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RISA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초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as a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est Trails)

  • 손지원;하시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309-316
    • /
    • 2012
  • 숲길은 산림휴양서비스의 주요한 축으로 기존의 정상정복형 등산문화에서 벗어나 숲길이 가진 자연 및 역사문화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수준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이용유형에 적합한 방향으로 숲길의 관리 및 운영, 휴양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접근성, 물리적 속성 등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북한산 둘레길, 울진 숲길, 지리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숲길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탐방동기, 이용행태 등에 있어 전반적인 특성을 도출하였고 숲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중 노년층의 이용이 많고 등산, 트레킹 및 건강프로그램을 선호하며 인근주민의 가벼운 산책코스로써 이용이 두드러진다. 울진 숲길은 일부러 시간을 내어 방문하는 유형이 많았고, 트레킹 외에도 다양한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둘레길은 젊은 층의 이용이 많고, 트레킹에 대한 선호와 보행편의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 다른 숲길에 비해 걷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Occurrence of Hymenoptera (wasps and bees) and their foraging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Choi, Moon Bo;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67-374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ccurrence and foraging of social and other wasps and bees in Jirisan National Park (JNP, South Korea), in particular in an apiary. Sixty one traps were plac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JNP to identify social wasps from July to September 2014, and the damage to the apiary caused by wasps or bees was observed once a month from May to December 2014 between 10 a.m. and 5 p.m. In total, 10 species of Vespidae were collected by trapping. Vespa crabro was the most abundant (245 individuals, 28.3%), followed by Vespa velutina (162 individuals, 18.7%). In the apiary, however, V. velutina was the most frequent species. V. velutina visited a maximum of 167 times a day in September, which corresponded to one visit in 2.5 min. Accordingly, these data are in line with the most serious impact of V. velutina on the apiaries in South Korea. V. simillima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species; both Vespa species hawked honeybees. Even though the occurrence of V. mandarinia was low, this species caused serious damage by mass slaughter of honeybees. The occurrence of V. crabro, V. analis and V. ducalis was quite low and their impact on honeybees was negligibl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V. dybowskii foraging for honeybees, but they are considered to be a new pest because their impact on apiaries is considerable. Most Vespa species attacked the apiary from June to October, with a maximum in September. However, V. velutina visited until November to early December. Vespula species are not more serious pests than Vespa species, but many adults were observed stealing honey from beehives. Polistes, Orancistrocerus, and Bombus species had no impact on honeybee colonies in the apiary.

지리산 천연림의 유형 분류 및 천이지수 추정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in the Natural Forest of Jirisan(Mt.))

  • 임선미;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368-374
    • /
    • 2015
  • 본 연구는 지리산 일대 천연림에서 점표본법인 사분법에 의해서 수집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림은 신갈나무림형, 들메나무-거제수나무림형, 중생혼합림형, 구상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 졸참나무림형, 소나무림형, 굴참나무림형 등 8개의 산림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8개의 산림형들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각 산림형별로 천이지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서어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219.7로 산출되어 가장 높았고, 미미한 차이의 천이지수 218.3이 산출된 중생혼합림이 그 뒤를 이었으며, 소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가장 낮았다. 산림형들의 천이지수와 종다양성지수와의 비례적인 관계는 찾기 어려웠다. 가정적으로, 천이지수가 높은 산림형은 극상림에 보다 가까이 근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추정된 천이지수는 천이 단계를 가늠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지만, 산림형들 간에 천이 계열 상의 위치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호지역 경계조정을 위한 공간의사결정지원모델 연구 - 지리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Spatial Decision Making Support Model for Protected Areas Boundary (re)Design -A Case of Jirisan National Park-)

  • 성혜정;권혁수;서창완;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01-11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DS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that can incorporate diverse opinions of stakeholders related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PA), and to employ the model for the readjustment of the boundary line of the Jirisan National Park of Korea. The SDSS would lead to more rational and less controversial decision-making during the expansion or removal of PA in Korea.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to select evaluation criteria for SDSS for PA designation by using expert interview and literature survey. Secondly, to measure their preferences on the designation of additional PA or the removal of a part of PA based on the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local residents, environmental groups, or public officials. Thirdly, to produce conservation priority maps based on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The SDSS would be used to rational decision making for the expansion of PA or the release of a certain part of PA by reflecting diverse preferences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economic interest of residents. The visualization of conservation priority maps would als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ch decision making process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xpansion of PA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cludes vegetation conservation value, wildlife conservation value, and the habitats of key speci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removal of PA includes the proximity to roads and the boundary of PA, land use types, and conservation zoning of the PA. Preference weights are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Jirisan National Park. Both the conservation priority and removal priority maps are based on land parcels so that property rights of all parcels would be correctly represented.

