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Utilization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1초

피부미용전공자의 자격증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재편성 제안 (The suggest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improving certificate utilization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kin care)

  • 홍미숙;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36-543
    • /
    • 2017
  • 우리나라 미용 대학 교육은 대부분 선진국과 비교하면 산업현장보다 학과 중심이다. 학과 중심은 현장의 직업 모듈보다 과목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고, 교육훈련시간도 유연한 구성보다 시간 이수가 졸업의 요건이 되고 있다. 이런 요건으로 인해 전공 학과에서는 자격증 취득이 교육훈련의 목표가 되고 있어 교육과정 내용과 현장 실무 훈련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런 문제에 착안하여 피부미용전공자의 학기 중 취득한 자격증 활용정도에 대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총 294명에게 자기평가기재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취업 당시 자격증 활용도는 높았지만, 산업현장에 진입한 후에 활용도는 보통 이하의 수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4년부터 국가직무 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시행하고 있는 피부미용 교과과정 개편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부미용학과 교육계에서는 피부미용 산업체의 방향과 트랜드를 빠르게 분석하고 산업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 검토하면서 학과 중심의 교육 과정과 산업현장 실무 내용이 최대한 일치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하며 개발해야 하겠다.

대졸자의 구직경로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개인-직무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Job Search Channels on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Job Fit)

  • 이혜영;강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79-6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구직경로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경로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했을 때 비인적 네트워크에서보다 교육수준 적합성과 전공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수준 적합성을 제외한 교육수준 적합성과 전공 일치도가 구직경로와 직업적응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적 네트워크가 구인과 구직 사이에 직무적합성에 대한 정보전달 통로로 작용함으로써 첫 일자리 직업적응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구직 활동에서 인적 네트워크의 전략적인 활용이 중요하며, 대학 또는 고용서비스기관의 진로관련 프로그램에서도 인적 네트워크 활용의 중요성과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한의원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korean medical clinic workers)

  • 이정원;김경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korean medical clinic workers, and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trategy. We visited 50 korean medical clinics which were chosen randomly from the korean medical clinics in the city of Changwon, Gyungnam. First,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urvey contents to the surveyees, then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and collected them. The data analysis was done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WIN IBM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ofessional care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rk autonomy,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s. Whil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final education. Depending on marriage status, while married persons showed significantly high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care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rk autonomy, administr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income satisfaction. The number of years worked in the current clini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administration satisfaction. Also, daytime working hou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administr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work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overall job satisfaction. The incom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ofessional career, administration,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overall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korean medical clinics. 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efficient manpower utilization and organization efficiency maximization, and motivation of human resources, a detailed pla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and tak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 PDF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신계수;권승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105-115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사업에서의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참여자 교육 만족도가 일자리 만족에 영향을 미처 궁극적으로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수행된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사업유형, 지역규모, 시도 등을 고려한 비비례층화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에서 세종시는 제외하였으며, 이들 중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한 문항에 무응답 또는 응답 비해당자를 제외시킨 2,0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육 만족도가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만족도가 노인 일자리 사업의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 심리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와 교육의 직무 활용도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는 교육내용의 흥미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적 효과에는 교육의 직무 활용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는 교육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자리 참여자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자리 만족도가 사업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참여자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한다면 사업효과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취업 포트폴리오 제작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Generative AI for Employment Portfolio Creation)

  • 김성림;권준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2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how generative AI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creat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employment portfolios in the rapidly changing job market and recruitment landscape.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recent employment trends and recruitment patterns, categorizing various generative AI tools based on their application in areas such as resume writing, portfolio design, and video production. Particularly, this research includes a case study of a career planning course in a university setting, where generative AI was applied, to empirically evaluate its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Through this case study, the research thoroughly examines how generative AI can contribute to efficient job preparation and skill enhancement for job seek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generative AI plays a critical role in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generating creative ideas, and enhancing both the visual and functional quality of employment portfolios, ultimately contributing to increased competitiveness in the job market.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xpanding scope and effectiveness of generative AI as the technology continues to evolve.

