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mille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orghum, proso millet and japena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italian ryegrass

  • Kim, Jihye;Cho, Jin-Wo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43-49
    • /
    • 2018
  • The species of forage crops used in this study were Italian ryegrass (cv. Kowenery), sorghum (cv. SX17), proso millet (cv. domestic) and Japanese millet (cv. Jeju). The plant height of the summer crops was the highest at the dough stage. The dry matter yield of Italian ryegrass was 902.7 kg per 10 a. The dry matter yield of the winter crop and sorghum was 11,985 kg when harvested at the dough stage rather than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s. The proso and Japanese millet also had higher yields for dry matter during the dough stage rather than during heading and regeneration.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of Sorghum wa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harvest; however, the proso and Japanese millet had a higher ADF content at the dough stage. The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was higher at the dough stage than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 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also lower at the dough stage than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 The crude protein production for the dry matter yield was about 84 kg in Sorghum when harvested at the dough stage. Proso millet showed no difference for the crude protein production at the heading and dough stage while the Japanese millet had a higher crude protein produ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for the three crops according to the harvesting time. Therefore, if Sorghum and Proso and Japanese millet are to be combined with Italian ryegrass, it is better to harvest them at the dough stage.

피삼에 의한 송아지 광과민증 1례 (Photosensitization due to the ingestion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in a Holstein calf)

  • 장광호;이주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36-440
    • /
    • 1998
  • Photosensitization occurred in a 4-month old Holstein calf soon after going onto the pasture lush with green Japanese millet(Echinochloa crusgalli). Skin lesions were restricted to the unpigmented white area of skin. They were most pronounced on the dorsum of the body, diminishing in degree down the sides and were absent from the ventral part. The demarcation between lesions and normal skin was clearcut. There were edema, exudation and sloughing of affected skin on the left gluteal region, and erythema, edema and scab on right scapular region. Interception of the light, discontinuance of Japanese millet ingestion, and the administration of antihistamine and penicillin made the calf rapid recovery. This disease was considered photosensitization due to chlorphyll in ingested Japanese millet.

  • PDF

동계 사료작물 보리와 하계 사료작물 수수, 기장 및 피 작부방식에 따른 생육과 조사료 생산량 비교 (Comparison of Forage Yields and Growth of Summer Forage Sorghum, Proso millet and Japanese millet according to Cropping System with Winter Forage Barley)

  • 김지혜;박형수;조진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6-290
    • /
    • 2018
  • 동계작물인 보리를 재배한 후 하계작물인 수수, 기장 및 피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료 생산량과 그에 따른 사료가치를 분석하여 보리와 적합한 하계작물의 최적의 작물조합을 선정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하계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가 가장 컸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수분 함량은 1차 수확할 때 가장 높았고 호숙기에 수확할 때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2. 보리의 건물수량은 10 a 당 1,343 kg였으며 보리와 하계작물를 작부체계에 따른 건물수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10,018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 역시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건물수량이 더 많았다. 3. ADF 함량은 수수는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 때가 낮았지만 기장과 피는 호숙기가 더 높은 ADF 함량을 보였다. NDF 함량은 3작물 모두 1차 및 2차 수확 시 보다 호숙기에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1차 및 2차 수확할 때가 호숙기에 수확할 때보다 함량이 더 높았다. 4. 건물 수량에 대한 조단백질 총생산량은 수수의 경우 1차 및 2차 수확할 때보다 호숙기에 수확할 때 약 761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장과 피는 출수기와 재생 후 수확할 때가 호숙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가소화양분총량은 3작물 모두 수확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김원호;이승헌;윤세형;정의수;임영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5-340
    • /
    • 2004
  • 본 시험은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간 척지내 시험포장에서 전작물로 벼 재배된 곳을 밭으로 전환하여 공시 초종으로 옥수수 2품종 (수원19호, P3156), 수수$\cdot$수단그라스 2품종 (Jumbo, Speedfeed) 그리고 청예용 피 1품종(제주재래종)를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각 작물재배구의 계절별 토양 염류토는 각 작물구 모두 생육초기에는 낮게 유지한 후 기온상승과 함께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장마 후 수확기에는 다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사료용 피가 가장 높았으며 수수x수단그라스 교잡종 그리고 옥수수 순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이 가장 높았으며, NDF 함량과 ADF 함량은 사료용 피>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옥수수 순으로 높았으며, 식물체 중 나트륨(Na) 함량은 사료용 피가 옥수수나 수수$\cdot$수단그라스 교잡종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간척농지를 밭으로 전환하여 시험한 결과는 사료가치는 다소 낮지만 생육상황, 건물생산성면에서 사료용 피가 가장 적합한 여름철 사료작물이라 사료된다.

