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rafting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1초

직무안정성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 GNS의 조절효과 (Can Employees with Job Insecurity Engage in Job Crafting? Moderating Effect of GNS)

  • 해리스 데오나;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76-18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자메이카와 한국의 두 문화권의 조직내 구성원들 사이에서 고용 불안정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GNS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었다. 조직의 성장에는 구성원들의 성장욕구(GNS)가 필요하지만 고용 불안과 직무재창조 간의 관계에서는 조절변수로 검토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메이카에서 일하는 조직 구성원들과 한국에서 한국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EFA)과 위계적회귀 분석을 사용했습니다. 통계 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용불안이 직무재창조에 영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식된 고용 불안과 직무재창조 사이의 관계는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좀 더 정교한 비교문화 관점의 연구를 전개하기 위해서는 국가문화 특성에 따른 개인의 추진력 또는 성장에 대한 욕구와 인지된 스트레스나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검토하여 좀 더 변수를 확대 혹은 통제하여 실증할 필요가 있다.

공유리더십이 직무재창조(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Job Crafting: Mediating Role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 이지은;오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54-678
    • /
    • 2020
  • 본 연구는 조직의 업무성과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직무재창조를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관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유리더십, 학습목표지향성, 지식공유를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공유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은 선행연구와 사회인지이론, 정서사건이론 등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자료는 국내 다양한 조직에서 재직하고 있는 직장인 3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과 유효성은 SPSS 25.0과 AMOS 25.0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가설은 SPSS프로세스 매크로 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은 구성원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 그리고 직무재창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유리더십과 직무재창조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지식공유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구성원의 직무재창조를 촉진하는 공유리더십의 효과성을 제시함으로써 공유리더십의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마련과 구성원들의 학습목표지향성, 지식공유를 강화하기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안을 논의하였다.

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on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 배근수;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09-12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 차원의 조직문화와 개인 차원의 자기효능감으로 각각 연구되어 오던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과 달리 서로 상이한 기제를 선행요인으로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근로자 144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잡 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관계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시장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인인 방해적 직무요구와 사회적 직무자원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문화는 중소기업의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며, 잡 크래프팅 또한 직무만족도에 부분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낮은 생산성과 높은 이직률로 고민하는 중소기업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운영을 위한 중소기업 조직문화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직무관리방안으로 잡 크래프팅의 도입 가능성을 파악하게 되어 의미가 있었다. 셋째, 현재 잡 크래프팅에 대한 실질적인 도입을 한 사례가 미미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잡 크래프팅의 이해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연구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정보활용역량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 박진아;김선영;문상은;김윤정;조혜은;강현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7-224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the performance of patient-centered care,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self-development of dental hygienists by verifying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Method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total 222 dental hygienists working for dental hospitals/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he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the cognitive crafting of job crafting (β=0.209, p<0.001) and relational crafting of job crafting (β=0.318, p<0.001) showe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accessibility for dental hygienists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liter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improve the expertise as healthcare personnel who perform the patient-centered care by developing it, and also to develop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job crafting,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간호사의 재직의도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Retention Intention in Nurses)

  • 조헌하;강정미;이경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7권2호
    • /
    • pp.95-10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retention intention in nurses. Methods: A total of 210 nurses from three hospitals in B city,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is mode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hypothetical model appeared to fit the data. Three of the selected six hypothese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tention intention model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for job crafting and job demands and indirect effects for relation oriented culture, which explained 28% of the variation in nurses' retention intention. Conclusion: We found that nurses' job crafting behavior and job demand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tention intention and relation oriented culture which affected by the factors job crafting.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단연구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Relationships with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Longitudinal Study)

  • 권정언;우형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31-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에 노동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는 과잉자격 문제를, 직무설계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과잉자격이란, 조직구성원이 보유한 기술, 지식, 교육 수준이 자신에게 부여된 업무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 수준보다 상회하는 상태이다. 그동안 과잉자격의 부작용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는 돌파구로서 직무재창조에 초점을 두었다. 과잉자격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이 직무재창조 활동을 촉발시키고, 나아가 조직몰입을 제고하는 과정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실증하였다. 3개월 간격으로 총 3차례에 걸쳐 반복측정하여 263명의 종단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구성원의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교차지연적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 시기의 직무재창조는 다음 시기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역인과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인식된 과잉자격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잉자격을 자각하는 조직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직무재창조에 나설 수 있는 조직풍토를 조성할 것을 제언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그릿, 사회적 지지, 잡 크래프팅, 근거기반 실무역량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Nurses' Grit, Social Support, Job Craft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n Job Satisfaction)

  • 서보람;강경림;박교연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1호
    • /
    • pp.54-64
    • /
    • 2024
  • Purpose: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it, social support, job craft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n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1 clinical nurses with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February 1 to February 17, 2023. The questionnaires wa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grit, social support, job crafting,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8.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s of the main variables were 3.08±0.44 out of four for grits, 3.67±0.52 out of five for social support, 4.20±0.64 out of five for job crafting, 4.84±0.71 out of seven for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3.72±0.55 out of five for job satisfaction. In the regression model, the factors affecting the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grit (β=0.66, p<.001) and social support (β=0.11, p=.046), which explained 78.7%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Job craft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were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grit and social suppor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Therefore, active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a strategy to improve nurses' grit and to create a supportive work environment, which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Situational Relation of Job Crafting, Organizational Support, and Innovation Performance

  • Yu, Byung-Nam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37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situ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job crafting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based on this, suggests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 effect of the control variables of organizational support.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is survey,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Korean SME workers from October 5, 2020 to March 20, 2021, and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order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judged to be inappropriate in response was excluded. The recovery rate was 65.7%,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questionnaire was 82%.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those data. Findings - First, job enhancement through job redesign as well as organizational support is a key task in order to expect innovative results from field members. Innovative performance is not created by individual jobs, but is created between jobs and jobs, tasks and tasks, teams and teams, and departments and departments. This is why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not to the functional approach, but to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oces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e and social job resource increase, which are components of job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at challenging job will had no significant effect. Challenging work will itself does not negatively affect innovation performance. Combining the survey and interview, field memb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ay that they do not lack the will to work. They claim that there is no channel or opportunity to express or practice a challenging will.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Korean Job Crafting Scale)

  • 이현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11-623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 조직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잡 크래프팅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잡 크래프팅의 개념 및 측정도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잡 크래프팅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문항을 작성했다. 10명의 HRM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수정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국내 8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305명의 종업원에게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정된 검사도구를 국내 7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종업원에게 추가로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를 비교적 양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각 하위척도가 수렴 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과업조형을 측정하는 6개 문항, 인지조형을 측정하는 4개 문항, 관계조형을 측정하는 5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가 개발되었다. 만일 본 측정도구가 추후의 연구에서도 타당도가 검증되면 국내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다중매개효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 윤병선;김미연;김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31-245
    • /
    • 2022
  • 인간은 살아가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직장생활을 통하여 삶을 이어간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행동, 혁신행동, 스마트워크 환경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효과, 다중집단 분석과 스마트워크 환경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7번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잡크래프팅은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행동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지식공유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혁신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스마크워크환경의 조절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