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erse-type Distribu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옥천지향사대내(沃川地向斜帶內)에 분포(分布)하는 종암화강암(鍾岩花崗岩)의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Petrological Study on the Jongam granite in the Ogcheon Geosynclinal Zone)

  • 조선형
    • 자원환경지질
    • /
    • 제10권4호
    • /
    • pp.185-198
    • /
    • 1977
  •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petrochemical study on the Jongam granite mass which intruded metasediments of Ogcheon zone, locating about 10km northwest from Miweon town, and the mass is $2.5km^2$ in area. In this study, the granite was petrographically analysed in such ways, modal analysis, myrmekite analysis, petrochemical study analysis and tectonic analysis of joint syst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rea of the granite distributed is a basin surrounded by metasediments. The granite is magma origin. 2) The major mineral composition of the granite are quartz, plagioclase, microcline orthoclase and biotite, and accessaries are muscovite, sericite, magnetite, zircon and sphene. 3) In triangles of $Qu-K{\cdot}fp-PI$, Bi-Or-Hb+Mt and Qu-Ab-Or, the data point area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NW zone of D.S. Lee (1971) 4) The granite mas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anites; quartz monzonite, granodiorite and biotite granite, by petrological aspect in detail. 5) It shows inverse ratio of content between quartz and plagioclase. 6) The myrmekite-texture of the granite are stem type and dominating in northern part. 7) In the tectonic analysis of joint, the strikes are almost constant in direction, N-S direction of dominant joints 8) The geological age of the granites estimated to be Jurassic in age. 9) According to the mineralogical distribution and joint systen, the intrusion direction of the granite magma was infered as from north to south.

  • PDF

전기 저항 단층촬영법에서의 조정기법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Regularization Methods in Electrical Resistance Tomography)

  • 강숙인;김경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26-234
    • /
    • 2016
  • 전기 저항 단층촬영법(ERT)은 대상체 내부 단면의 저항률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ERT의 영상복원은 매우 비정치성이 강한 역문제의 일종으로 의미있는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조정기법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l2-norm 조정기법, l1-norm 조정기법, Total Variation 조정기법이 사용되며, 조정기법에 따라 ERT의 영상복원 성능이 달라진다. 즉,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정기법의 사용은 ERT 영상 복원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상황에 따른 세 가지 조정기법의 영상복원 성능을 비교하였다.

펄스 복사 능력 개선을 위한 리플형 광대역특성을 갖는 비선형 와이어안테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Nonlinear Wire Antennas with Ripple-Type Wide Band Characteristics for Improvement of Pulse Radiation Ability)

  • 김연선;박의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3호
    • /
    • pp.150-157
    • /
    • 2002
  • 펄스 안테나로 많이 사용되는 종래의 직선형 혹은 V-형 안테나의 원거리전장은 null점들을 갖는 주파수 특성을 가지므로 제한된 펄스 복사 능력을 가진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비선형적 형상을 갖는 와이어안테나의 합성법을 제안하였다 즉, 복사 전장의 주파수 의존성을 최소화시키는 형상방정식을 유도하고 그 해를 산출하므로서 리플형의 광대역 특성을 갖는 형상을 합성하였다. 그 결과 매우 넓은 주요 스펙트럼을 갖는 짧은 펄스의 복사에 유리함을 보였다. 따라서, 펄스폭이 좁을수록 합성된 다이폴 안테나 특성이 종래의 선형 다이폴 보다 우수한 피크치를 갖는 펄스 복사가 이루어짐을 보였다. 전류 분포 및 원거리 전장의 과도해석을 위해 모멘트법에 기반한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였다.

