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Economy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의 경쟁우위 요인과 원천에 대한 연구: 제주지역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Factors and Sources of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The Case of the Hospitality Industry of Jeju Island)

  • 윤동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95-222
    • /
    • 2017
  • 본고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로서 지역의 경쟁우위를 결정하는 요인, 원천 및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포터의 국가경쟁력 모델을 원용한 3중 다이아몬드 모델에 의거 제주관광산업을 사례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관광산업은 뛰어난 자연경관, 도외 관광전문인력, 공항과 항구 등의 사회간접자본, 대규모 외래관광객, 쇼핑센터와 카지노 등의 관련산업의 성장, 올레길 조성과 중국정부의 해외여행자유화 조치 등의 우연한 사건 등의 경쟁우위 요인들을 기반으로 2013년부터 1천만 관광객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들 경쟁우위 요인들은 도내, 국내 및 해외지역에서 유래하는 경영자원에 그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자원을 확보 및 활용하는 제주관광업체들의 경영역량이 지역 경쟁우위 제고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제주관광산업은 지난 5년 동안 경쟁우위가 향상되고 있으나 지역경제와의 유기적 관계 부족으로 인해 그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도민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는 산업연구를 바탕으로 국가단위의 경쟁우위를 분석한 기존 연구와 달리 지역단위의 경쟁우위 요인과 함께 이들 요인들이 지역, 국내 및 해외 등 어디에서 유래하는가를 분석한 다음 경쟁우위 요인의 특성과 원천이 지역경제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포터의 국가경쟁우위 분석 틀을 지역경쟁우위 분석 틀로 확장하고 이를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매력도를 바탕으로 관광목적지의 경쟁력을 주로 연구한 기존 연구와 달리 다양한 경쟁우위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의 경쟁우위를 연구하였다.

한방식품 개발 분야 기술로드맵 구축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Technical Roadmap Building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ield - Focused on Jeju Region -)

  • 김민철;부창산;김재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5-166
    • /
    • 2006
  • Application of industry roadmap is to propose the vision on the future through correction and supplement of various environment change(nation competition power uplift, origin technology development, long and short-term vision establishment, R&D investment improvement, co-work increase etc). Now, in Jeju region, Roles of traditional medicine is needed by environmental needs(competition loss of Jeju industry, limitation of tourism industry etc).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egion economy activity by building the TRM of foods fiel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f earlier TRM paper and materials.

  • PDF

제주도에서 전기자동차 보급이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net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s on the Electric Power Grid in the Jeju Island)

  • 오성보;이개명;황충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호
    • /
    • pp.10-17
    • /
    • 2014
  • The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ial Government has made the plan penetrating gradually electric vehicles(EVs)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Jejudo). However the effects of EVs penetration on the electrical grid of the Jejudo is not reported. In this paper the yearly electric energy consumed by the EVs was calculated and the effects of the EV penetration on the peak power of the grid were analyzed in the Jejudo for the future 10 years, and we hope that our study results will help the governors realize the EVs penetration plan in the Jejudo. The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ate of the electric energy used by the EVs will become to 2.9% at its maximum at the 2017 year when the penetration rate of EVs in passenger cars becomes 10%, and the rate of the electric energy consumed by the EVs will become to 9.4% at its maximum at the 2020 year when the penetration rate of EVs in passenger cars becomes 30%. The concepts of smart-charging capacity and 100%-valley-filling charging capacity of the grid were defined and calculated for the Jeju Grid, and the grid was analyzed to have the sufficient EV charging capacity until the 2022 year.

대규모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의 지역경제 활성화 평가지표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for the Local Economy Activation of Community Investment Renewable Energy Projects)

  • 임현지;윤성권;윤태환;김윤성
    • 신재생에너지
    • /
    • 제17권2호
    • /
    • pp.9-23
    • /
    • 2021
  • In Korea, various community investment renewable project models are being implemented to increase community acceptance of renewable energy.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local acceptance is that renewable energy proje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such as income increase or job creation for residents and local companies. To maximize the local economic effect of large-scale community investment renewable energy projects,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index for local economy activation, whose indicators are the local return on investment, local companies' participation, local job creation, regional cooperation, transparency, and governance. Analysis of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and current renewable projects, financial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pilot evaluation determined that, the local economic effect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a fund investment wind project (Gangwon), benefit-sharing wind project (Jeju), and general wind project. In particular, residents' investment amoun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residents, and the amount and transparency of the regional cooperation fund were key factors to expand the effect of local economy activation. This evaluation index could be used in public bidding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such as offshore wind zoning areas of local government.

제주지역 거시경제 전망모형을 이용한 정책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Policy Using Macro-economic Forecasting Model of Jeju)

  • 고봉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58-46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거시경제 전망모형을 이용하여 제주지역 사회의 중요한 정책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Ko, et al.(2012) 모형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확대·개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효과 분석을 위해, 2017년까지의 관련 통계자료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점검하고, 새로운 대내외 정책변수들과 모듈(module)을 확대·추가함으로써 모형의 현실 설명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제주경제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모형에서 설정된 산업구조를 보다 세분화시켰으며, 특히 케인즈 이론의 수요측면까지 모형에서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조를 확장시켰다. 둘째, 모형의 평가에서는 구(舊)모형에 비해 본 연구의 모형에 대한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일부 내생변수에서 향후 지속적인 자료의 보완을 통해 보다 개선된 모형 개발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제2공항 건설에 따른 정책효과 분석결과, GRDP 1.25배, 고용 1.2배, 민간소비 1.48배, 투자 2.06배 증대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경제성장률은 제2공항을 건설할 경우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연평균 1.6%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책의 사결정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지역 내 의료관광 기초 조사를 통한 추진 모형 수립 (A Model Building and Fundamental Research of Health Tourism in Jeju Region)

