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native black pig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제주도에서 사육한 재래 및 개량 흑돼지 고기의 물리적, 관능적 품질 특성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and Crossbred Black Pig Reared in Jeju Island)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46-852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사양기간이 같도록 사육한 재래 흑돼지($78{\pm}7kg$, female) 및 개량 흑돼지($115{\pm}5kg$, female) 고기의 물리적 특성과 관능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재래 흑돼지 고기는 개량 흑돼지 고기에 비하여 표면색도의 $L^*$값(명도)이 낮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이 높았다. 재래 흑돼지와 개량 흑돼지 등심, 뒷다리 및 삼겹살의 보수력, 해동 감량, 가열 감량, 근원섬유 단백질의 추출성 및 소편화도는 동일한 부위 사이에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위별 물리적 특성의 차이는 재래 흑돼지가 개량 흑돼지보다 작게 나타났다. 재래 흑돼지 고기는 개량 흑돼지 고기보다 물리적 특성의 경도, 저작성 및 전단력이 비교적 낮게 나타나서 관능 특성에서 가열육의 연도를 우수하게 하였다. 재래 흑돼지와 개량 흑돼지 고기의 종합적 기호도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및 제주 흑돈의 Melanocortin 1 Receptor(MC1R) 유전자의 유전자형 분석 (Studies on the MC1R Gene Frequencies in Landrace, Large White, Duroc and Jeju Native Black Pigs)

  • 조인철;이정규;정진관;양보석;강승률;김병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07-21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에 관여하는 MC1R 유전자를 이용하여, 모색유전자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제주 재래흑돈군 확보를 위한 선발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랜드레이스, 대요크셔, 듀록 각 품종별 20두와 제주흑돈 93두 등 총 153두를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품종별 MC1R 유전자형을 설정하기 위하여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돼지 MC1R 유전자(AF181964)를 참고로 하여 두 쌍의 primer (MERL1-EPIG2, EPIG1-EPIG3)를 제작 PCR 증폭을 수행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428bp의 PCR 산물을 얻었으며, primer EPIG1-EPIG3를 이용하여 405bp의 PCR산물을 얻었다. 이들 증폭된 PCR 산물은 서로 다른 2개의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하였다. 먼저 primer MERL1-EPIG2를 이용하여 증폭한 428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BspHⅠ(TCATG|A)을 이용하여 절단하였으며, primer EPIG1-EPIG3으로 증폭한 405bp의 PCR산물은 제한효소 AccⅡ(CGC|G)를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이들 절단된 DNA 단편은 TBE buffer에서 전기영동 후 EtBr로 염색하거나 Silver stain 염색을 하여 다형현상을 관찰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한효소 BspHⅠ을 이용하여 PCR-RFLP을 수행한 결과 백색의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는 전 개체 모두가 2개의 밴드(256bp, 172bp)가 확인되었으며, 듀록은 절단되지 않은 하나의 밴드(428bp)가 확인 되었다. 그러나 제주 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발견되었는데, 전체 93두중 밴드가 하나인 개체는(428bp)는 29두(31.2%), 밴드가 두 개인 개체는(256bp, 172bp)는 19두(20.4%), 밴드가 3개인(428bp, 256bp, 172bp) 개체는 전체의 절반 정도인 45두(48.4%)이었다. 2. AccⅡ를 이용하여 PCR-RFLP를 실시한 결과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종에서는 2개의 밴드(222bp, 183)가 확인 되었으며, 듀록은 한 개의 밴드(405bp)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제주흑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포빈도는 BspHⅠ을 이용한 PCR- RFLP 결과와 동일하였다. 3. 이상의 결과를 MC1R 유전자형으로 분류하면 백색품종인 랜드레이스와 대요크셔 품종은 MC1R*3 allele이었으며, 적색의 듀록은 MC1R*4 allele로서 도입종의 모색유전자는 한가지 형태로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주 재래흑돈에 있어서 MC1R*2 allele과 MC1R*3 allele 모두 다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이들의 헤테로 형태였다. 따라서 제주 재래흑돈의 모색고정을 위하여 종모돈 선정시 MC1R 유전자를 이용하면, 짧은 기간 내에 모색이 고정될 것으로 추정되며, 명확한 유전양상 구명을 위해서는 agouti 유전자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Genome-wide scans for detecting the selection signature of the Jeju-island native pig in Korea