Phase transition of (Bi, Pb)-2223 superconductor induced by Fe3O4 addition

  • Ko, Y.J.;Oh, J.Y.;Song, C.Y.;Yang, D.S.;Tran, D.H.;Kang, B.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e3O4 addition on the critical temperature of (Bi, Pb)-2223 polycrystalline samples. Bi1.6Pb0.4Sr2Ca2Cu3O10+δ + x wt. % Fe3O4 (x = 0.0, 0.2, 0.4, 0.6, and 0.8) sample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analysis of X-ray diffraction data indicates that as Fe3O4 is added, dominant phase of the sample changes from Bi-2223 to Bi-2212 with an increasing Bi-2201 phase.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mples drastically decreased with the Fe3O4 addition. The resistance data of samples with x = 0.2 and 0.4 showed a double transition indicating a coexistence of Bi-2223 and Bi-2212 phase while the samples with x = 0.6 and 0.8 showed a single transition with a semiconducting behavior. This phase transition may originate from changes in local structure of the Bi-2223 system by Fe3O4 addition. Analysis of the pair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Cu-O pair in the CuO2 plane calculated from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data revealed that the oxygen coordination of copper ion changes from CuO4 planar type (x = 0.0 - 0.4) to CuO5 pyramidal type (x = 0.6, 0.8). The correlated Debye-Waller fact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tomic disorder within the CuO2 plane, shows an inverse relation to the coordination num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Fe3O4 changes the oxygen distribution around Cu in the CuO2 plane, causing a phase transition from Bi-2223 to more stable Bi-2212/Bi-2201 phase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ological Parameter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 Khakimov, Elyorbek;Chung, Sang Yong;Senapathi, Venkatramanan;Elzain, Hussam Eldin;Son, JooHye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3호
    • /
    • pp.27-41
    • /
    • 2017
  •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relations of hydrogeological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dispersivity and effective porosity of unconsolidated sedim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lanning of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Groundwater quality in this area has been deteriorated due to seawater intrusion, agricultural fertilizer and pesticide, industrial wastewater, and contaminated river water. The physical properties (grain size distribution, sediment type, sorting) and aquifer parameters (hydraulic conductivity, effective porosity, longitudinal dispersivity) were determined from grain size analysis, laboratory permeability test and column tracer test. Among 36 samples, there were 18 Sand (S), 7 Gravelly Sand (gS), 5 Silty Sand (zS), 5 Muddy Sand (mS), and 1 Sandy Silt (sZ). Hydraulic conductivity was determined through a falling head test, and ranged from $9.2{\times}10^{-5}$ to $2.9{\times}10^{-2}cm/sec$ (0.08 to 25.6 m/day). From breakthrough curves, dispersivity was calculated to be 0.35~3.92 cm. Also, effective porosity and average linear velocity were obtained through the column tracer test, and their values were 0.04~0.46 and 1.06E-04~6.49E-02 cm/sec, respectively.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 among aquifer parameters of hydraulic conductivity, effective porosity and dispersivity. The relation between dispersiv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considered the sample length, because dispersivity was affected by experimental scale. The relations between dispersivity and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were all in inverse proportion for all long and short samples. The reason was because dispersivity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roundwater velocity in case of steady hydrodynamic dispersion coefficient, and groundwater velocity was in proportion to the hydraulic conductivity or effective porosity. This study also elucidated that longitudinal dispersivity was dependent on the scale of column tracer test, and all hydrogeological parameters were low to high values due to the sand quantity of sedi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hydrogeological parameter data of sediments will be very useful for the planning of groundwate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n the Nakdong River Delta of Busan City, Korea.

다구찌실험계획법을 활용한 기중차단기의 메커니즘 최적화 (An Optimal Design of a Driving Mechanism for Air Circuit Breaker using Taguchi Design of Experiments)

  • 박우진;박용익;안길영;조해용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78-84
    • /
    • 2022
  • An air circuit breaker (ACB) is a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that interrupts abnormal fault currents that result from overloads or short circuits in a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line. The ACB consists of a main circuit part for current flow, mechanism part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movable conductors, and arc-extinguishing part for arc extinction during the breaking operation.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ACB is a spring energy charging type. The faster the contact opening speed of the movable conductors during the opening process, the better the breaking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mechanism decrease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use of a spring capable of accumulating high energy to configure the breaking speed faster. Therefore,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 breaking performance and mechanical endurance of the ACB, its driving mechanism must be optimized. In this study, a dynamic model of the ACB was developed using the MDO(Mechanism Dynamics Option) module of CREO, which is widely used in multibody dynamics analysis. To improve the opening velocity, the Taguchi design method was applied to optimize the design parameters of an ACB with many linkages. In addition, to evaluate the improvement i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DO model and improved prototype sample, respectively.

다방향 불규칙파에 대한 조파 기법 및 방향 스펙트럼 추정 연구 (Study on Wave Generation Technique and Estimation of Directional Wave Spectra for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 오승훈;정성준;황성철;김은수;성홍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4호
    • /
    • pp.266-277
    • /
    • 2023
  • In this study, fundamental research is conducted for the generation technique and analysis of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in the Deep Ocean Engineering Basin (DOEB). A three-dimensional boundary element method-based numerical tank is implemented to perform wave generation simulations, and directional spectrum estima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results of simulations. The wave generation technique of the Snake type wave maker, generating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is implemented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 (FFT) and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algorithms. The wave generation technique is validated by comparing the wave spectrum from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 Maximum Likelihood Method (MLM) based estimation code is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directional wave spectra. The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are tested in the DOEB and the numerical tank, and directional wave spectra obtained from two methodologies are estimated and compared. A correction procedure for the directional distribution of multi-directional waves is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y of correcting the directional spreading function using the numerical tank is validated.