청년구직자의 중소기업 고용주 브랜드 인식이 취업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Young Job Seekers' SME Employer Brand Awareness on Their Intention to Work)

  • 이정환;김동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92-300
    • /
    • 2022
  • 본 연구는 정확한 중소기업 일자리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황, 선호 기준에 맞는 일자리 파악이 어려운 현실을 브랜드 범주화 이론을 반영한 '고용주 브랜드(Employer Brand)' 관점에서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자 70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5가지 가치 요인(Interest Value, Social Value, Economic Value, Development Value and Application Value) 중심의 취업의향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청년구직자는 인재육성이나 제품, 서비스, 경영진 등 기업 측면의 특성보다 구직자 개인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업무문화와 환경, 자신의 전공 활용 등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취업의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소기업 일자리 정책이 기존 양적 지원 중심에서 플랫폼 중심의 일자리 정보 활용을 강화하는 질적 체질 개선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스타트업의 온라인 아웃소싱 활용이 구성원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Utilizing Online Outsourcing in Startups on Memb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김준학;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9-153
    • /
    • 2024
  • 세계적으로 기업의 지속성장과 원가절감의 중요성이 높아지며 기업의 아웃소싱 이용이 확대되었다. 또한 플랫폼 경제의 확산은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플랫폼으로 과업이 중개되는 온라인 아웃소싱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일반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온라인 아웃소싱에 관한 연구는 실제 활용에 비해 미비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아웃소싱의 이용요인과 성과요인을 분석하여 온라인 아웃소싱 활용의 효과와 우려사항을 다각도로 규명하고, 온라인 아웃소싱의 효과적 활용과 해당 산업 발전을 위한 이해관계자별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아웃소싱 이용경험을 보유한 스타트업 재직자 281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아웃소싱 이용을 통한 효율성 및 수익성, 혁신성 강화는 스타트업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온라인 아웃소싱 이용에 따른 효율성 개선은 직무만족 향상에 큰 효과를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아웃소싱 이용요금부담이나 불확실한 결과물에 대한 우려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급별로 온라인 아웃소싱 활용 동기와 성과에 관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었다. 실무자는 온라인 아웃소싱 활용으로 자신들의 조직몰입도가 높아진다는 인식이 높았으며, 관리자는 아웃소싱 과업 결과의 불확실성이나 정보보안에 대한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의 인적자원 부족 및 직원관리 문제가 온라인 아웃소싱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온라인 아웃소싱 이용요인별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온라인 아웃소싱 중개플랫폼 기업의 사업전략 수립 및 정부를 비롯한 스타트업 지원기관의 스타트업 지원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 것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공간제약을 갖는 선박용 엔진 조립공장의 효율적인 일정계획을 위한 발견적 기법 (A Heuristic for Efficient Scheduling of Ship Engine Assembly Shop with Space Limit)

  • 이동현;이경근;김재균;박창권;장길상
    • 산업공학
    • /
    • 제12권4호
    • /
    • pp.617-624
    • /
    • 1999
  • In order to maximize an availability of machine and utilization of space, the parallel machines scheduling problem with space limit is frequently discuss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is paper, we consider a scheduling problem for assembly machine in ship engine assembly shop. This paper considers the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in which n jobs having different release times, due dates and space limits are to be scheduled on m parallel machines.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sum of earliness and tardiness. To solve this problem, a heuristic is developed. The proposed heuristic is divided into three modules hierarchically: job selection, machine selection and job sequencing, solution improvement. To illustrate its effectiveness, a proposed heuristic is evaluated with a large number of randomly generated test problems based on the field situation. Through the computational experiment, we determine the job selection rule that is suitable to the problem situation considered in this paper and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heuristic.

  • PDF

A resource-constrained job shop scheduling problem with general precedence constraints

  • Ahn, Jaekyoung
    • 경영과학
    • /
    • 제10권1호
    • /
    • pp.171-192
    • /
    • 1993
  • In this paper, a rule for dispatching operations, named the Most Dissimilar Resources (MDR) dispatching rule is presented. The MDR dispatching rule has been designed to maximize utilization of resources in a resource-constrained job shop with general precedence constraints. In shown that solving the above scheduling problem with the MDR dispatching rule is equivalent to multiple solving of the maximum clique problem. A graph theoretic approach is used to model the latter problem. The pairwise counting heuristic of computational time complexity O(n$^{2}$) is developed to solve the maximum clique problem. An attempt is made to combine the MDR dispatching rule with the existing look-ahead dispatching rules. Computational experience indicates that the combined MDR dispatching rules provide solutions of better quality and consistency than the dispatching rules tested in a resource-constrained job shop.

  • PDF

Job Shop에서의 주문 투입 통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rder Release Method in Job Shop)

  • 최기범;김성식;이홍철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2-203
    • /
    • 1999
  • This paper deals with the order release problem for minimizing weighted earliness and tardiness as well as Work In Process (WIP) in dynamic job shop environments. A newly designed hierarchical order release mechanism is developed for efficient real-time control of the earliness/tardiness and WIP. The hierarchical order release mechanism consists of the order release plan and the order release control which is composed of two proced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order release mechanism is superior to other four order release mechanisms under overall simulation conditions of utilization rate, due-date allowances, and earliness/tardiness cost structur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total cost among the four dispatching rules is much more reduced in the proposed order release mechanism than in other release mechanis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