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alian mille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제주조의 질소시비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Rate on Growth Characters,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강영길;송창길;고동환;조영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질소시비량 차이(0, 50, 100, 150, 200, 250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5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92일에서 98일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96cm였던 것이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200kg, 250kg/ha 시비구에서 각각 134cm, 135cm였으나 두 시비구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무비구에서 질소시비량이 250kg/ha 증가함에 따라 생초수량은 18.88MT/ha에서 42.82 MT/ha로 건물수량은 8.45MT/ha에서 12.25 MT/ha, 단백질수량은 0.76MT/ha에서 1.59MT/ha, TDN수량은 4.32MT/ha에서 6.79 MT/ha로 증가되었으나 200kg/ha과 250kg/ha의 두 시비구 간에 모든 수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무질소구에서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 함량은 9%에서 13.0%로, 조지방은 1.4%에서 1.7%로, 가용무질소물은 46.1%에서 46.9%로, TDN 함량은 51.1%에서 55.5%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8.7%에서 8.2%로, 조섬유 함량은 34.9%에서 30.2%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제주조의 파종량 차이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eeding Rate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ing Value in Jei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1-276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6, 9, 12, 15, 18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89일에서 96일로 파종량이 많을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6kg/ha 파종에서 128cm 였으나 파종량이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148cm로 커졌고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장은 작아져서 18kg/ha 파종에서는 131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엽폭은 파종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엽장은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2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 수량은 35.93MT/ha에서 54.83MT/ha로, 건물 수량은 10.49MT/ha에서 17.43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4MT/ha에서 1.79MT/ha로, TDN 수량은 5.33MT/ha에서 9.27MT/ha로 증가되었다 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수량과 TDN 수량은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6kg/ha에서 18kg/ha로 증가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0%에서 12.01%로, 조지방 함량은 1.3%에서 1.8%로, 가용무질소물은 45.6%에서 47.8%로, TDN 함량은 50.8%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2%에서 30.0%로, 조회분 함량은 8.8%에서 8.4%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량은 12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논 전환밭에서 토성에 따른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 김수형;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7-584
    • /
    • 1994
  • 수원지역에서 토성 및 지하수위를 달리하는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 실험포장(사양토)과 작물시험장 벼 재배포장(식양토)을 선정하여 월동 청예 사료작물 3가지와 하기 청예사료작물 4가지에 대한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정하고 초기 전환밭에서 재배에 적합한 작물의 검색과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작물별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과 1993년에 실시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된 7종의 사료작물들은 지하수위가 낮고 상대적으로 사질성인 서울대 농생대 벼 재배포장에서 더 좋은 생육 및 수량을 보였으며, 두 포장 모두 하기 청예용 사료작물의 재배시에는 습해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월동 청예용 사료작물 중에서는 트리티케일이 평균 1052kg/10a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두 포장간의 건물수량 차이도 보이지 않아 전환 밭에서의 월동 작물로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호밀은 두 포장간의 차이가 있어서 토성 및 지하수위에 따른 영향이 있었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평균 41.6%의 낮은 월동률을 보여 위도가 높은 수원지역에서는 전환밭 재배에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하기 청예사료작물 중에서는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이 평균 1139kg /10a 로 가장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수수-수단그라스 잡종과 진주조, 사료용 옥수수는 토성간의 건물수량의 차이가 있어서 식양토 전환밭에서는 습해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용 피는 두 포장간에 수량차이가 없었다.

  • PDF

중국 앙소시대 문화와 도작농업 -재배도의 동북방향 전파노선과 관계하여- (Yangshao Culture and Rice Culture - In Relations to Dissemination of Rice Culture Towards to the North - East of China -)

  • Chang, Juzhong;Wang, Xiangkun;Cui, Zong Jun;Heu, Mun Hu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6-383
    • /
    • 1996
  • 이제까지 보고된 앙소시대 농업유적을 검토하여 앙소시대 농업의 발전을 주로 도속혼작 농업의 분포로 파악하고 도속혼작구의 북한계선을 연장하여 도속의 동북전파를 고찰하였다. 앙소시대문화 유적을 가지고 도작농업구, 속작 농업구 그리고 도속혼작 농업구의 구분을 시도하였다. 도혼작 농업구의 도률유적을 검토하고 앙소시대 중의 도속혼작구의 변천을 검토하여 그 북한계선이 남북으로 이동했음을 고찰하였다 앙소시대 장강유역 및 황회지구에서의 고고 발굴물을 가지고 도작에 영향하였을 것으로 생각되는 기후 · 환경을 고찰하였다. 도속혼작구 북한계선의 남북이동을 가지고 도작의 동북향 전파 특히 한국 한강유역으로의 전파를 추측하였다.

  • PDF

두과 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 이효원;박형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63
    • /
    • 2002
  • In order to supply 85% of total organic feed in ruminants and 80% in non-ruminants for organic animal production, nitrogen fixation ability of legume should be used in domestic roughages production. 50% of Europe organic farmer use intercropping legume in as green manure.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amount of biologically fixed nitrogen used by legume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transfer of biologically fixed N in rotation and separating the N benefit into fixed N and non-fixed N components are reviewed. Available data indicate that transfer amount of N to non legumes was from 50∼9.6(kg/ha) in legume-cereal rotations and proportion of legume N varied with seasons, 90% in summer, 50% in autumn. The important point in cropping system for legumes have to be includ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6 year rotation is based on pasture system of 3 year pasture + 2 year annual(com, sudangrass), again pasture. Rye, barly and Italian ryegrass+legumes(vetch, crimson and pea) can be one of option in spring, com, soybean, sudangrass and Japanese bamyard millet would be seeded after spring harvest in the field. Farmer can make good use of rice paddy field as forge production potential area after harvesting rice. Italian, burly and rye+vetch and crimsonclover may be grown in autumn or spring time at the rice field.

  • PDF

제주조의 질소분시 횟수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s of Split Nitrogen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s, Yield Potential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강영길;송창길;고동환;조영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2
    • /
    • 2003
  • 본 연구는 제주도 화산회토에서 제주조의 적정 질소시비 횟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5월에 질소시비량을 200kg/ha으로 고정하고 15일 간격으로 1∼5회 분시하여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전량 시비구에서 87일이었으나 5회 분시에서 93일로 지연되었다. 초장은 4회 분시구에서 143cm로 가장 컸으나 그 이상으로 분시 횟수가 많거나 적을 경우에는 짧았다. 엽장, 엽수 및 마디 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고, 엽록소 측정치는 34.3에서 36.2로 분시 횟수가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질소시비 횟수가 1회에서 4회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수량은 33.8MT/ha에서 51.50MT/ha로, 건물수량은 9.94MT/ha에서 13.36MT/ha로, 단백질수량은 0.93MT/ha에서 1.70MT/ha로. TDN 수량은 3.06H1/ha에서 7.28M7/ha로 증가되었으나 5회 분시구에서 각각 49.33MT/ha, 12.69MT/ha 1.65MT/ha, 6.98MT/ha로 감수되었다. 질소분시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9.4%에서 13.0%로, 조지방 함량은 1.5%에서 1.9%로, 가용무질소물은 44.5%에서 45.2%로, TDN 함량은 50.9%에서 55.0%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 함량은 35.3%에서 31.6%로, 조회분은 9.3%에서 8.3%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