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red pin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19초

대구 팔공산 지역의 소나무 수관층 연료 특성 (Crown Fue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Mt. Palgong, Daegu)

  • 구교상;이병두;원명수;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52-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수관화에 취약하다고 밝혀진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의 연료특성을 잎과 가지 굵기 별로 구분하여 수분함량, 연료밀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에서 소나무 10그루를 벌채하여 각 부위별로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수관층 살아 있는 부위의 평균 수분함량은 53%, 죽은 부위는 15.3%였으며, 생엽의 수분함수율은 평균 56%이었다. 수관화 확산시 실제적으로 연소되는 잎과 직경 1 cm 이하의 가지를 합한 연료량은 전체 바이오매스에서는 16.2%, 수관층 바이오매스에서는 55%를 차지하였다. 수관 연료밀도는 평균 0.24 kg/$m^3$이었으며, 잎과 1 cm 굵기 이하의 가지를 합한 유효 수관연료밀도는 0.1325 kg/$m^3$이었다.

소나무에서의 솔잎혹파리 피해 분포 (Distribution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Diptera: Cecidomyiidae), infestations o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 정영진;이준호;이범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55
    • /
    • 1997
  • 1992년, 1995년 및 1996년 3년 동안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양양군 일원의 소나무 임지에서 본 해충의 공간분포 양식을 조사한 결과,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의 소나무간 및 소나무 내 분포의 특징은 수고별로는 충영형성율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수관부위별로는 상부>중부>하부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나무 치수에서도 정아신초의 충영형성율이 가낭 높고 수관 하부쪽으로 갈수록 충영형성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선단지의 솔잎혹파리 표본조사본수로는 수관 중부의 주초 1개와 측초 2개를 표본단위로 하여 1본당 2개의 표본단위를 취할 때. 10% 수준의 오차범위에서는 32본, 25% 수준의 오차범위에서는 5본을 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국내 소나무 집단에 있어서 cpSSR 표지자 변이체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 of cpSSR Variants in Korean Populations of Japanese Red Pine)

  • 홍용표;권해연;김용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435-442
    • /
    • 2006
  • 국내 소나무 19개 집단을 대상으로 cpSSR 표지자 분석을 통해서 관찰된 28개 변이체로부터 총 167개의 독특한 haplotype이 확인되었고, 동일한 haplotype을 보인 13개체가 10집단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각 집단에서 관찰된 유효 haplotype의 수는 평균 13.37개로 나타났다. cpSSR haplotype의 집단내 다양도(He)는 0.987로 계산되어 기존의 임목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고된 수치와 유사하거나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각 haplotype을 구성하고 있는 cpSSR 변이체를 대상으로 각 집단에서의 다양성(S.I.)을 계산한 결과 강원도 영월집단이 1.109로 계산되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경북 문경집단이 0.411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평균 0.887), 관찰된 cpSSR 변이체들의 대부분이 19개 집단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97.62%), 집단간에 cpSSR 변이체 분화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Phi}_{ST}=0.024$) cpSSR 표지자의 높은 돌연변이 발생빈도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비교 가능한 173개 집단 쌍 간에 동일한 haplotype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집단 쌍이 39쌍으로 나타나 집단간의 유전적 유연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가 불가능했으며, 따라서 분석된 19개 집단간에 유전적 교류가 자유롭게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pSSR 표지자 변이체의 분포양상과 기존의 I-SSR 표지자 변이체의 분포양상을 비교 고찰해 볼 때 국내 소나무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분석된 소나무 집단의 현재 위치 정보와 유전정보가 함께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건축용 목재의 열 유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Hazard Assessment of Building Wood)

  • 우태영;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6-14
    • /
    • 2018
  • 본 연구는 건축용 목재의 화재위험성에대하여 열방출 특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열방출 성질은 cone calorimeter (ISO 566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4종의 목재를 사용하였다. 외부 열유속 $25kW/m^2$에서 연소시킨 후 측정된 착화시간은 35 s부터 55 s까지였다. 나왕(lauan)과 적송의 착화 시간은 각각 54 s, 55 s로 가장 지연된 값으로 얻어졌다. 최대열방출율은 $156.87{\sim}235.1kW/m^2$ 였고 화재초기의 위험성은 가문비나무가 가장 높았다. 삼나무의 평균유효연소열은 19.1 MJ/kg였고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재성능지수(FP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2468s{\cdot}m^2/kW$) < 적송($0.2339s{\cdot}m^2/kW$) < 가문비나무($0.2308s{\cdot}m^2/kW$) < 삼나무($0.2231s{\cdot}m^2/kW$) 순으로 높았고 화재성장지수(FGI)에 의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나왕($0.5088kW/m^2{\cdot}s$) < 적송($0.511kW/m^2{\cdot}s$) < 삼나무 ($2.8522kW/m^2{\cdot}s$) < 가문비나무($3.0662kW/m^2{\cdot}s$) 순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목재의 열방출 특성에 대한 화재위험성은 가문비나무와 삼나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Two Species of Soft Wood Decay Resistance for Heat-Treated Wood Using the Catalyst (H2SO4)

  • Won, Kyung-Rok;Hong, Nam-Euy;Jung, Su-Young;Kim, Byung-Ro;Byeon, Hee-Seop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95-20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heat-treated wood using the catalyst to decay caused by fungi for sapwood and heartwood of two tree species,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respectively. Wood samples were immersed for 10 min in sulfuric acid (7.5%) and then heat-treated at $130^{\circ}C$ for 90 min. Fomitopsis palustris, a brown-rot fungus, was used to examine the decay resistance of Korean red pine and Japanese larch wood. Weight and density of wood from the all conditions increased after heat treatment using the catalyst. Weight loss after decay resistance test was also dropped with a heat treatment. The lowest weight loss indicated at heat-treated heartwood of Japanese larch. Heat treatment using the catalyst effectively increased the resistance of wood to decay caused by fungi.