  • Lee, Young-Sup;Shin, Donghyun;Won, Kyeong-Hye;Kim, Dae Cheol;Lee, Sang Chul;Song, Ki-D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539-546
    • /
    • 2020
  • Objective: The Jeju native pig (JNP) found on the Jeju Island of Korea is a unique black pig known for high-quality meat. To investigate the genetic uniqueness of JNP, we analyzed the selection signature of the JNP in comparison to commercial pigs such as Berkshire and Yorkshire pigs. Methods: We surveyed the genetic diversity to identify the genetic stability of the JNP, using the linkage disequilibrium method. A selective sweep of the JNP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election signatures. To do so, the population differentiation measure, Weir-Cockerham's Fst was utilized. This statistic directly measures the population differentiation at the variant level.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gene ontologies (GOs) and genetic features. Results: Compared to the Berkshire and Yorkshire pigs, the JNP had lower genetic diversity in terms of linkage disequilibrium decays. We summarized the selection signatures of the JNP as GO. In the JNP and Berkshire pigs, the most enriched GO terms were epithelium development and neuron-related. Considering the JNP and Yorkshire pigs, cellular response to oxygen-containing compound and generation of neurons were the most enriched GO. Conclusion: The selection signatures of the JNP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opulation differentiation statistic. The genes with possible selection signatures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JNP's unique pork quality.

Comparative study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olor traits of meats obtained from the horses and Korean native black pigs raised in Jeju Island

  • Seong, Pil-Nam;Kang, Geun-Ho;Cho, Soo-Huyn;Park, Beom-Young;Park, Nam-Geon;Kim, Jin-Hyoung;Ba, Hoa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49-256
    • /
    • 2019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olor traits between two meat types: Horse meat and pork from Korean native black pigs raised in Jeju Island. Methods: After slaughter 24 h, the longissimus dorsi samples were taken from left side carcasses of the 32-mo-old Jeju female breed horses and the 6-mo-old Korean native black pigs (n = 10 each). The samples were then placed into cool boxes containing ice packs and transported to the Laboratory of Meat Science where all visual fats and connective tissues were trimmed off and then the samples were ground. All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nutritional composition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vitamins, fatty acids, and amino acids) and color traits. Results: The horse meat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llagen, moisture and protein than the pork (p<0.05). The Jeju horse meat showed more desirable fatty acid profiles such as containing significantly lower saturated fatty acids (SFA),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contents and PUFA/SFA ratios than the pork (p<0.05). Differences in concentrations of ten amino acids existed between the two meat types in which the horse meat had higher values for all these amino acids, total amino acids (20.33 g/100 g) and essential amino acids (10.06 g/100 g) than the pork (p<0.05). Also, the horse mea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Fe (34.21 mg/100 g) and Cu (2.47 mg/100 g) than the pork (Fe, 17.42 mg/100 g and Cu, 1.51 mg/100 g) (p<0.05). All the vitamins detected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at types in which the horse meat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vitamin B1 (25.19 mg/100 g), B2 (92.32 mg/100 g), B3 (2,115.51 mg/100 g), and B5 (67.13 mg/100 g) than the pork (p<0.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meat types studied are rich in nutrients and the animal species strongly affected the nutritional values and color traits of the muscle tissues.

돼지 Melanocortin Receptor 1(MC1R) 대립유전자 3의 신규 유전변이 탐색 (Detection of Novel Genetic Variations of the MG1R * 3 Allele in Pig(Sus scrofa))

  • 조인철;정용환;정진관;성필남;오운용;고문석;김병우;이정규;전진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6
    • /
    • 2004
  • 본 연구는 MCIR$^*$3 allele의 돼지에 있어서 유전적 변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흑모색 바탕에 백색반점이나 백색띠를 갖고 있는 돼지의 MCIR 유전자의 유전자형은 E$^{D2}$로 나타낸다. 우성 백색계통의 E$^P$ 유전자형은 우성 흑모색 계통의 E$^{D2}$ 유전자와 frameshift mutation 관계가 있다. 돼지 MCIR 전체 번역지역을 증폭하기 위하여 oligonucleotide primer률 제작하여 PCR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 길이가 963${\sim}$966 base pairs인 돼지 MCIR 유전자의 전체번역지역을 포함하는 산물을 얻었다. 이들 번역부위의 염기서열 결정하고 이들을 Clusta1 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렬한 결과 23번 코돈{nt68)에서 Hampshire와 제주 재래혹돈은 염기 시토신(cytosine)이 3 개 그리고 Birl‘shire의 경우 염기 시토신(cytosine)이 2개 결실되어 있었다. 그 외에 3개의 missense mutations과 하나의 frameshift mutation이 발견되었다.