돈분 액비 시용이 피의 생산성, 토양 특성 및 용탈수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Application on the Production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Soil Properti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aching Water)

  • 김문철;송상택;황경준;임한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7-266
    • /
    • 2006
  • 저 농도와 고 농도 돈분 액비의 비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제주대학교 목장에서 2005년 6월부터 9월까지 피의 생산성, 피 재배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용탈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난괴법 4처리 (무비구, 200 N kg/ha +150Pkg/ha+150 K kg/ha 화학비료구, 200 N kg/ha 1.8% DM 저농도 돈액비구, 200 N kg/ha DM 7.0% 고농도 돈액비구) 4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용탈수는 2005년 8월 21일(1차), 9월 9일(2차) 및 9월 26일(3차)에 각각 채취하였다. 피의 건물수량은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화학비료구가 가장 높았으며, 초장은 무비구 보다 화학비료와 돈분 액비 시용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피의 질소, 인 및 칼륨 흡수량은 화학비료와 고농도 돈액비구에서 다른 처리 보다 높은 추세였다. 토양의 OM함량은 무비 보다 비료시용(화학비료와 돈액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Na 함량은 저농도 액비구에서 가장 높았다. 용탈수 중 $NO_{3^-}N$$NH_{4^-}N$ 함량은 처리 간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 하였으며 1차 채수된$SO_4$ 함량은 고농도 액비에서 3차 채수된 $SO_4$ 함량은 저 농도 액비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p<0.05). 1차 채수된 용탈수에서 Cl, Mg 및 Na 함량이 고농도 액비에서 2, 3차 채수 시에는 저 농도 액비구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하계작물 피에 고농도 액비 시용은 화학비료나 저농도 액비보다 그의 생산성이나 토양 특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다만 시용 초기에 용탈 수의 $SO_4$나 Cl, Mg 및 Na 함량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제주화산회토양에서 발효 톱밥 돈분 시용이 피의 건물수량,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및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Dry Matter Yield of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Population of Soil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Fermented Sawdust Swine Manure in Cheju Volcanic Ash Soil Area)

  • 김문철;김태구;이종언;문봉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68
    • /
    • 2005
  • 여름 사료작물 피에 대해 톱밥 발효돈분의 비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사료작물 포장에서 시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난괴법 6처리 3반복으로써 처리 1: 화학비료 정량$(N\;200kg/ha+P_2O_5\;300kg/ha+K_2O\;200kg/ha)$, 처리 2: 화학비료 정량의 $1/2(N\;100kg/ha+P_2O_5\;150kg/ha+K_2O\;100kg/ha)$+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 (N 100kg/ha), 처리 3: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1/2(N 100kg/ha), 처리 4: 톱밥 발효돈분 정량(N 200kg/ha), 처리 5: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2배(N 400kg/ha), 처리 6: 톱밥 발효돈분 정량의 4배(N 800kg/ha)로 설계하였다. 동일한 질소 200kg/ha 시용수준에서 화학비료 $100\%$ 시용구(T71)가 톱밥 돈분과 화학비료 혼합(T2)이나 톱밥 발효돈분 $100\%$ 시용구(T4) 보다 통계적으로 낮은 건물수량을 얻었다. (p<0.01). 톱밥 발효돈분을 질소수준으로 100, 200, 400 및 800kg/ha 시용수준에서 피의 건물 수량은 각각 7,707, 8,259, 8,713 및 6,842 kg/ha이었고 질소 400kg/ha까지 시용량 증가로 건물수량이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피의 P. K 및 Ca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동일한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피의 P와 K 함량은 톱밥 발효 돈분구 보다 화학비료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토양의 pH, 유효인산, 치환성 K, Ca 및 Mg 함량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로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P<0.05) 같은 질소 200kg/ha 수준에서 화학비료구 보다 톱밥 발효 돈분 시용구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얻지 못했다. 1998년 6월에 토양 미생물 중 박테리아 수는 톱밥 발효돈분 시용량 증가로 증가했으나(P<0.05), 10윈 조사시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10원에 박테리아 대사상균 비율은 톱밥 발효돈분의 시용량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추세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척박토양에서 피 재배시 톱밥 발효돈분 100kg/ha와 화학비료 100kg/ha 혼합하거나 톱밥발효돈분만 N 400kg/ha 까지가 적정 수준이다.

논 전환밭에서 토성에 따른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 김수형;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7-584
    • /
    • 1994
  • 수원지역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를 달리하는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 실험포장(사양토)과 작물시험장 벼 재배포장(식양토)을 선정하여 월동 청예 사료작물 3가지와 하기 청예사료작물 4가지에 대한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정하고 초기 전환밭에서 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검색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작물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된 7종의 사료작물들은 지하수위가 낮고 상대적으로 사질성인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포장에서 더 좋은 생육 및 수량을 보였으며, 두 포장 모두 하기 청예용 사료작물의 재배시에는 습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청예용 사료작물 중에서는 트리티케일이 평균 1052kg/10a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포장간의 건물수량 차이도 보이지 않아 전환 밭에서의 월동 작물로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호밀은 두 포장간의 차이가 있어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있었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평균 41.6%의 낮은 월동률을 보여 위도가 높은 수원지역에서는 전환밭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기 청예사료작물 중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평균 1139kg /10a 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잡종과 진주조, 사료용 옥수수는 토성간의 건물수량의 차이가 있어서 식양토 전환밭에서는 습해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용 피는 두 포장간에 수량차이가 없었다.

