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usion of alveolar bon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92초

외상성 intrusion 치아의 교정적 견인시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ONSET OF ANKYLOSIS FOLLOWING INTRUSIVE LUXATION INJURIES)

  • 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1991
  • Orthodontic traction has been sugges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intrusive luxation injuries. Prior research has shown orthodontic forces to be ineffective in the presence of ankylosis or in cases with zero mobility following the injury. If orthodontic traction is to be effective, it must be initiated prior to the onset of ankyl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ffects of intrusive luxation at various times following the injury, and to determine the time of the onset of ankylosis, and to examine what effect immediate partial luxation has on the onset of ankylosis. Eight young mongrel dog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Intrusive luxation was produced with an axial impact using a gravity hammer and a specially designed holding device on 4 teeth (2 max. and 2 man. first premolars) in each dog. The teeth were intruded approximately 3-4mm in an axial direction. One maxillary and one mandibular premolars were partially luxated with the other two teeth being untouched. Pre and posttrauma tooth position was documented with plaster models and radiographs taken with an individualized X-ray jig. Dogs were sacrifi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njury and at 1, 2, 4, 7, 10, 14 and 21 days respectively. Tetracycline was administered as a vital bone marker 24 hours before sacrifice. Block sections of the tooth and alveolus were prepared for decalcified and non decalcified histologic sections. The effects of traumatic intrusion were analyzed by means of model casts, radiographs, tetracycline bone marking and histologic prepar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nimal sacrifi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njury displayed alveolar fractures, torn periodontal ligaments, and areas of direct tooth-bone contact. 2. The odontoblastic layer of the pulp was disorganized as early as 24 hours after the injury. 3. Bony remodeling was noted at 4 days along with active surface resorption. 4. Ankylosis was first seen 7 days after the injury. 5. Osteogenesis in the dentin (thick tetracycline bands) was observed 7 days after the injury. 6. There was no progressive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where the periodontal ligament has been healed. 7. The Lux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oot resolution and ankylosis than the Nonluxated group with increased observation periods. The results suggest that ankylosis may occur within the first week following the injury, and hence orthodontic traction should be initiated as soon after the injury as possible.

  • PDF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ttachment in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김민정;허중보;정창모;윤미정;이소현;조용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1-7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심한 골소실으로 인해 치관부 수직높이가 과도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임플란트 주변 골의 응력 증가 및 나사 풀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illed bar 및 가철성 보철물로 수복할 수 있는데, milled bar는 단일 임플란트 간의 일차적인 스플린팅 효과와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milled bar 사용 시 Advanced Dental Device-Treatment Of Choice(ADD-TOC), 자석 부착장치 같은 부가적인 부착장치 사용을 통해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추가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좌측 구치부 평활근육종으로 인한 절제술 후 심한 골소실 및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장기간의 하악 구치부 상실로 인한 대합치는 정출된 상태였다. 상악 좌측 대구치는 교정적 압하를 통해 교합평면을 회복하였고, 하악 좌측 대구치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 후 milled bar에 부가적인 부착장치인 ADD-TOC, 자석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유성견의 소구치 압하시 초기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와 재생에 관한 연구 (EARLY HISTO(PATHO)LOGIC CHANGES AND RECOVERY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 IN INTRUSION OF PREMOLAR ON YOUNG ADULT DOGS)

  • 안병교;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7-310
    • /
    • 1998
  • 치아에 압하력을 elastic chain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교정력을 평균 9개월된 유성견의 소구치에 가한 직후 치아와 그 주위조직에서 일어나는 조직학적인 변화와 압하력을 제거한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 변화되었던 조직의 회복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교정치료를 위한 생물학적인 근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Hematoxylin & Eosin 및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위조직의 반응을 치경부, 치근 중앙부, 치근단부로 나누어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의 HE 소견에서 치주인대는 치근단부에서 치근경부까지 비교적 균일한 두께를 나타냈고, 치주인대의 주행방향은 치근경부에 수평 또는 약간 경사져 있었으며,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는 사선으로 주행하였다. 2. 대조군의 MT 소견에서 치경부에서는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가 나타났으며 치경부, 치근 중앙부 그리고 치근단부에 약한 골흡수와 신생골 침착이 보였다. 3. 실험 1 군에서는 치근단부에서 뚜렷한 파골세포의 증가와 혈관 충혈이 보였으며, 신생골 형성과 불규칙한 반전선들이 나타나 골흡수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는 치경부에서 치근단에 이르기까지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치근단부에서 더 심하였다. 4. 실험 2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조골세포가 치근단부에서 혈관 충혈과 함께 여전히 관찰되었다. 치주인대 폭경은 치근단부에서 대조군에 비해서는 증가되었고 1 군에 비해서는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치주인대 주행방향은 1군과 같았고 단지 치근단부에서 혼합된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으로 보아 유성견 하악 소구치 압하시 초기 조직변화 에서 압박을 받는 치근단부에서 파골세포의 뚜렷한 증가, 출혈상 및 간격 확장, 그리고 골흡수와 백악질 흡수가 현저히 나타났으며, 치주인대 주행 방향도 다양하였다. 또한 압하력을 제거한 후에 변형되었던 치아와 치아 주위조직들이 완전한 회복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 PDF