제주재래흑돼지×Landrace F2 집단의 성장형질에 대한 교배조합의 효과 (Effect of Mating Types on the Growth Traits of F2 Population between Landrace and the Jeju Native Black Pigs)

  • 강용준;조상래;정동기;이재봉;박희복;조인철;한상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7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mating type on the growth traits in an $F_2$ population produced by reciprocal intercrosses between Landrace and the Jeju Native Black pig (JBP). The $F_2$ progeny were produced by two different mating types based on the grand dams of founder breeds JBP (Cross_1) and Landrace (Cross_2). The body weights at 21 days after birth (BW21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ross_1 and Cross_2 (P<0.05), showing that the BW21D of Cross_1 has about 0.25 kg heavier than Cross_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les and females for the growth traits including the body weights (BWB, BW21D, BW70D and BW140D) and average daily gains (ADG, eADG and lADG) (P<0.05). Males were heavier BWB, BW21D and BW140D levels, and higher ADG and lADG levels than females. On the other hand, females had heavier BW70D and higher eADG levels than those of males. When considering the mating types and sex simultaneously the Cross_2 males had the heaviest BW140D among the combinations of cross and sex.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choose Landrace as grand dams in the reciprocal intercrosses between Landrace and JBP for producing their progeny construction and to plan the production of $F_2$ males for industrial purpos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may be one of useful strategi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rough out selection of the mating type of founder breeds and the progeny sex, especially in Landrace, JBP and their related populations.

Comparison of Liv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 of Cross Bred (Korean Native Black Pig and Landrace) Pigs with Different Coat Colors

  • Hur, S.J.;Jeong, T.C.;Kim, G.D.;Jeong, J.Y.;Cho, I.C.;Lim, H.T.;Kim, B.W.;Joo, S.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7호
    • /
    • pp.1047-1053
    • /
    • 2013
  • Five hundred and forty crossbred (Korean native black pig${\times}$Landrace) F2 were selected at a commercial pig farm and then divided into six different coat color groups: (A: Black, B: White, C: Red, D: White spot in black, E: Black spot in white, F: Black spot in red). Birth weight, 21st d weight, 140th d weight and carcass weight varied among the different coat color groups. D group (white spot in black coa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ody weight at each weigh (birth weight, 140th d weight and carcass weight) than did the other groups, whereas the C group (red coat color)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t finishing stage (140th d weight and carcass weight) compared to other group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shear force, cooking loss and meat col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oat color groups, whereas drip lo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 than in other groups. Most blood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groups, except for the red blood cells.

제주재래흑돼지와 듀록 교배 세대에서 IDH3B 유전자형과 경제형질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IDH3B Genotypes and Economic Traits in a Crossbred F2 Population between Duroc and Jeju Native Black Pigs)