  • PDF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ummer Grain Legumes and Forage Grasses in Cheju Island

  • Kang, Young-Kil;Cho, Nam-Ki;Yook, Wan-Bang;Kang, Min-S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5-249
    • /
    • 1998
  • Soybean [Glycine max (L.) Merr.),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 cowpea [V. unguiculata (L.) Walp.], adzuki bean [V.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maize [Zea mays L.],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times$ sudangrass [So bicolor intraspecific hybrid], and Japanese millet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Link) W.F. Wight] were grown at two planting dates (18 June and 15 July) at Cheju in 1997 to select the best forage legumes adapted to Cheju Island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Averaged across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were 5,646, 1,056, and 3,637 kg/ha for soybean, 4,458, 676, and 2,661 kg/ha for mungbean, 3,289, 553, and 2,055 kg/ha for cowpea, 3,931, 674, and 2,489 kg/ha for adzuki bean, 12,695, 969, and 7,642 kg/ha for maize, 17,071, 1,260, and 8,857 kg/ha for sorghum, 16,355, 1,163, and 8,543 kg/ha for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and 8,288, 929, and 4,091 kg/ha for Japanese millet. Soybean was higher in CP, ether extract (EE), and TON content but was lower in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 compared with the three other legumes. The legumes had much higher CP (13.7 to 21.9%), EE (2.42 to 6.23%), and TDN (58.7 to 69.9%) content but lower in crude fiber (CF) content (17.3 to 25.3%) than did the grasses tested except maize which had relatively lower CF content but higher TDN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ybean could be the best forage legume for grass-legume forage rotation in the Cheju region.

  • PDF

한국 속 재래품종의 지리적 분포와 형질변이 및 주변지역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Variation of Collected Local Lines of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BEAUVOIS) in Korea and Their Ethnobotanical Relation to Adjacent Areas)

  • 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4-339
    • /
    • 1983
  • 재배식물이나 품종의 분화 발달 및 분포와 그의 주변지역과의 개연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재래성이 강한 속품종을 전국적으로 91계통을 수집하여 아세아수개국에서 수집된 238품종 또는 계통과 함께 조사 연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수집계통의 66%가 차조이고 이들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메조는 32%로서 산간지와 재배밀도가 높았든 제주도에 주로 분포된 경향이었다. 2. 저온(8$^{\circ}C$)에서의 발아율 및 평균발아일수로 나타낸 저온발아성은 수집계통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경기 및 전남북지방에서 수집된 계통들간에 변이가 크고 다양하였으나 품종의 지리적 분포와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3. 수집계통들의 1,000립중은 변이가 크고 대체로 대립품종은 전남 및 제주와 같은 극남부지방 수집계통중에 많고 중북부 산간지에서 수집된 것 중에 소립계통이 많은 경향이었다. 4. 종피색은 황색계통이 전체의 약 70%로서 주류를 이루고 황백색, 등색 및 회색의 순이었으며 경북수집계통들이 가장 다양하고 충남, 전남 및 경남 수집계통들은 모두 황색이며 회색종피는 전남 및 경북 수집계통에서만 볼 수 있었다. 5. 한국 수집계통은 저온발아성이 중화민국품종에 비하여 높은 계통이 많고 또한 일본 및 중화민국 품종에 비하여 대립계통도 많은 경향이었다. 6. Pheonl반응은 한국 수집계통중 2계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반응을 나타내어 일본 및 중공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한 반면에 +반응을 나태내는 품종이 많은 중화민국(대만),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7. Esterase isozyme의 분석결과는 한국 수집계통들의 zymogram형은 ZT-1과 ZT-8형이 주이고 ZT-3과 ZT-9형이 약간 있어서 일본품종들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하지만 ZT-4, ZT-9 및 ZT-3형이 주가 되고 있는 중국품종이나 전부가 ZT-1 및 ZT-3형을 나타내는 중화민국,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전혀 다른 pattern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한국과 중공이 변이가 많은 다양성의 중심지역임을 나타내었다.

  • PDF

두과 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 이효원;박형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63
    • /
    • 2002
  • In order to supply 85% of total organic feed in ruminants and 80% in non-ruminants for organic animal production, nitrogen fixation ability of legume should be used in domestic roughages production. 50% of Europe organic farmer use intercropping legume in as green manure.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amount of biologically fixed nitrogen used by legume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transfer of biologically fixed N in rotation and separating the N benefit into fixed N and non-fixed N components are reviewed. Available data indicate that transfer amount of N to non legumes was from 50∼9.6(kg/ha) in legume-cereal rotations and proportion of legume N varied with seasons, 90% in summer, 50% in autumn. The important point in cropping system for legumes have to be includ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6 year rotation is based on pasture system of 3 year pasture + 2 year annual(com, sudangrass), again pasture. Rye, barly and Italian ryegrass+legumes(vetch, crimson and pea) can be one of option in spring, com, soybean, sudangrass and Japanese bamyard millet would be seeded after spring harvest in the field. Farmer can make good use of rice paddy field as forge production potential area after harvesting rice. Italian, burly and rye+vetch and crimsonclover may be grown in autumn or spring time at the rice f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