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n Exchange Capacity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27초

Ion exchange Resin 의 合成에 關한 硏究. p-Phenolsulfonic acid resin 의 합성 (第1報) (Synthesis of Ion Exchange Resin - I. Synthesis of Phenolsulfonic Acid Resins)

  • 오준석;최규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22
    • /
    • 1954
  • The cation exchange resins are synthesized from p-phenolsulfonic acid, formalin, and sodium hydroxide catalyser, and the ion exchange properties of them are studied with respect to their reactant ratios. Maximum exchange capacity was 2.06 me/G, much smaller than the theoretical value of 3.42 me/G to be expected for that of the structure: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much -SO3H radical should have been split away.

  • PDF

음이온교환막 적용을 위한 이온교환입자의 합성 및 특성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on Exchange Particles for Applic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 이동준;임광섭;류가연;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3권3호
    • /
    • pp.137-14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현탁중합을 통해 이온교환입자를 합성하였다. 또한 음이온 교환막을 제조하기 위해 brominated poly(phenylene oxide) (Br-PPO)로 교환막 합성을 진행하였으며, 합성한 이온교환입자를 Br-PPO에 첨가하여 음이온 교환막에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진행했다. 이온교환입자는 FT-IR, TGA 및 UTM을 통해 구조 분석, 열적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Br-PPO는 NMR을 통해 화학적 구조 분석 및 합성여부를 확인하였고, 음이온 교환막 연료 전지 셀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 이온전도도와 이온교환용량, 팽윤도 및 수분함수율을 측정해 연구되고 있는 다른 음이온 교환막들과 비교를 통해 성능을 평가했다. 최종적으로 가장 성능이 우수했던 이온교환입자를 0.7 wt%를 첨가한 Br-PPO-TMA- SDV 음이온 교환막을 연료전지 시스템에 도입하여 상용 막인 FAA-3-50과 성능을 비교했다.

이온교환 칼럼 충진비의 변화가 도금폐수 중 니켈이온 흡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ing Density of ion-Exchange on the Nickel Adsorption Column in Electroplating Rinse Water)

  • 황택성;이진혁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551-558
    • /
    • 2002
  • 술폰산형 섬유이온교환체를 이용하여 도금 폐수 중 니켈 이온 분리를 위해 각각의 조건에 따른 니켈 이온에 대한 흡착 특성을 관찰하였다. 술폰산형 섬유이온교환체의 함수율은 술폰화도 극성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이온교환용량은 술폰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술폰화도 16%에서 3.38 meq/g로 높게 나타났다. 니켈이온의 흡착은 pH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 모든 흡착은 10분 이내에 약 7.5 mg/min의 흡착속도로 매우 빠르게 평형에 도달하였다. 재생 시 흡착용량은 7회까지 3.15 meq/g으로 거의 100% 가까이 탈착되었으며 그 이상에서는 2.01 meq/g으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 사용한 이온교환체는 내구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흡착평형 시간은 L/D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최대 흡착용량은 각각 2.71∼3.01 meq/g으로 약간 증가하였고 L/D의 변화에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L/D<2로 흡착칼럼의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온교환 섬유의 충전비가 일정할 때 pH 변화에 따른 니켈 이온의 흡착량은 산성 pH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도금수세액의 pH가 산성인 점을 고려할 때 pH 5 이하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연탄 Fly ash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 4A의 암모늄 이온교환 특성 (Characteristics of Ammonium ion-exchange of Zeolit 4A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 연익준;박상찬;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1호
    • /
    • pp.42-53
    • /
    • 1999
  • A study on the synthesis of zeolite from coal fly ash from power plant was carried out to reduce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use industrial waste. The synthesized zeolite was proved to be Zeolite 4A type by means of the XRD and SEM analysis, and then the synthesized zeolite was used as an absorbent to remove the $NH_4^+$ ions in the wastewater and water. In the ion exchange of single $NH_4^+$ ions by the natural zeolite and the synthesized zeolite, the ion exchange reached equilibrium within 10 min. and 1hr, respectively. The amount of ion exchanged $NH_4^+$ to the unit weight of natural zeolite and zeolite 4A were 1.09 and 3.54 meq/g respectively, and the amount of $NH_4$ ion exchanged by the synthesized zeolite was higher than by the natural zeolite. The ion exchange kinetics fitted very well to the Feundlich and Langmuir isotherm. The effects of coexisting cations on the ion-exchange properties of zeolites were studied in order to apply them to water treatment. In the bisolute-system of the $NH_4^+-K^+$ and $NH_4^+-Na^+$ systems, the ion exchange capacity was smaller than the single $NH_4^+$ ion system. The effects of coexisting cations on the ion exchange system by the natural zeolite and the synthesized zeolite were found to be $K^+>Na^+$ and $Na^+>K^+>>Mg^{2+}>Ca^{2+}$, respectively.

