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do (Provinc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42초

제주도 지하수질산염 농도의 시·공간적변화 특성: 장기(1993-2015) 모니터링 자료의 평가 (Spatial-temporal Variations of Nitrate Levels in Groundwater of Jeju Island, Korea: Evaluation of Long-term (1993-2015) Monitoring Data)

  • 김호림;오준섭;도현권;이경진;현익현;오상실;감상규;윤성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1호
    • /
    • pp.15-26
    • /
    • 2018
  • 1993년부터 2015년까지 관측된 제주도 지하수 장기모니터링 관측정(N = 4,835)에서 수집된 지하수 수질자료(N = 21,568)를 기반으로 질산성질소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농도의 중앙값은 2.5 mg/L로서 다른 국가나 대륙의 조사 결과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용도, 행정구역 및 고도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산간 지역에 비해 저지대 해안가에 위치한 농업 및 주거지역에서 농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Mann-Kendall 및 Sen's slope 분석을 활용한 질산성질소 농도의 추세 분석 결과, 하류 저지대에 비해 중산간지역에서의 질산성질소 농도 증가 경향이 뚜렷하였다. 제주도 내 토지 피복의 시계열 변화 특성과 결부지어 보면, 중산간지역의 오염 증가 추세는 농업지역의 확장 등 인위적 활동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 기지정된 지하수자원특별관리구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질산성질소 농도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지하수 관리 측면에서 수질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관리를 위한 적정 방안을 제안한다.

공공시설물 잠재홍수피해지수 체계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 김길호;백승협;정영훈;김경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97-106
    • /
    • 2016
  • Since public facilities have high property values and are directly exposed to the flood hazard, they account for the highest share of disaster damages compared to other assets such as housing, industry, vehicle and agriculture in case of fl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suggest the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to evaluate potential flood damage of specific local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as a tool for decision-making related to flood preven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budget allocation. The flood damage assess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in 231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higher values were obtained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yeonggi-do (province), coastal area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Jeju island.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퍼즐 기반 컴퓨터과학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Computational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정철;김종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183-119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and to confirm the effects. To do so, we selected 2 classes with a similar level of pre-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Jeju Province. After that, from 2 classes, we designated the 5th grade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as group A and designated students of the same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as group B. In a total of 28 sessions during an 18 week period, a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Learning Program was used with 31 students in group A, and the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course was used with 25 students in group B.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computational cognition and its creativity, of the students in group A compared to students in group B. Also, this study proved that the Puzzle-Based program correlated with positive changes group A students'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proven effectiveness, we introduce the Puzzle-Based Computer Science Instruction Model and Learning Program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제주지역 공공업무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on the Barrier-Free Environment of Public Office Building in Jeju Area)

  • 성기창;박철민;김인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29-36
    • /
    • 2016
  • Purpose: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infants companion and constantly increasing foreign tourists, there is a high need for implementing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In terms of policy and institutional aspect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striving to create an environment without barriers and to promot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Vulnerable Pedestrians. But it is not enough to create a viable barrier-free environment. Methods: Method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general population status and installed facilities status for the disabled in Jeju. And analysis of policy research needs and level of barrier-free. By applying the barrier-free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should conduct an assessment of the level of the current public office buildings in Jeju. It present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public office buildings for barrier-free environment. Result: Barrier-free environment status of the five public office buildings research surveyed all buildings have shown low levels of installe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represents a very low level in the intermediate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nstallation manual for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improve public office buildings. And barrier-free criteria need to reflect on the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Implication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o analyze the barrier-free level and problems of public office buildings, it will be made to improve the comprehensive and reasonable alternative.

경기도와 제주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동정 및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의 생산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 현세희;문혜연;이향범;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3-390
    • /
    • 2013
  • 국내 야생화들로부터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의약이나 건강 식품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기도와 제주도 일부 지역의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 가운데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 생산 균주를 선발한 후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서울 구로동과 일부 경기도 지역 야생화 31점에서 26종, 54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Pseudozyma sp.가 13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제주도 송악산과 성산 일출봉 지역의 야생화 21점에서 모두 14종, 3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균 중에서 Sporobolomyces ruberrimus가 6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86효모 균주들을 YEPD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 상등액과 무세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의 무세포 추출물이 19.5%의 가장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을 YE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36시간 배양하였을 때, 세포내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을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

진도의 나비목 곤충상 (A Faunistic Study of Lepidoptera (Insecta) in Is. Jin-do, Korea)

  • 손재천;한영은;임은지;조수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81-104
    • /
    • 2005
  • Based on our insect collecting trip to the Is. Jin-do, Jeollanam-do Province from June 29 to July 1, 2005, a total of 573 lepidopterous species belonging to 37 families are reported, with adding 122 species new to the locality During our surve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ryptolechia malacobyrsa Meyrick (Oecophoridae), followed by Sandrabatis crassiella Ragonot (Pyralidae) and Yponomeuta tokyonellus Matsumura(Yponomeutidae), and the family Noctuidae (165 spp.) was the most diverse taxon in species number. We here also discuss the species representing the climatic feature in the island and compare the species diversity with those of other two major islands in Korea, Is. Geoje-do and Is. Jeju-do. Among the species recognized in this study, two species, Epilepia dentata (Matsumura and Shibata) and Meganola costalis (Staudinger) are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spite of the presence of previous notes on the species which is invalid. The adults and genitalia of the two specie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briefly.