Performance of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Adhesives at Various Melamine Contents for Bonding Glued Laminated Timber Under High Frequency Heating

  • Hong, Min-Kug;Park, Byung-Dae;Kim, Keon-Ho;Shim, Kugb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409-418
    • /
    • 2017
  • This work attempted to manufacture glued-laminated timber (Glulam) bonded with melamine-urea-formaldehyde (MUF) resin adhesives at various melamine contents from 20% to 50% under high frequency (HF) heating for a very short time. Two preparation methods were employed to prepare MUF resin adhesives with different melamine contents: one-batch method of synthesizing MUF resins in a single batch, and two-batch method of mixing urea-formaldehyde (UF) resin with melamine-formaldehyde (MF) resin that had been synthesized separately. As the melamine content increased, the gelation time and peak temperature of MUF resins decreased. The adhesion performance of plywood showed that the one-batch MUF resin adhesive with 50% melamine content only satisfied the standard requirement of water resistance. Thus, the one-batch MUF resin adhesive with 50% melamine content was applied for bonding wood lamina from four softwood species such as Japanese larch, Korean red pine, Korean pine and Japanese cedar to manufacture Glulam under HF heating. All Glulam samples bonded with the one-batch MUF resin adhesives with 50% melamine content except those from Korean Red Pine satisfied the requirement in water soaking or boiling water delamination test as an exterior grade Glulam. The presence of rosin in Korean Red Pine wa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its poor adhe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ne-batch MUF resin adhesives with 50% melamine content provided acceptable water resistance with exterior grade Glulam manufactured under HF heating.

국산 주요 간벌 소경재의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 (Flexural properties of dear specimens made from small diameter thinned trees)

  • 차재경
    • 임산에너지
    • /
    • 제22권1호
    • /
    • pp.44-48
    • /
    • 2003
  • 국산 간벌 소경재인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소나무(Pinus densifora Sieb. et Zucc), 일본잎갈나무(Larix kaemferi Carr) 및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로 만든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을 조사하였다. 휨강도와 탄성계수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비중이 큰 상수리나무가 가장 큰 휨강도와 탄성계수를 나타냈으며, 비중이 작은 일본잎갈나무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휨탄성계수와 휨강도는 응력파 탄성계수와 양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응력파 탄성계수에 의해 휨 특성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

국내산 침엽수 열압밀화재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ally Compressed Domestic Softwoods)

  • 황성욱;조범근;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66-674
    • /
    • 2014
  • 국산 침엽수재의 용도확장을 위해 열압밀화를 실시하여 압축세트량에 따른 역학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열압밀화 공정에 의해 시험편의 밀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50% 압축 시 대조군 대비 잣나무재가 약 71%, 소나무재가 약 74%, 낙엽송재가 약 76%의 밀도가 증가되었으며, 압축세트량 증가와 함께 시험편의 재질이 균일해진다는 것을 내부밀도분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열압밀화에 따른 역학적 성능의 변화는 대조군 대비 50% 압축 시 잣나무재의 경우, 종압축강도가 76%, 휨강도가 83%, 표면경도가 55% 증가하였다. 소나무재는 종압축강도가 69%, 휨강도가 130%, 표면경도가 76% 증가되었다. 낙엽송재의 경우 종압축강도가 77%, 휨강도가 120%, 표면경도가 44% 증가되었다. 국산 침엽수 열압밀화재의 강도성능은 일반적으로 낙엽송재가 가장 높고 잣나무재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열압밀화에 의한 강도성능의 증가율은 소나무재가 가장 높았다.

유럽규격 시험방법에 의한 국산 유용 침엽수재의 천연 내후성 평가 (Evaluation of Natural Decay Durability on Valuable Domestic Softwoods by European Standard Test Method)

  • 이종신;김영숙;김규혁;김경태;김윤희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2-228
    • /
    • 2015
  • To evaluate the natural decay durability of valuable domestic softwoods which are used for preservative treatment in our country, we carried out decay test by European standard method. Of all test wood species,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showed slightly high natural decay durability compared to other 4 wood species,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pitch pine (Pinus rigida), Japanese cedar (Cryptomeria japonica), and scots pine (Pinus sylvestris). However, all of evaluated domestic softwood species in this study caused high weight losses over about 30% in heartwood by test fungus, Poria placenta. We can hardly expect a good natural decay durability from these softwood spec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atural durability of European standard (EN 350-1), they are classified into "Not durable" or "Slightly durable". Therefore, if using these softwoods as exterior materials, we must do preservative treatment to ensure du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