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4.231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Yoon, Byeong-Seon ((주)굿메이커)
Kim, Mi-Yeon ((주)엔지니어스톡)
Kim, Chun-Kyu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Most humans live at work and continue their lives through work.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job crafting on job satisfaction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novation behavior, and smart work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rapidly changing labor market.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satisfaction by dividing it into male and female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on 453 office work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d SPSS 26.0 and Amos 26.0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and Process macro model 7 was used as the smart work environment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econd,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Third, knowledge shar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innovation behavior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Fourth, for the parameter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knowledge sharing behavi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innovation behavior did not affect it. Fifth,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mart work environment had no effect, and sixth,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satisfaction divided into men and women had a greater effect than men.
Keywords
Job Crafting; Job Satisfacti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novation Behavior; Smartwork Enviro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1995.
2 조일현,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연구, 제12권, pp.73-108, 2021.
3 Y. H. Chen, T. P. Lin, and D. C. Yen, "How to facilitate inter-organizational knowledge sharing: The impact of trust. Information & management," Vol.51, No.5, pp.568-578, 2014.   DOI
4 S. Y. Hung, A. Durcikova, H. M. Lai, and W. M. Lin, "The influe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n individuals' knowledge sharing behavior," 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69, No.6, pp.415-427, 2011.   DOI
5 왕병철, 지식공유와 혁신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6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DOI
7 M. A. West, "Sparkling fountains or stagnant ponds: An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work groups," Applied psychology, Vol.51, No.3, pp.355-387, 2002.   DOI
8 전용택, 이정은, "호텔직원의 성과주의, 변혁적 리더십,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간 구조적 관계," 호텔관광연구, 제22권, 제4호, pp.72-83, 2020.
9 F. Yuan and R. W, Woodman, "Innovative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role of performance and image outcome expect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3, No.2, pp.323-342, 2010.   DOI
10 유정화, 이수경, "고용불안,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제20권, 제4호, pp.415-435, 2021.
11 강경희, 김문중,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33권, 제6호, pp.229-258, 2019.   DOI
12 김성용, 자기주도 직무설계 행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설정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3 유준, 박재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 벤처창업연구, 제15권, 제5호, pp.191-202, 2020.   DOI
14 K. Batchelor, A. Robbins, A. C. Freeman, T. Dudley, and N. Phillips, "After the innovation: Outcomes from the Texas behavioral data project," AIDS and Behavior, Vol.9, No.2, pp.S71-S86, 2005.   DOI
15 조일환, 호텔 종사원의 Job crafting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 소재 특 1급 호텔 식음료 종사원을 대상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6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DOI
17 장재호, 여행사 종사원의 잡크래프팅이 조직 유효성과, 조직성과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8 이정희, 노성철, "직장인 만족도와 직무. 관계. 문화 상관관계: 블라인드 (Blind) 설문조사," 노동리뷰, pp.53-75, 2020.
19 채신석, "호텔직원의 선행주도성이 잡크래프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서울 시내 5성급 호텔직원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2권, 제6호, pp.147-172, 2018.
20 M. Tims, and A. B. Bakker, "Job crafting: Towards a new model of individual job redesign.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6, No.2, pp.1-9, 2010.
21 박한규, 대기업 근로자의 직무 재창조와 개인 및 팀 수준 변인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2 김용순, "호텔기업에서 유리천장에 대한 지각이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2호, pp.41-56, 2009.
23 남상민,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통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U-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4 차경희, 미용종사자의 긍정심리,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와의 영향관계에서 장기근속의 매개효과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5 J. C. Cheng and O. Y. Yi, "Hotel employee job crafting, burnout, and satisf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72, pp.78-85, 2018.   DOI
26 남국현, "남녀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제15권, 제4호, pp.51-72, 2019.
27 황응웬프엉,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환경의 매개효과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조절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8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DOI
29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11-623, 2017.
30 P. E. Spector,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Vol.3, Sage, 1997.
31 서현숙, 뷰티서비스종사자의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2 강선아, 이수범,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및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3호, pp.23-40, 2015.
33 한국정보화진흥원, 일하는 방식의 대혁명적 변화 스마트워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34 D. Bufquin, R. DiPietro, and C. Partlow, "The influence of the DinEX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 casual-dining restaurant custom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foodservice business research, Vol.20, No.5, pp.542-556, 2017.   DOI
35 B. E. Ghitulescu,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Doctoral Dissertation, 2006.
36 김미연, 서영욱, "워라밸과 스마트워크 환경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505-517, 2021.   DOI
37 김우택, 공공부문의 스마트워크 품질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민간부문과의 비교,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8 강연구, 기업 내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이현응,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10호, pp.611-623, 2017.
40 김미연, 서영욱, "잡크래프팅과 혁신행동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공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혁신학회논문지, 제22권, 제6호, pp.441-452, 2021.
41 김종우, 이지우, "조직공정성, 과업특성, 혁신행동 및 혁신성과 간의 관계," 경영경제, 제45권, 제1호, pp.117-140, 2012.
42 오진주, 대기업 팀의 혁신행동과 응집성, 정보교류체제 및 지식공유행동의 관계에서 팀장-팀원 교환관계와 긍정적 실책관리문화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43 조성민, 이선로, "모바일 근무지원시스템과 관리자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모바일 근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8권, 제5호, pp.1135-1163, 2009.
44 M. K. Ahuja, K. M. Chudoba, C. J. Kacmar, D. H. McKnight and J. F. George, "IT road warriors: Balancing work-family conflict, job autonomy, and work overload to mitigate turnover intentions," MIS Quarterly, Vol.1, No.17, 2007.
45 R. Ayyagari, V. Grover, and R. Purvis, "Technostress: Technological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MIS quarterly, pp.831-858, 2011.
46 D. Muller, C. M. Judd, and V. Y. Yzerbyt,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 No.89, p.852, 2005.
47 강진희, 김명옥, "스마트워크 환경이 법률비서의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개인혁신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비서.사무경영연구, 제26권, 제1호, pp.5-3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