국립공원 선호의 문화권간 비교: 경관의 전형성으로부터의 접근 (Cross-cultural Comparison of Landscape Preference for the National Park: An Approach from a Typicality of Landscape)

  • 이덕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2-4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문화권 간에 경관이 지닌 전형성과 그 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여기에 지역간 혹은 문화간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비교해 보는데 있다. 영국과 한국의 전형적 자연경관을 선별하기 위하여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과 한국의 지리산 국립공원의 사진이 이용되었다. 이에 대한 자연경관 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및 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에 대한 사진설문 조사가 실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두 집단 모두 연령과 방문횟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응답자의 경우 지리산 국립공원 응답자에 비하여 방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성과 선호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리산 자연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 이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도 높게 나타났으나, 반면에 케이른고럼스 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는 시각적 선호성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즉, 자연경관의 전형성과 시각적 선호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하지만, 문화집단간 그 정도의 방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 가문비나무림의 산림군집구조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Mt.))

  • 안현철;김갑태;추갑철;엄태원;박삼봉;박은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90-596
    • /
    • 2010
  •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가문비나무의 생육현황과 가문비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가문비나무가 주로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3개의 방형구($20{\times}20$ 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가문비나무는 주로 상층수관의 나무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5.6%이었고,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개회나무와 당단풍, 미역줄나무, 졸참나무; 좀고채목과 괴불나무; 나래회나무와 시닥나무;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가문비나무와 구상나무; 좀고채목과 시닥나무;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1.0000~1.3010범위로 나타났다.

지리산숲길 이용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 영향 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 이혜린;김재준;조은경;강민지;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지리산숲길 이용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숲길 조성 및 관리방안 수립의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645명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지리산숲길 탐방 만족 요인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숲길경관체험', '숲길숙박체험', '숲길관련정보', '숲길편의시설' 등 모두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숲길경관체험(자연경관, 숲길 개발정도, 숲길 관리상태, 문화 관광자원, 주민 친절)이 전반적인 만족도 및 행동의도(재방문의도, 추천의도, 탐방지속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변수별 분석 결과, 전반적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연경관'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안내표지판', '주민 친절', '안내센터 숲길 정보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나비의 고도에 따른 다양성과 서식 분포 (Altitudin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utterflies inhabiting Mt. Jirisan, South Korea)

  • 이상훈;안나현;안정섭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497-506
    • /
    • 2020
  • 이 연구에서 지리산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높은 고도까지 나비의 종다양성, 고도에 따른 생태적 특성, 우점종의 고도 분포에 대해 알아보았다. 나비는 총 5과 58종 769개체의 나비를 확인하였다. 낮은 고도와 높은 고도에서 종다양성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군집분석을 통해 3개(낮은 고도, 중간 고도, 높은 고도)로 구분하였으며, 낮은 고도에 비해 높은 고도에서는 서식지 범위가 좁은 종의 비율이 높았으며, 단식성 나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다화성 나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배추흰나비(Pieris rapae)는 600m 이하의 고도에서 서식하고, 큰흰줄표범나비(Argynnis ruslana), 먹그늘나비(Lethe diana)는 900 m 이상의 고도에 서식하며, 특히 큰흰줄표범나비(Argynnis ruslana)는 1,000m 이상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를 통해 지리산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나비의 고도 분포 변화 및 다양성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리산 소하천유역의 홍수량 산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Flood for Small Catchment in Jirisan)

  • 장형준;김성구;윤영호;김민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23-29
    • /
    • 2022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국지성 호우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한 수자원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국지성 호우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책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유역은 기본계획 수립 등의 부재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지리산 국립공원 중 유평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리산 유평유역은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홍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수공 구조물, 안전 시설물 및 탐방로에 대하여 위험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Soi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ies at Korean national parks: focusing on Sobaeksan, Deogyusan, Jirisan National Parks

  • Chang Min Lee;Sang Jin Lee;Gwan Soo Park;Hyoun Sook Kim;Hong Chul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215-22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i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y, which is currently showing a continuous decline in its size,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management and creation of a conservation plan for the Abies koreana communities at the Korean national parks of Sobaeksan, Deogyusan, and Jirisan. Soil depth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depths deeper than 40 cm into the B horizon at most study sites, except for the Dwaejipyeongjeon and Byeoksoryeong sites. The soil water content exceeded 30% on average, and these soils showed low bulk density levels. The soil texture was found to be the loamy or silty loam type at most study sites. It was also found in a chemical characteristic assessment that the soil samples contained more than 10% organic matter at most study sites.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total N concentration levels were also high at most study sites. However, the soil showed low exchangeable K+, Na+, Ca2+, and Mg2+ levels at most study sites. Finally, the pH values were 4.90, 4.53, and 4.60 at soil depths of 10 cm at the Sobaeksan, Deogyusan and Jirisan sites, respectively, outcomes that are notably lower than the average levels in soil from Korean fores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cold and wet climate of these subalpine regions given the reduced leaf-litter decomposition rate and accumulation of organic 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