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raftin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2초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다중매개효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 윤병선;김미연;김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31-245
    • /
    • 2022
  • 인간은 살아가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직장생활을 통하여 삶을 이어간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행동, 혁신행동, 스마트워크 환경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효과, 다중집단 분석과 스마트워크 환경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7번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잡크래프팅은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행동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지식공유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혁신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스마크워크환경의 조절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잡 크래프팅과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Crafting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 박경애;김자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67-78
    • /
    • 2024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잡 크래프팅과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 임상간호사 208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15일부터 3월 30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결혼상태, 교육 수준, 보수 만족도, 업무량, 임상 경력, 긍정심리자본, 잡 크래프팅, 간호근무환경이 확인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근무환경(𝛽=.37, p<.001), 잡 크래프팅(𝛽=.35, p<.001), 긍정심리자본(𝛽=.33, p<.001), 교육수준(𝛽=.09, p=.014)과 보수 만족도(𝛽=.09, p=.015) 순으로 직무만족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7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긍정심리자본, 잡 크래프팅, 간호근무환경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및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컴페션(compassion)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ompassion on Job Crafting :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ing effect of Deep Acting)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57-6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탈북민 27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 내에서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 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고, 둘째는 컴페션을 통하여 형성한 긍정 심리자본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목적은 컴페션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컴페션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고, 긍정심리자본이 잡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에 근무하면서 공감적인 돌봄을 필요로 하는 탈북민들에게 긍정적 정서와 능동적인 업무설계의 동기부여를 제공해 준다는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구성원의 그릿(GRIT)과 잡 크래프팅, 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대학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s of GRIT,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Medical Center Employees)

  • 현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59-267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과 잡 크래프팅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의 조직효과성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예측하고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개 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행정직원, 기술보건직원 등 450명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그릿이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 활동이 더 활발하였으며(β=.751, p<.001), 잡 크래프팅은 조직몰입(β=.297, p=.005)과 직무만족(β=.353, p<.001)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병원종사자의 그릿은 조직효과성 지표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이 그릿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병원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 방안 설정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잡크래프팅과 혁신행동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 김미연;서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41-452
    • /
    • 2021
  • 본 연구는 잡크래프팅이 혁신행동을 통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 잡크래프팅과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구성원의 지식공유를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잡크래프팅이 혁신행동을 통하여 구성원의 조직헌신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지식공유의 수준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전국의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공공기관, 대기업 종사자 등 4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SPSS 18.0과 SPSS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지식공유 수준이 높을수록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혁신행동은 구성원의 조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넷째, 잡크래프팅과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혁신행동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잡프래프팅이 혁신행동을 통해 조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지식공유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설검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어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Nurse's Job Crafting Scale)

  • 이도영;제남주;김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39-35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잡 크래프팅을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한국어판 잡 크래프팅은 번역과 역번역을 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간호사 151명을 통하여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하여 SPSS/WIN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이 분석 결과를 통하여 모형 적합도와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소명의식 도구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잡 크래프팅 도구 20문항 전체의 신뢰도 Cronbach's α=.93으로 제 1요인(구조적 직무자원의 증가, 5문항)은 .91, 제 2요인(방해적인 직무요구의 감소, 5문항)은 .87. 제 3요인(사회적 직무자원의 증가, 5문항)은 .83. 제 4요인(도전적 직무요구의 증가, 5문항)은 .87로 내적일관성 신뢰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Korean Version of Nurse's Job Crafting Scale이 적용 가능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간호사 잡 크래프팅 척도가 한국 간호사를 평가하기에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을 보여준다.

학습마을활동가의 잡 크래프팅을 통한 일의 의미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work through job crafting by Learning Village Activists)

  • 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51-60
    • /
    • 2021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을 중심으로 학습마을활동가의 일의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마을활동가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3일부터 2021년 03월 05일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업 크래프팅은 '자신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활용한 과업수행', '정해진 과업 이외의 추가적 업무수행', ' 효율적 과업수행을 위한 업무방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인지 크래프팅은 '일의 중요성과 소명의식 인지', '일의 행복과 즐거움 인지', '일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역할 인지'가 나타났다. 관계 크래프팅은 '동료와 실천학습공동체 구축', '마을주민의 성장과 변화의 매개자', '업무관계자와 갈등과 협력의 공존'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습마을활동가들은 잡 크래프팅을 통해 능동적으로 일을 변화시키고 있었으며, 이는 일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추후 타지역 학습마을활동가 대상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on Job Satisfaction of Gig Workers: An Empirical Study from Indonesia

  • RACHMAWATI, Riani;ZAKIA, Luthfianti;SAFITRI, Safitri;LUPITA, Ay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159-169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job satisfaction of gig workers in Indonesia, particularly the online motorcycle taxi or ojek drivers, b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proactive behavior, self-efficacy, and job crafting as found in previous studies. Gig workers are classified as 'independent contractors' where some studies show that they achieve high job satisfaction through autonomy and flexibility. However, other studies show that all gig workers do not experience this condition. Location-based gig workers such as the online drivers are highly controlled by algorithm control and customer management, which makes their autonomy and flexibility questionable. The study is quant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a survey approach in seven main cities in Indonesia. Two hundred eighty online ojek driv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y fulfilling 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s that proactive behavior does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but self-efficac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Job crafting has an in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us, this variable can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active behavior.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efficacy, which is their belief that they can overcome the challenges and achieve their goals, is very central to shaping job satisfaction of the online drivers.

임상 치과위생사의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이혜진;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2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thods: A total of 190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May, 2023 and then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PASW Statistics 26.0. Results: Mean scores for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tention intention were 3.22, 3.46, 3.57 and 3.46 respectively. Retention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0.299), job crafting (r=0.214), and job satisfaction (r=0.649).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job satisfac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retention intention, explaining 24.1% of the total variance (F=4.550, p<0.001). Conclusions: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identified, with job satisfaction emerging 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 retention intention.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b Crafting by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Social Work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 김요섭;김도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9-145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이용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31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복지사 31명과 이용 아동 21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아동 요인(level 1)과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만족도 전체 변량의 34.3%가 지역아동센터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요인(level 1)에서는 하루 이용시간이,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에서는 성별, 나이,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만족도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