판요소법을 이용한 선수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Design of Ship′s Bow Form using Surface Panel Method)

  • 유재훈;김효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5-47
    • /
    • 1996
  • 포텐셜을 기저로 하는 판요소법을 사용하여 자유 표면이 존재하는 유동장에서 일정 속도로 전진하는 3차원 물체의 형상을 설계하였다. 설계 방법으로는 원하는 압력 분포를 경계 조건으로 부여하고 이를 만족하는 물체 형상을 찾아내는 역해석법(inverse method)을 사용하였다. 즉, 주어진 압력으로부터 물체 표면에 분포된 법선 다이폴의 세기인 포텐셜 값을 결정하게 되며, 이는 물체 표면에 대한 Dirichlet형태의 경계 조건으로서 Green의 정리로부터 유도된 적분 방정식을 해석하게 된다. 전체 속도 포텐셜은 기본 유동인 선속에 대한 성분과 선제에 의하여 교란되는 성분으로 구성되어진다고 가정하였으며, 교란 포텐셜을 사용하여 선형화된 자유 표면 경계 조건을 적용하였다. 적분 방정식에 대한 수치 해석을 위해 물체 표면에 법선 다이폴과 Rankine 쏘오스를 분포하였으며, 자유 표면에는 Rankine 쏘오스를 분포하고 4점 유한 차분법을 사용하여 자유 표면 경계 조건이 만족되도록 하였다. 해로서 얻어지는 각 판요소에서의 Rankine 쏘오스의 세기는 가상의 유동 출입량으로서 형상 수정항으로 사용되었다. 몰수 회전 타원체의 형상 설계에 대하여 본 설계법을 적용한 결과 무한 수심에서나 조파 상태에서 $4{\sim}6$회의 반복 계산으로 충분히 수렴된 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자유 표면을 가르고 전진하는 Wigley 수학적 선형에 대한 형상 설계를 수행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내었으며, 얻어진 수치해는 매우 안정적이고 빠른 수렴성을 보였다. 선형의 우열 비교를 통해 조파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 분포의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파 저항의 관점에서의 5500TEU급 콘테이너 운반선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설계되어진 새로운 선형은 조파 저항의 관점에서 기존의 선형보다 계산과 실험에서 모두 우수하게 개량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사 수광량 보정에 의한 산악지대 매시기온의 공간내삽 (Spatial Interpolation of Hourly Air Temperature over Sloping Surfaces Based on a Solar Irradiance Correction)

  • 정유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5-102
    • /
    • 2002
  • 관측밀도가 낮고 지형이 복잡한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낮 시간대 기온의 경시변화를 기존의 방법으로 내삽할 경우 일사수광량의 불균일한 분포 때문에 심각한 추정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기온감율을 고려한 거리역산가중 내삽모형에 일사수광량 보정항을 추가하고 오차경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강원도 평창군 일대 14km$\times$22km 지역을 10m 해상도의 수치고도모형으로 표현하고, 각 격자점에 대해 태양과 지표면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실제 일사 수광량을 직달, 산란, 반사 등 성분별로 계산하였다. 수평면 일사량과의 편차를 산출한 다음 이 지역에서 경험적으로 얻은 일사-기온 변환당량을 적용하여 보정값을 얻었다. 기존의 방법에 의해 내삽된 기온값에 이 보정값을 적용하여 대상지역 전역의 기온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대상 지역 내 경사향이 서로 다른 8개 지점에서 기온을 측정하여 기온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추정오차가 크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수위와 GRACE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지하수 함양량 변화 연구 (Study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Change by Using Groundwater Level and GRACE Data in Korea)

  • 전항탁;함세영;조영헌;김진수;박소영;정재열
    • 지질공학
    • /
    • 제29권3호
    • /
    • pp.265-277
    • /
    • 2019
  •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강수량, 강우 강도, 빈도 그리고 강우 유형의 변화는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위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적인 총 저수량 변화를 파악하는데, GRACE의 월 중력값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위의 공간적인 분포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GRACE자료와 지하수위 자료를 정량적으로 연관시키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국지적인 보간법(크리깅, 역 거리 가중값 및 자연 인접)을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6년 까지 국내 지하수 함양 변화량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월평균 지하수 함양 변화량과 GRACE의 월별 지하수 저장량 변화값을 비교하였다. GRACE자료와 실측 지하수자료의 함양량 변동값은 미약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기간 동안에 지하수 함양 변화량의 평균값은 -0.01 cm/month, 중앙값은 -0.02 cm/month로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