  • 김민철;문성종;부창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2-393
    • /
    • 2008
  •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관광산업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광산업 내 새로운 대안으로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야는 의료산업과 연계한 관광 개발이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의료관광을 전략산업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국내 외 사례들을 조사하고, 제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의료관광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문가의 의견 수집을 통해 가장 적합한 제주형 의료관광의 추진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수산부산물의 발생·이용 실태 평가 및 해양바이오 산업화 방안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Fisheries By-products: Major Options to Marine Bioindustrial Application)

  • 안소언;이원규;장덕희;강도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149-164
    • /
    • 2021
  • Since the existing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s are no longer sustainable, countries are pushing for policies to make fisheries by-products as resources in an eco-friendly manner, and international standards are also being strengthened to increase the value of by-products. 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the by-products are rapidly changing, such as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nd enhancing circular resources by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aw materials derived from the by-products have been steadily imported from 2018. In particular, the number of imports of fish collagen peptides was only 16 number of times in 2017, but was rapidly increased to 483 number of times in 2020. Simultaneously, the demand for raw materials and nutrients for health functional food derived from fish by-products, which did not exist statistically until 2017, started to arise from 2018, and in 2019, consumption of high-value-added raw materials for fish by-products increased by 4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However, limitations are in legal and biotechnical industry aspects while its value as a biomaterial is recognized in the by-products-related industry. In this study, therefore, the status of by-products for upcycling biomaterials was reported and provided a scientific basis for supporting governmental strategies. In order to fulfill with the principles of a sustainable circular economy, the factors on hinder the marine bio-industrialization of the by-products were derived and suggested directions and plans for development into a high-value added the by-products as the marine bio-industry by substituting imported raw materials to support the development.

제주지역 고농도 biomass 활용 시스템 제안 (The Proposal for High-concentrated Biomass Utilization System in Jeju)

  • 강진영;이수미;허목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2호
    • /
    • pp.51-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주요 biomass에 대한 통합관리 및 자원순환체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주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biomass는 슬러지가 년간 10,818톤, 음식물쓰레기가 61,284톤, 가축분뇨 1,519,000톤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슬러지의 경우에는 해양배출, 음식물쓰레기는 자원화, 축산분뇨는 발생원에서 처리되어 액비 등의 형태로 재활용되고 있다. Biomass자원의 순환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일본 오이타현 Hita-city에서 적용하고 있는 biomass town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체계를 도입함이 적합한 사례라고 사료되었으며, 자원화체계를 구축하는 모델을 설정하여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 시설규모에 차이가 있으나, 4년 이내 흑자로 전환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지역의 Biomass자원의 순환관리 체계 구축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가축분뇨가 고려되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처리에 대한 문제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 PDF

제주 해군기지의 역할과 전망 (Roles and strategic functions of the Jeju Naval Base)

  • 이춘근
    • Strategy21
    • /
    • 통권39호
    • /
    • pp.140-162
    • /
    • 2016
  • The construction of Jeju Naval Base was finally completed and donated to the Republic of Korea Navy on February 26th this year. There is no doubt that the new base will contribute to the substantial augmentation of Korea's naval power and maritime security. However, we should note that the new naval base took a long and hard twenty-three years to be completed. In the 21st century, Korea should adopt a new strategy that can fulfill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Korea for the new a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21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globalization, and in the world of globalization, a national boarder has become meaningless. In the late 20th century, after the Cold War, trade between countries have greatly increased and so did the importance of the seas. Having transformed from an agricultural country into a commercial country, Korea went from a continental state to a maritime state. Korea has become the 9th largest trading state, and obviously, the importance of the sea has become significant. Korea's national strategic focus needs to be on the sea for national survival. Thus, since the 1990s, the Korean Navy has planned to build the Jeju Naval Base. Jeju, due to its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 21st century Korea's economy and national security. Jeju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a route that reaches out to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the ending point of the sea route that heads towards Korea. Jeju is located in the center of Northeast Asia and thus, Jeju Naval Base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e area's security and order. Jeju Naval Base will be very useful not only for the maritime security of Korea, but also for keeping peace and order in Northeast Asia. Jeju Naval Base was the minimal effort against the six sea route security threats towards Korea. The six sea route threats are: 1) Threat from North Korea; 2) China's Threat towards Korea's sovereignty; 3) China's treat towards Korea's fishery; 4) Threat from Japan; 5) Threat towards Korea's sea routes; 6) Threat from recent phenomena of isolationism of the United States. Jeju Naval Base is built for both warships and civilian ships--such as cruise ships--to use. Just like the United States' Pearl Harbor, Jeju Naval Base will become not only the largest military base, but a beautiful tourist site.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Neoliberal Space of Exception)

  • 이승욱;조성찬;박배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9-287
    • /
    • 2017
  •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 극복과 새로운 국가경쟁력 확보 등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지방의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중앙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21세기 동북아 중심도시'를 목표로 야심차게 출범하였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 추진이 결정된지 약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러한 발전 비전은 사실상 상실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상적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표방한 제주국제자유도시가 발전주의 국가모델의 유산이 여전히 작동하는 한국 경제체제에서 예외적으로 급진적인 신자유주의 개방경제공간을 지향하였고 각종 신자유주의 탈규제 정책의 실험장으로서의 역할을 자임하였지만, 환경과 사회경제적 모순 격화로 인한 지역사회 갈등의 심화, 중앙정부의 형평성 논리 및 제한된 자치권으로 인하여 사실상 실패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예외공간으로서의 경제특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 비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다양한 예외적 제도와 공간적 장치들이 제주를 어떻게 예외공간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