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on exchange membrane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3초

전류밀도와 전해질의 pH가 음이온교환막의 막 오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rrent Density and pH of Electrolyte on Anion-Exchange Membrane Fouling)

  • 최재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65-969
    • /
    • 2005
  • 이온교환막 공정의 중요한 운전인자인 전류밀도와 전해질의 pH가 막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휴믹산 100 mg/L를 포함하고 있는 NaCl 용액에서 Neosepta AMX (Tokuyama Soda, Japan) 음이온교환막의 막 오염 현상을 관찰하였다. 한계전류밀도(LCD) 전 후 영역의 전류를 공급하면서 이온교환막의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막 오염 현상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LCD 이하에서는 전류밀도의 변화가 막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LCD 이상의 전류밀도에서는 막 오염이 심각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휴믹산에 오염된 막에 대한 전류전압 곡선에서도 LCD 이상에서 실험한 경우에 막 오염으로 전기저항이 증가하고 LCD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휴믹산이 포함된 전해질 용액의 pH를 산성 조건으로 조정한 후 실험한 결과 pH가 감소할수록 막 오염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막 오염이 휴믹산의 표면 전하에 의한 것보다 물리화학적 성질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기첨가제 규소텅스텐산이 음이온교환 복합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icotungstic Acid as Inorganic Filler on the Properties of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s)

  • 이규하;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8-37
    • /
    • 2022
  •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poly(pheneylene oxide) (PPO)-based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 having silicotungstic acid (STA) for the development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with excellent ionic conductivity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introducing different STA contents (0 wt%, 10 wt%, 30 wt%, and 50 wt%) into the quaternizaed(Q)-PPO matrix.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s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analysis by proton neclear magnetic resonance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thermal behavior of membranes was confirm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Among the prepared composite membranes, the ion conductivity of Q-PPO/STA-50 (40.5 mS cm-1) showed 1.46 times compared to that of the pristine membrane (27.6 mS cm-1).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applic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s.

다공성 폴리에틸렌 막에 폴리에틸렌이민을 함침 시킨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연구 (Preparation of Poly(ethylenimine) Anionic Exchnage Membrane Impregnated in Porous Polyethylene Membranes)

  • 박찬종;김일형;김성표;이학민;정성일;최호상;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ethylene (PE) 이차전지용 격리막에 poly(ethylenimine) (PEI)을 함침시켜 isophthaloyl dichloride (IPC)을 이용한 가교반응 통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특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함수율, 접촉각, FT-IR,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등을 측정하였다. PEI와 IPC의 반응은 아민과 -COCl기와의 반응으로 아마이드기가 생성된다. 이온교환용량의 경우 30초 반응에서 1.96 meq./g dry membrane부터 600초 반응으로 인한 1.14 meq./g dry membrane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온전도도의 경우 IPC와의 가교시간이 30초일 때 $9.15{\times}10^{-2}S/cm$의 높은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를 위한 음이온교환막의 관능기에 따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 Functional Groups in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 이재명;이미순;남기석;전재덕;윤영기;최영우
    • 멤브레인
    • /
    • 제27권5호
    • /
    • pp.415-424
    • /
    • 2017
  •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 전지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은 일반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하고 있으나 co-ion인 바나듐 이온의 투과에 의한 장기적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나듐 투과도 및 장기 운전 안정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다른 관능기를 보유한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기저막으로는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에 benzyl chloride (VBC)과 divinylbenzene (DVB)을 충진 및 가교 중합하여 제조한 후, 세 가지 다른 아민 관능기를 각각 도입하였다. 제조된 음이온교환막들에 대해 바나듐 이온 투과 정도 및 장기 운전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triethylamine을 관능기로 적용한 음이온교환막에서 높은 에너지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가장 장기적 운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알칼라인 연료전지용 다른 작용기들을 갖는 두 종류의 음이온 교환 막들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roperties of Two Kinds of Anion Exchange Membranes with Different Functional Group for Alkaline Fuel Cells)

  • 이승연;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458-465
    • /
    • 2018
  • This study reports the fabric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s (AEMs) containing two kinds of functional groups: i) trimethylphosphite (TMP) and ii) trimethylamine (TMA). We carried out the synthesis of polymers to enhance thermal stability and ion conductivity. The alternative polymer was prepared using 2,2-bis(4-hydroxy-3-methylphenyl)propane and decafluorobiphenyl. The membrane was fabricated by solution casting method. The thermal stability of membranes was examined by TGA.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membranes were also investigated in terms of water uptake, swelling ratio, ion exchange capacity, and ion conductivity. The hydroxide ion conductivity of the membranes reached about 20.2 mS/cm for quaternary ammonium poly(arylene ether) (QA-PAE) containing TMA moiety and 5.1 mS/cm for quaternary phosphonium PAE (QP-PAE) containing TMP moiety at $90^{\circ}C$.

Electrochemical nitrate reduction using a cell divided by ion-exchange membrane

  • Lee, Jongkeun;Cha, Ho Young;Min, Kyung Jin;Cho, Jinwoo;Park, Ki Youn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3호
    • /
    • pp.189-194
    • /
    • 2018
  •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nitrate was studied using Zn, Cu and (Ir+Ru)-Ti cathodes and Pt/Ti anode in a cell divided by an ion exchange membrane. During electrolysis, effects of the different cathode types on operating parameters (i.e., voltage, temperature and pH), nitrate removal efficiency and by-products (i.e., nitrite and ammonia) formation were investigated. Ammonia oxidation rate in the presence of NaCl was also determined using the different ratios of hypochlorous acid to ammonia. The operating parameter values were similar for all types of cathode materials and were maintained relatively constant. Nitrate was well reduced and converted mostly to ammonia using Zn and Cu cathodes. Ammonia, produced as a by-product of nitrate reduction, was oxidized in the presence of NaCl in the electrochemical process and the oxidation performance was enhanced upon increasing the hypochlorous acid-to-ammonia ratio to 1.09:1. Zn and Cu cathodes promoted the nitrate reduction to ammonia and the produced ammonia was finally removed from solution by reacting with hypochlorite ions. Using Zn or Cu cathodes, instead of noble metal cathodes, in the electrochemical process can be an alternative technology for nitrate-containing wastewat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