  • 박희복;한상현;강용준;신문철;이재봉;조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5-300
    • /
    • 2017
  • 제주재래흑돼지와 듀록의 교배 $F_2$ 집단에서 경제형질과 isocitrate dehydrogenase 3, beta subunit (IDH3B) 유전자의 유전자형의 연관을 시험하였다. IDH3B 유전자형은 promoter 영역에서 304-bp 삽입/결실 절편의 유무를 기준으로 기초축군과 $F_1$, $F_2$에서 판독하였다. 세 가지 유전자형(AA, AB, BB)이 $F_1$$F_2$에서는 모두 발견되었으나, JBP에서는 AA 유전자형이, Duroc에서는 BB 유전자형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관 분석결과에서 도체중(CW), 등지방두께(BFT)와 등심단면적(EMA)의 수준이 유전자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각기 다른 성장시기별로 측정된 체중들과 일당증체량을 포함한 성장형질, 유두수를 포함한 번식형질, 등심 내 조지방함량(CFAT)의 수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IDH3B AA 동형접합자인 $F_2$ 돼지들은 다른유전자형을 보유한 개체들에 비해 도체중이 더 무겁고($72.92{\pm}11.133kg$), 등지방두께는 더 두껍고($25.75{\pm}6.06mm$), 등심단면적은 더 넓은 수준($23.82{\pm}4.825cm^2$)을 보였다(p<0.05). 이상은 비육돈 생산 후기에 근내지방의 축적과 상관없이,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도체중의 증가가 IDH3B 유전자형과 연관된 생물학적 작용에 의한 결과라 하겠다. 돼지 IDH3B의 304-bp 삽입 대립 유전자는 제주재래흑돼지와 Duroc-관련 분자육종체계에서 돈육 생산성 향상을 위한 분자도움선발의 유전적 마커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재래흑돼지와 Landrace, 교배집단 F2에서 척추의 수적 변이와 도체형질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Numerical Variations of Vertebrae and Carcass Traits in Jeju Native Black Pigs, Landrace Pigs, and Crossbred F2 Population)

  • 조인철;김상금;김유경;강용준;양성년;박용상;조원모;조상래;김남영;채현석;성필남;박범영;이준헌;이재봉;유채경;한상현;고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54-862
    • /
    • 2013
  • 포유류 중 돼지의 척추 중 요추, 흉추의 수는 고정되지 않은 형질로 개체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제주재래흑돼지와 Landrace, 두 품종 간 $F_2$ 교배집단에서 경추 수, 흉추 수, 요추 수, 척추 수 등 체형관련 형질과 도체형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 축군 모두 경추 수의 변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흉추 수, 요추 수, 척추 수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도체형질의 성적과 요추 수만이 세 축군들 사이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p>0.05), 도체중, 육색, 근내지방도, 등심단면적, 등지방두께, 도체장, 흉추수, 척추 수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제주재래흑돼지는 흉추 수 14-16 개, 요추 수 5-6 개, 척추 수 27-29 개의 범위, Landrace는 흉추 수 15-16 개, 요추 수 5-7 개, 전체 척추 수 28-29 개, $F_2$ 교배집단은 흉추 수 14-17, 요추 수 5-7 개, 전체 척추 수 27-30 개로 확인되었다. $F_2$ 교배집단에서 흉추 수와 척추 수의 증가는 도체중, 도체장, 등지방두께의 평균이 유의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p<0.05). 또한 척추 수의 증가는 요추 수의 증가보다 흉추 수의 증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흉추 수 및 척추 수의 증가가 등지방두께를 점점 두껍게 만들기는 하지만, 도체중과 도체장 등 경제성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도체형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은 추후 제주재래흑돼지나 Landrace 품종을 활용한 양돈산업에서 체형개선을 통한 생산성 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재래흑돼지와 랜드레이스 F2 교배축군의 생체중에 대한 유전체와 가계도 기반의 유전력 및 모체효과 추정 (SNP-based and pedigree-based estimation of heritability and maternal effect for body weight traits in an F2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Jeju native black pigs)

  • 박희복;한상현;이재봉;김상금;강용준;신현숙;신상민;김지향;손준규;백광수;조상래;조인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3-247
    • /
    • 2016
  • Growth traits, such as body weight, directly influence productiv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the swine industry. In this study, we estimate heritability for body weight traits usinginformation from pedigree and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 data. Four body weight phenotypes were measured in 1,105 $F_2$ progeny from an intercross between Landrace and Jeju native black pigs.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subjected to genotypic analysis using PorcineSNP60K BeadChip platform, and 39,992 autosomal SNP markers filtered by quality control criteria were used to construct genomic relationship matrix for heritability estimation.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of heritability were obtained using both genomic- and pedigree- relationship matrix in a linear mixed model. The heritability estimates using SNP information were smaller (0.36-0.55) than those which were estimated using pedigree information (0.62-0.97). To investigate effect of common environment, such as maternal effect, on heritability estimation, we included maternal effect as an additional random effect term in th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We detected substantial proportions of phenotypic variance components were explained by maternal effect. And the heritability estimates using both pedigree and SNP information were decreased. Therefore, heritability estimates must be interpreted cautiously when there are obvious common environmental variance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