Evaluation of strategic uprighting of the mandibular molars using an orthodontic miniplate and a nickel-titanium reverse curve arch wire: Preliminary cephalometric study

  • Park, Jae-Hyun;Choo, HyeRan;Choi, Jin-Young;Chung, Kyu-Rhim;Kim, Seong-H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79-188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overall treatment effects in terms of the amount of uprighting with changes in the sagittal and vertical positions of mandibular molars after applying an orthodontic miniplate with a nickel-titanium (NiTi) reverse curve arch wire (biocreative reverse curve [BRC] system). Methods: A total of 30 female patients (mean age, 25.99 ± 8.96 years) were treated with the BRC system (mean BRC time, 10.3 ± 4.07 months). An I-shaped C-tube miniplate (Jin Biomed) was placed at the labial aspect for the alveolar bone of the mandibular incisors. A 0.017 × 0.025-inch NiTi reverse curve arch wire was engaged at the C-tube mini-plate anteriorly and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and molars posteriorly in the mandibular arch. Pre- and post-BRC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of BRC. Results: The mandibular second molars were intrusively uprighted successfully by the BRC system. Distal uprighting with a controlled vertical dimension was noted on the first molars when they remained engaged in the BRC and the distal ends of the arch wire were laid on the second molars.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premolars showed a slight extrusion. The changes in the mandibular incisors were unremarkable, while the mandibular molar angulat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lower occlusal plane rotated counterclockwise (MP-LOP: 1.13° ± 2.60°). Conclusions: The BRC system can provide very effective molar uprighting without compromis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이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 (The skeletal cortical anchorage using titanium microscrew 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9-706
    • /
    • 1999
  •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의 경우 확실한 고정원으로서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고, 또 임상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임프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무치악이 존재해야 하거나 하악구치 후방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있고, 값이 비싸며, 골융합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지는 않다. 최근 몇몇 임상가에 의하여 수술용 titanium microscrew 나 miniscrew를 교정치료시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골융합성 임프란트보다 수술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치조골 어느 부위이든지 식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titanium microscrew implant를 사용한 skeletal cortic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교정치료 동안 협조도가 고갈된 환자를 치료하였다. 6개월간의 titanium microscrew로 부터 가해진 교정력에 의하여 상악 전치부는 4 mm후방 치체이동과 압하이동을 얻었다. 통상의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역할을 하는 상악 구치부도 1.5 mm후방이동 되었다. titanium microscrew는 치료기간 동안 움직임없이 잘 유지되었다. 비록 과학적으로 밝혀져야할 임상적인 문제가 있기는 하나, skeletal cortical anchorage는 확실한 고정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icro-Implant Anchorage(MIA)를 이용한 Sliding mechancis (A new protocol of the sliding mechanics with Micro-Implant Anchorage(M.I.A.))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77-685
    • /
    • 2000
  •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의 경우 확실한 고정원으로서 가능성이 인정되고 있고, 또 임상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임프란트를 매식하기 위해서는 무치악이 존재해야 하거나 하악구치 후방부위에 식립해야 하는 등 장소의 제약이 있고, 값이 비싸며, 골융합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단점으로 인하여 보편화되고 있지는 않다. 최근 몇몇 임상가에 의하여 수술용 titanium microscrew 나 miniscrew를 교정치료시의 고정원으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이것은 골융합성 임프란트보다 수술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치조골 어느 부위든지 식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자는 M.I.A.(Micro-Implant Anchorage)를 고정원으로 사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를 치료하였다. 상악의 M.I.A.는 상악전치의 후방견인의 고정원으로 사용되었고 하악의 M.I.A.는 하악 제1대구치의 직립과 제2대구치의 압하이동의 고정원으로 사용되었다. 하악 구치가 직립됨에 따라 하악골의 전상방 회전이 일어나 SNB각의 증가로 이어지고 ANB각의 감소를 가져 왔다. M.I.A.는 치료 전기간동안 안정되게 유지되어 교정치료의 고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M.I.A.를 고정원으로 사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하여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법은 환자의 협조도에 의존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고, 비교적 빠른 시기에 많은 안모의 변화를 가져와 환자의 협조도를 끌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상악 6전치를 동시에 후방견인하므로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호선의 교환이 적어 chair time이 짧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MIA는 치아이동의 고정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MIA를 고정원으로 이용한 sliding mechanics를 통한 교정치료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서 쉽고 효율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PDF