  • PDF

수용액중 납이온 제거를 위한 활성슬러지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vailability of Activated Sludge for the $Pb^{2+}$ Removal in Aqueous Solution)

  • 김동석;서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97-705
    • /
    • 1998
  • $Pb^{2+}$ removal capacity and initial $Pb^{2+}$ removal rate were compared between non-biomaterials (granular activated carbon, powdered activated carbon, ion exchange resin, zeolite) and biomaterials (activated sludge, Aureobasidium pullulans,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Pb^{2+}$ removal capacity of biomaterials were greater than that of non-biomaterials, generally. The $Pb^{2+}$ removal capacities of non-biomaterials and biomaterials were shown on the order of ion exchange resin > zeolite > granular activated carbon >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A. pullulans > S. cerevisiae > activated sludge, respectively. In the initial $Pb^{2+}$ removal rate, the non-biomaterials showed powdered activated carbon > granular activated carbon > zeolite > ion exchange resin and the biomaterials showed A. pullulans > activated sludge > S. cerevisiae. Comparing the $Pb^{2+}$ removal capacity and initial $Pb^{2+}$ removal rate of activated sludge with those of other non-biomaterials and biomaterials, activated sludge may have an availability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 ions by the economical and pratical aspects.

  • PDF

이온교환용량이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on Exchange Capacity on Salt Removal Rate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 윤원섭;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8권5호
    • /
    • pp.332-339
    • /
    • 2018
  •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이 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oly(vinyl alcohol)(PVA) 수용성 고분자에 sulfosuccinic acid (SSA) 가교제를 첨가하고 poly(4-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PSSA_MA)를 PVA 질량대비 10, 50, 90 wt%로 달리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PSSA_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 효율도 상승되었다. PSSA_MA 90 wt%, 100 mg/L NaCl의 공급액과 유속 15 mL/min에서 흡착 1.4 V/5분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65.5%의 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정수중(淨水中)의 용존(溶存)알루미늄 제어방안(制御方案)의 조사(調査) (Investigation on the Removal of Dissolved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 최승일;김문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52
    • /
    • 1997
  • The affection of activated carbon on the dissolved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has been observed. In addition, the aluminum ion removal capability of activated, alumina, chitosan, and ion exchange resin have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al based activated carbon released considerable amount of aluminum ion to the water while coconut shell based activated carbon didn't. However the release was not continuous. Activated alumina didn't show any recognizable removal capability for aluminum ion in water. Particulate chitosan has removed aluminum ion although dissolved chitosan has not. However it need to development a regeneration process for chitosan to be an effective mean for aluminum ion removal. Ion exchange resin showed a reliable aluminum ion removal capability. The ion exchange capacity was 2.63 meq/g resin for the aluminum ion in drinking water.

  • PDF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음이온교환막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olyvinyl Chloride Anion Exchange Membrane as a Separator in the Alkaline Water Electrolysis)

  • 박종호;봉수연;유철휘;황갑진
    • 멤브레인
    • /
    • 제23권6호
    • /
    • pp.469-474
    • /
    • 2013
  • 알칼리 수전해용 격막으로 사용하기 위해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음이온교환막은 PVC (polyvinyl chloride)를 출발물질로 하여 클로로메틸화 및 아민화에 의해 제작하였다. 제작한 막은 막 특성(막 저항, 이온교환용량)을 평가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1M NaOH수용액에서의 최저 막 저항은 $2.9{\Omega}{\cdot}cm^2$를 나타냈다. 이 막은 2.17 meq./g-dry-membrane의 이온교환용량과 43.4%의 함수율을 보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막 특성을 시판의 막 특성과 비교 평가하였다. 1M NaOH수용액에서의 막 저항은 AHT>IOMAC>Homemade membrane>AHA>APS=AFN의 순으로 저항 값이 높았다. 이온교환 용량은 Homemade membrane>AFN>APS>AHT>AHA>IOMAC의 순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Preparation of Cation-exchange Resin from Lignin

  • Kamelt S.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5호
    • /
    • pp.78-84
    • /
    • 2004
  • Lignin precipitated from black liquor of soda pulping of bagasse was used to prepare cation-exchange resin. The effect of sulfuric acid treatment, concentration of phenol and formaldehyde on the properties of the prepared cation-exchange resin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sulfonated resinified phenolated lignin gave a resin with an ion-exchange capacity higher than that of resin, which resulted from sulfonation of resinified lignin at zero phenol concentration. Infrared spectroscopy of the prepared ion-exchange resin shows anew bands at 1060, 1160, 1280 and $1330\;cm^{-1}$ which indicated to the presence of $SO_{3}$.

이온교환 수지를 함유한 PONF-g-GMA High Loading 음이온교환 섬유의 합성 및 바나듐 흡착 특성 (Synthesis of High Loading PONF-g-GMA Anion Exchange Fiber Containing Ion Exchange Resin and Their Adsorption Properties of Vanadium)

  • 백기완;박승욱;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315-3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중합방법으로 아민화 PONF-g-GMA 이온교환 섬유를 합성하였다. 또한 핫멜트 web spray 접착방식으로 이들과 비드 수지를 결합시켜 복합 이온교환 섬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바나듐 흡착특성을 확인하였다. 복합 이온교환 섬유의 이온교환 용량은 비드보다는 낮았으며, 단일 이온교환 섬유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4.18 meq/g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 이온교환 섬유의 바나듐 흡착 파과평형은 550분으로 비드 이온교환 수지보다 빠르게 진행되었고, 섬유상 이온교환체보다는 느리게 진행되었다. 한편, 바나듐의 흡착파과 시간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파과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바나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400분 전후에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