제주도 지역별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와 효율적 관리 방안 (Local Relations between Precipitation and Underwater Level and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nderwater in Jeju-do)

  • 방익찬;김기표;이준호;김성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29-1032
    • /
    • 2010
  • 제주도의 강수량과 지하수위 상승의 관계와 비강수 때의 지하수위의 하강속도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 동쪽 지역은 강우가 왔을 때 지하수위의 상승이 높지 않은데 비해 하강속도는 느리며 서쪽 지역은 강우에 의해 지하수위가 많이 상승하나 비가 오지 않으면 수위가 빨리 하강하였다. 제주도의 최대 함양 부피는 강수량이 가장 많았던 2007년 태풍 나리 때 $1.67{\times}10^{10}m^3$로 나타났다. 만약 현재 추산되고 있는 제주도의 함양률 46.1%를 적용한다면 이 때의 함양량은 $0.34{\times}10^9m^2$이며 공극률은 약 5%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하수위의 변동은 강수량에 의해 좌우 되는데 2001-2009년간의 평균 변동폭은 5.53m이다. 변동 폭이 많이 오른 때는 대부분 태풍이 지나간 후이며 가장 높은 변동폭은 2007년 9월에 태풍 나리 후의 14.74m이다. 최저의 평균 상승폭이 1m도 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 심각한 물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강수량과 지하수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를 대규모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는 동쪽보다 서쪽지역이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지하수위 상승폭이 작고 지하수위가 급격하게 낮아질 경우 지하수 사용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제주도 큰발윗수염박쥐(Myotis macrodactylus)의 유전적 집단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on Jeju Island)

  • 김유경;박수곤;한상훈;한상현;오홍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49-757
    • /
    • 2016
  •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DNA (mtDNA) cytochrome B (CYTB)와 NADH dehydrogenase subunit 1 (ND1) 유전자 서열의 다형성을 근거로 제주도 큰발윗수염박쥐 집단의 유전적 집단 구조와 계통 유연관계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박쥐에서 CYTB 유전자 haplotype은 14개의 haplotype들이 발견되었고, ND1은 9개의 haplotype 들이 발견되었다. 집단별 haplotype의 분포는 지역-특이적인 양상을 보였다. ND1 haplotype 분석결과에서 제주도 집단은 4개의 haplotype을 나타내고, 한라산 소집단과 서부지역 소집단은 3개 haplotype을 나타내었으나, 동부지역 소집단에서는 제주도 전체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1개(Nd03)의 haplotype만 출현하였다. NJ tree에서 제주도 집단은 강원도 집단보다 일본 집단과 더 근연으로 확인되었다. 중국과 일본의 모계선조 계보 사이의 분화 시점은 0.789±0.063 MYBP으로 추정되었고, 제주도와 일본의 모계선조는 약 17만 년(0.168±0.013 MYBP) 전에 분리된 것 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집단은 적어도 5만 년 이전에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ND1 haplotype 분석결과는 제주도 집단이 이주 후에도 지역 내에서의 적어도 2회 이상의 유전적 분화를 겪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 큰발윗수염박쥐의 계통 유연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향후 한반도의 남부와 중국, 러시아 등에서 시료 확보를 통해 집단 간 진화적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득력 있는 자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Including Vectors of Brugian Filariasis, in Southern Islands of the Republic of Korea

  • Cheun, Hyeng-Il;Cho, Shin-Hyeong;Lee, Hee-Il;Shin, E-Hyun;Lee, Jong-Soo;Kim, Tong-Soo;Lee, Won-J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59-64
    • /
    • 2011
  • A survey of mosquitoes, including the vector status of Brugia malayi filariasis and their relative larval density, was conducted from 2002 to 2005 at several southern remote islands of Jeollanam-do (province), Gyeongsangnam-do, and Jeju-do, Korea, where filariasis was previously endemic. Overall, a total of 9 species belonging to 7 genera were collected. Ochlerotatus togoi (formerly known as Aedes togoi), Anopheles (Hyrcanus) group, and Culex pipiens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captured at all areas. Oc. togoi larvae were most frequently collected at salinity levels < 0.5% during June and July, with densities decreasing sharply during the rainy season in August. The most likely explanation for the eradication of filariasis in these areas is suggested to be an aggressive treatment program executed during the 1970s and the 1990s. However, high prevalence of the vector mosquitoes may constitute a potential risk for reemerging of brugian filariasis in these areas.

연한 청색의 동시개화성 절화 용담 ‘스카이블루볼’ 육성 (Breeding of ‘Skyblueball’, a New Gentiana spp. Cultivar with the Same Time Flower and Violet Blue Petals)

  • 서종택;유동림;김수정;류승열;남춘우;권영석;장석우;김원배;이응호;최창학;김정선;성문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30-633
    • /
    • 2016
  • 용담 신품종 “스카이블루볼(Skyblueball)”은 청색 꽃을 가진 Jinbu-65호를 모본으로 하고 역시 청색 꽃을 가진 Jinbu-1호를 부본으로 하여 2000년에 교배하여 선발하였다. 그 후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후 2002년부터 지역적응성 검정까지 5년에 걸쳐 그 특성이 조사되었다. 화색은 연한 청색(VB 96C)으로 횡계1호(VB96B)보다 밝으며 꽃잎에 반점이 없다. 꽃대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잎 모양은 피침형이다. 꽃은 밤에 반폐쇄형이고 거의 동시에 개화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횡계1호는 아래부터 위로 개화하는 습성이 있다. 초장은 62.9 cm로 횡계1호보다 약간 작고 주당 화경수는 8.3개로 약간 많은 편이다. 화경당 화단수는 5.3단으로 같으며 화경당 화수는 21. 7개로 횡계1호의 36.0개 보다 14개 정도 적다(Table 2). 개화기는 대관령이 7월 26일, 진부가 8월 3일, 남원도 8월 3일 그리고 제주도가 6월 28일로 가장 빨리 피어, 전 지역에서 횡계1호 보다 빨리 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