더불어 발전하고 있는 학술적 영역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ies of Research Networks and Research Performances)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5-42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공저 네트워크,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네트워크에 나타난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중심성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저 네트워크에서 3가지 중심성이 높은 연구자들은 연구성과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와 저자서지결합 네트워크에서 매개 중심성은 연구성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중심성들 간에는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3가지 연구자 네트워크의 모든 중심성들 간에는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의류 관련 학술지의 상호인용 빈도를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using Cross-citation Frequency of Clothing & Textiles -Related Journals)

  • 최경호;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37-643
    • /
    • 2014
  • 본 연구는 학술지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인 상호인용 빈도를 활용하여 의류학 관련 학술지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나아가 연결망 그래프를 활용하여 학술지 간의 관계도를 연구하여 연구자들에게 국내 의류 관련 학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향력 있는 학술지를 보다 쉽게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되어 있는 의류학관련 10개 학술지로 하였으며, 상호인용 빈도는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논문으로 KCI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정리된 별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결망분석에 활용한 소프트웨어는 R ver. 2.15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인용비율에 대해서는 패션과 니트가 압도적으로 높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가 다음 순이었다. 둘째,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23개 학술지의 영향력지수 평균이 1.00임에 비추어 볼 때, 의류학 관련 학술지들의 영향력지수 평균은 0.681로 다소 낮은 편이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1.24의 영향력 지수를 보여 중분류 생활과학에 속하는 학술지 평균보다 높았다. 한국생활과학회지는 근접중심성 및 중개중심성도 한국의류학회지와 함께 높아 의식주 관련 학술지들의 상호인용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술마케팅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다성분 나노구조 코팅재료 공정기술 사례 (An Application of Patent Citation Network Analysis for Technology Marketing: A Case of a Public Research Institute)

  • 석명섭;조병휘;지일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10-3219
    • /
    • 2015
  • 생산기술연구원은 다성분 나노구조 코팅재료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자동차 산업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3년간 기술이전을 추진하였으나 아직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의 우수한 기술을 기업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기술마케팅을 위한 대상기업 선정이 중요하다고 보고, 특허 인용 네트워크를 이용한 잠재 수요기업 발굴 기법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기술의 경로의존성이라는 이론적 전제 하에, 특허 인용정보에 기반한 사회연결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성분 나노구조 코팅재료 공정기술에 대한 잠재적 수요는 생산기술연구원이 초기에 기대했던 산업분야가 아닌 다른 산업분야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출연(연) 기술마케팅에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 결과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기술마케팅 프로세스가 보다 다양한 피드백 관계를 포함하는 유연한 형태로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